목차
1. 간호력
2.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2.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피부가 푸석거리고 입안도 바싹바싹 말라요.”
객관적 자료
4/11
D
E
N
I/O
280/450
220/540
290/660
I/O
V/S: 130/90 - 38.2℃ - 112 - 26
nausea (+) / vomiting (+) - 6차례
체중: 87kg(4/8)→82kg(4/11)
피부촉진 시 피부탄력성이 약한 편으로 점막이 건조함 관찰
검사상
- Hb: 20g/dL (정상: 12-16g/dL)
- Hct: 56% (정상: 34-47%)
- potassium: 2.8mmol/L (정상: 3.5-5.5mmol/L)
- sodium: 113mmol/L (정상: 135-145mmol/L)
간호진단
잦은 구토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구토 증상없이 정상적인 체액수준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액균형과 관련된 임상검사상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대상자는 5일 이내 체액불균형에 의한 증상(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매 시간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3. 대상자가 탈수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4. 대상자의 시간당 소변량과 소변의 양상을 사정한다.
5. 대상자에게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6.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체액 및 전해질균형을 위해 정맥 수액을 통해
보충한다.
7.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8. 대상자에게 수분 및 전해질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을 사정한다.
9. 대상자에게 구강간호를 해준다.
10. 대상자에게 L-tube를 삽입해 비위관을 흡인한다.
11. 처방에 따라 약물(항구토제, 제산제, 히스타민 수용기 차단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 매 시간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였다.
3. 대상자가 탈수증상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피부탄력성, 구강점막 등)
4. 대상자의 시간당 소변량과 소변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5. 대상자에게 수분섭취를 격려하였다.
6.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체액 및 전해질균형을 위해 정맥 수액을 통해
보충해주었다.
- Dextrose Injection 5% 1L을 처방에 따라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 N/S 1000ml/bag, K-40 40mEq/amp를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7.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체중계로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 후 기록하였다.
8. 대상자에게 수분 및 전해질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을 사정하였다.
9. 대상자에게 구토완화 및 구강점막보호를 위하여 매일 구강간호를 제공해주었다.
10. 대상자에게 L-tube를 삽입해 비위관을 흡인하였다.
11. 처방에 따라 약물(항구토제, 히스타민 수용기 차단제)를 투여하였다.
- Macperan Injection 2ml(항구토제)을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 N/S 50mg, Curan Injection 50mg(히스타민 수용기 차단제)을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날짜
4/12
4/13
4/14
I/O
1430/1600
1630/1850
1980/1980
1. 4월 14일 대상자는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유지하였다.
2. 4월 13일 대상자는 체액균형과 관련된 임상검사 상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 Hb: 16g/dL (정상: 12-16g/dL)
- Hct: 45% (정상: 34-47%)
- sodium: 137mmol/L (정상: 135-145mmol/L)
- potassium: 4.9mmol/L (정상: 3.5-5.5mmol/L)
3. 4월 16일 대상자는 체액불균형에 의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5.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저번보다 더 심해진 건 아니겠죠?”
“또 다시 수술을 해야 하는 건가요?”
“재발만 하다가 암으로 가는 건 아닌지 참..”
객관적 자료
입원하는 날부터 근심 걱정하는 표정이 관찰됨
침대에서 내려오지 않고 이불을 덮어쓰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치료 시 한숨을 내쉬며 ‘안 좋은 몸에 해서 뭐해’라며 중얼거리는 것을 관찰함
간호진단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예후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었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이내 자신의 불안상태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내에 불안 해소 할 수 있는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실천 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내에 질병의 예후와 치료의 장점, 중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내에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대상자의 불안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완화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담낭염 예후에 대한 정보를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예후와 질병치료 장점,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불안을 개방형 질문으로 질문하여 사정하였다.
대상자에게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완화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명상요법, MBSR 등)
대상자에게 불안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에게 질병치료 장점과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대상자에게 담낭절제술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4월 13일 대상자는 불안 상태에 대해 말로 표현하였다.
4월 13일 대상자는 불안 완화하는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알고 실천하여 불안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다. (명상요법, MBSR 등)
4월 13일 대상자는 질병의 예후와 치료 장점,중요성에 대하여 알고 적극적으로 받겠다고 말하였다.
4월 13일 대상자는 수술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담낭절제술을 받겠다고 말하였다.
4.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Ⅰ - 수문사 이향련·최철자 저 505~508p
· 성인간호학Ⅰ - 정담미디어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저 558~560p
· 세브란스 > 건강정보 > 질환정보 > 담낭염 환자의 치료와 관리
·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
객관적 자료
4/11
D
E
N
I/O
280/450
220/540
290/660
I/O
V/S: 130/90 - 38.2℃ - 112 - 26
nausea (+) / vomiting (+) - 6차례
체중: 87kg(4/8)→82kg(4/11)
피부촉진 시 피부탄력성이 약한 편으로 점막이 건조함 관찰
검사상
- Hb: 20g/dL (정상: 12-16g/dL)
- Hct: 56% (정상: 34-47%)
- potassium: 2.8mmol/L (정상: 3.5-5.5mmol/L)
- sodium: 113mmol/L (정상: 135-145mmol/L)
간호진단
잦은 구토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구토 증상없이 정상적인 체액수준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체액균형과 관련된 임상검사상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대상자는 5일 이내 체액불균형에 의한 증상(탈수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매 시간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한다.
