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1) Apgar Score
(2) 신생아의 신체 성숙도
(3) 신생아의 근 신경계 성숙도
(4) 신생아의 반사 사정
(5) 신생아의 활력 징후 및 신체 측정
(6) 신생아 신체 사정
(7) 신생아 간호 중재
(8) 과숙아
(8) 태변흡인 증후군
Ⅱ. 본론
2. 간호 과정
Ⅲ. 결론
1. 실습 소감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1) Apgar Score
(2) 신생아의 신체 성숙도
(3) 신생아의 근 신경계 성숙도
(4) 신생아의 반사 사정
(5) 신생아의 활력 징후 및 신체 측정
(6) 신생아 신체 사정
(7) 신생아 간호 중재
(8) 과숙아
(8) 태변흡인 증후군
Ⅱ. 본론
2. 간호 과정
Ⅲ. 결론
1. 실습 소감
본문내용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1
태변 흡인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정상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O2 saturation을 95% 이상 유지하고 청색증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산소를 제공한다.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쾌적한 입원생활 환경을 마련한다.
필요시 기도 삽관 후 태변을 제거한다.
대상자가 안정된 호흡수로 돌아올 때까지 1시간 마다 활력징후와 SPO2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면서 호흡양상 (grunting, chest retraction, 청색증의 유무)을 관찰하였다.
인공호흡기로 Nasal C-PAP(지속양압치료)를 Fio2 60% 적용하였다.
인큐베이터 안의 온도, 습도를 각각 온도 35.0°C, 습도 : 50%로 설정해 유지하였고, 하루 한 번씩 내부를 소독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호흡률이 현재 출생 전보다
증가한 양상을 보이고 O2 saturation이 96%로 회복되었다.
Object Data
5/5 ABGA
pH : 7.22
PCO2 : 47.7
PaO2 : 68.y
HCO3- : 14.5
호흡성 산증,
O2 saturation
: 92%
2.
5/5 V/S 11am
BT : 36.8°C
PR : 135회/min,
SPO2 : 44
hypoxia 보여 G-tube 삽관
3. 얼굴 주위, 발바닥 창백함
간호 사정
(Data Collection)
간호 진단
(Diagnosis)
간호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2
폐 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장기 목표 >
대상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한다.
< 단기 목표 >
호흡 양상 (호흡 수, 호흡음, 리듬, 깊이, 흉부 견축정도) 이 정상이다.
saturation 수치가 정상 수치인 97~100%로 회복한다.
호흡양상 및 피부색을 사정한다.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한다.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호흡양상은 apnea를 보이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피부색은 창백하였다.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갑작스런 saturation 하강 시에 suction을 수행하였다.
suction 후 산소후드로 3L로 공급하였다.
apnea 횟수가 감소하였고 호흡 양상이 안정적으로 회복되었다.
지속적으로 오르내리던 saturation 수치가 97~
99%를 유지하였다.
Object Data
5/5
호흡 시 흉부 함몰이 보임
5/5
호흡 시 가래가 끓는 듯한 후두음, 그르렁거리는 소리 들림
5/5 기도분비물 있음
5/5 saturation이 86~89% 범위에 있음
간호 사정
(Data Collection)
간호 진단
(Diagnosis)
간호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3
태변착색과 관련된
피부손상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감염되지 않는다.
< 단기 목표 >
태아가 흡인한 태변이 제거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간호 전, 후에 손을 씻고 장갑을 착용한다. (교차 감염, 원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활력징후를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상승 시 보고한다.
3. 손, 발톱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무균적 드레싱을 실시한다.
간호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장갑을 착용했다. (학생, 간호사)
V/S 측정 시 BT 37.9°C로 측정되어 간호사에게 보고하고 덮고 있던 이불을 치워주었다.
손, 발톱 태변 착색과 짓무름의 정도가 출생 시보다 옅어진 양상을 보였다.
(2015.05.10.)
Object Data
1.
5/5
손, 발톱이 태변으로 착색되어 있음
2.
5/5
손, 발톱 사이사이가 짓무른 상태임
간호 사정
(Data Collection)
간호 진단
(Diagnosis)
간호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 단기 목표 >
간호 전, 후에 손을 씻고 장갑을 착용한다.
V/S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상승 시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손, 발톱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무균적 드레싱을 해준다.
간호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장갑을 착용했다. (학생, 간호사)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Object Data
5/10
suction 3회 시행함
5/10
인공호흡기로 호흡하고 있음
IV로 5% D/W ,NaCl, K mix 주입중 (5/5~10)
WBC : 9.4
5/10 10am
BP : 37.4°C
Ⅲ. 결론
1. 실습 소감
2학년이 되어 첫 실습을 신생아실로 나가게 되었다. 아이를 좋아하지도 않아서 걱정되었는데 막상 나가니 아기들이 너무 신기했고 출생 직후 처치하는 과정 또한 글에서 배운 것과는 차원이 다른 생생함이 느껴졌다. 실습이 처음이라 모든 것이 서툴고 모자라는 점이 많아서 선생님들에게 지적도 많이 당하고 꾸중도 들어서 신생아실에 폐를 끼친 것 같아 죄송한 때가 많았었다. 그래도 열심히 가르쳐주시고 하나하나 다 설명해주셔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다른 것들은 교과서에서도 보고 배운 것이었지만 처음으로 알게 된 것은 dimple이라고 출생 시 신체 사정 및 처치를 할 때에 항문 주위에 패이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있는데 패여 있으면 그 자리에 분변이 끼어 신경을 손상시켜 뇌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잘 확인해주어야 한다고 하셨다. 매일 아이들이 거의 세 명씩 태어나서 저 출산이라는 요즘 시대에 무색하게 눈 앞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자세히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첫 실습에 많이 부족하고 모자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 아쉽고 한 번 더 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많은 것을 배우고 모든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었던 시간이었다.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1
태변 흡인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정상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 단기 목표 >
대상자는 O2 saturation을 95% 이상 유지하고 청색증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처방에 따라 산소를 제공한다.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쾌적한 입원생활 환경을 마련한다.