3. 대상자가 탈수증상이 있는지 사정한다.
4. 대상자의 시간당 소변량과 소변의 양상을 사정한다.
5. 대상자에게 수분섭취를 격려한다.
6.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체액 및 전해질균형을 위해 정맥 수액을 통해
보충한다.
7.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8. 대상자에게 수분 및 전해질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을 사정한다.
9. 대상자에게 구강간호를 해준다.
10. 대상자에게 L-tube를 삽입해 비위관을 흡인한다.
11. 처방에 따라 약물(항구토제, 제산제, 히스타민 수용기 차단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하였다.
2. 매 시간 섭취량과 배설량을 사정하였다.
3. 대상자가 탈수증상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피부탄력성, 구강점막 등)
4. 대상자의 시간당 소변량과 소변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5. 대상자에게 수분섭취를 격려하였다.
6.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라 체액 및 전해질균형을 위해 정맥 수액을 통해
보충해주었다.
- Dextrose Injection 5% 1L을 처방에 따라 정맥으로 투여하였다.
- N/S 1000ml/bag, K-40 40mEq/amp를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7.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체중계로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 후 기록하였다.
8. 대상자에게 수분 및 전해질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합병증을 사정하였다.
9. 대상자에게 구토완화 및 구강점막보호를 위하여 매일 구강간호를 제공해주었다.
10. 대상자에게 L-tube를 삽입해 비위관을 흡인하였다.
11. 처방에 따라 약물(항구토제, 히스타민 수용기 차단제)를 투여하였다.
- Macperan Injection 2ml(항구토제)을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 N/S 50mg, Curan Injection 50mg(히스타민 수용기 차단제)을 처방에
따라 투여하였다.
간호평가
날짜
4/12
4/13
4/14
I/O
1430/1600
1630/1850
1980/1980
1. 4월 14일 대상자는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유지하였다.
2. 4월 13일 대상자는 체액균형과 관련된 임상검사 상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 Hb: 16g/dL (정상: 12-16g/dL)
- Hct: 45% (정상: 34-47%)
- sodium: 137mmol/L (정상: 135-145mmol/L)
- potassium: 4.9mmol/L (정상: 3.5-5.5mmol/L)
3. 4월 16일 대상자는 체액불균형에 의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5.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저번보다 더 심해진 건 아니겠죠?”
“또 다시 수술을 해야 하는 건가요?”
“재발만 하다가 암으로 가는 건 아닌지 참..”
객관적 자료
입원하는 날부터 근심 걱정하는 표정이 관찰됨
침대에서 내려오지 않고 이불을 덮어쓰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치료 시 한숨을 내쉬며 ‘안 좋은 몸에 해서 뭐해’라며 중얼거리는 것을 관찰함
간호진단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예후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었다고 말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이내 자신의 불안상태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내에 불안 해소 할 수 있는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실천 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내에 질병의 예후와 치료의 장점, 중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2일 내에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계획
대상자의 불안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완화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담낭염 예후에 대한 정보를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예후와 질병치료 장점,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불안을 개방형 질문으로 질문하여 사정하였다.
대상자에게 불안에 대해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완화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명상요법, MBSR 등)
대상자에게 불안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대상자에게 질병치료 장점과 중요성에 대하여 교육하였다.
대상자에게 담낭절제술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4월 13일 대상자는 불안 상태에 대해 말로 표현하였다.
4월 13일 대상자는 불안 완화하는 2가지 이상의 방법을 알고 실천하여 불안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다. (명상요법, MBSR 등)
4월 13일 대상자는 질병의 예후와 치료 장점,중요성에 대하여 알고 적극적으로 받겠다고 말하였다.
4월 13일 대상자는 수술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담낭절제술을 받겠다고 말하였다.
4.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Ⅰ - 수문사 이향련·최철자 저 505~508p
· 성인간호학Ⅰ - 정담미디어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저 558~560p
· 세브란스 > 건강정보 > 질환정보 > 담낭염 환자의 치료와 관리
·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
키워드
추천자료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 문헌고찰, 간호사정(건강사정),...
급성호흡부전 케이스, 병태생리,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A+ 받았습니다.
CASE STUDY 성인간호학 폐암 Lung Cancer 간호진단 A+ 받았습니다. 간호과정, 진단 8개
급성 췌장염 케이스 스터디(Acute pancreatits 케이스, Acute pancreatits CASE STUDY, Acute...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급성신우신염 간호과정, 급...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욕창 케이스 스터디 A+ ( 욕창 케이스 스터디, 욕창 간호과정, BED SORE CASE STUDY, 욕창 간...
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 A+ - (백내장 케이스 스터디, 백내장 간호과정, 백내장 간호...
PED실습 intussusseptions(장중첩증) CASE STUDY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A+성적받은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