필요시 기도 삽관 후 태변을 제거한다.
대상자가 안정된 호흡수로 돌아올 때까지 1시간 마다 활력징후와 SPO2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면서 호흡양상 (grunting, chest retraction, 청색증의 유무)을 관찰하였다.
인공호흡기로 Nasal C-PAP(지속양압치료)를 Fio2 60% 적용하였다.
인큐베이터 안의 온도, 습도를 각각 온도 35.0°C, 습도 : 50%로 설정해 유지하였고, 하루 한 번씩 내부를 소독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호흡률이 현재 출생 전보다
증가한 양상을 보이고 O2 saturation이 96%로 회복되었다.
Object Data
5/5 ABGA
pH : 7.22
PCO2 : 47.7
PaO2 : 68.y
HCO3- : 14.5
호흡성 산증,
O2 saturation
: 92%
2.
5/5 V/S 11am
BT : 36.8°C
PR : 135회/min,
SPO2 : 44
hypoxia 보여 G-tube 삽관
3. 얼굴 주위, 발바닥 창백함
간호 사정
(Data Collection)
간호 진단
(Diagnosis)
간호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2
폐 기능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장기 목표 >
대상자가 정상적으로 호흡한다.
< 단기 목표 >
호흡 양상 (호흡 수, 호흡음, 리듬, 깊이, 흉부 견축정도) 이 정상이다.
saturation 수치가 정상 수치인 97~100%로 회복한다.
호흡양상 및 피부색을 사정한다.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한다.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호흡양상은 apnea를 보이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피부색은 창백하였다.
산소포화도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갑작스런 saturation 하강 시에 suction을 수행하였다.
suction 후 산소후드로 3L로 공급하였다.
apnea 횟수가 감소하였고 호흡 양상이 안정적으로 회복되었다.
지속적으로 오르내리던 saturation 수치가 97~
99%를 유지하였다.
Object Data
5/5
호흡 시 흉부 함몰이 보임
5/5
호흡 시 가래가 끓는 듯한 후두음, 그르렁거리는 소리 들림
5/5 기도분비물 있음
5/5 saturation이 86~89% 범위에 있음
간호 사정
(Data Collection)
간호 진단
(Diagnosis)
간호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3
태변착색과 관련된
피부손상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감염되지 않는다.
< 단기 목표 >
태아가 흡인한 태변이 제거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간호 전, 후에 손을 씻고 장갑을 착용한다. (교차 감염, 원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활력징후를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상승 시 보고한다.
3. 손, 발톱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무균적 드레싱을 실시한다.
간호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장갑을 착용했다. (학생, 간호사)
V/S 측정 시 BT 37.9°C로 측정되어 간호사에게 보고하고 덮고 있던 이불을 치워주었다.
손, 발톱 태변 착색과 짓무름의 정도가 출생 시보다 옅어진 양상을 보였다.
(2015.05.10.)
Object Data
1.
5/5
손, 발톱이 태변으로 착색되어 있음
2.
5/5
손, 발톱 사이사이가 짓무른 상태임
간호 사정
(Data Collection)
간호 진단
(Diagnosis)
간호 목표
(Goal)
간호 계획
간호 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 Data
#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 단기 목표 >
간호 전, 후에 손을 씻고 장갑을 착용한다.
V/S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기록하며 상승 시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손, 발톱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무균적 드레싱을 해준다.
간호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장갑을 착용했다. (학생, 간호사)
대상자에게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
Object Data
5/10
suction 3회 시행함
5/10
인공호흡기로 호흡하고 있음
IV로 5% D/W ,NaCl, K mix 주입중 (5/5~10)
WBC : 9.4
5/10 10am
BP : 37.4°C
Ⅲ. 결론
1. 실습 소감
2학년이 되어 첫 실습을 신생아실로 나가게 되었다. 아이를 좋아하지도 않아서 걱정되었는데 막상 나가니 아기들이 너무 신기했고 출생 직후 처치하는 과정 또한 글에서 배운 것과는 차원이 다른 생생함이 느껴졌다. 실습이 처음이라 모든 것이 서툴고 모자라는 점이 많아서 선생님들에게 지적도 많이 당하고 꾸중도 들어서 신생아실에 폐를 끼친 것 같아 죄송한 때가 많았었다. 그래도 열심히 가르쳐주시고 하나하나 다 설명해주셔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다른 것들은 교과서에서도 보고 배운 것이었지만 처음으로 알게 된 것은 dimple이라고 출생 시 신체 사정 및 처치를 할 때에 항문 주위에 패이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있는데 패여 있으면 그 자리에 분변이 끼어 신경을 손상시켜 뇌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잘 확인해주어야 한다고 하셨다. 매일 아이들이 거의 세 명씩 태어나서 저 출산이라는 요즘 시대에 무색하게 눈 앞 가까이에서 관찰하고 자세히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첫 실습에 많이 부족하고 모자란 모습을 보여드린 것 같아 아쉽고 한 번 더 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많은 것을 배우고 모든 것이 신기하고 재미있었던 시간이었다.
추천자료
심부정맥 혈전증의 진단및 치료와 간호
화상환자 케이스스터디
정신 정신분열병 (조현병,schizophrenia )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Lung cancer][폐암] 문헌고찰
류마티스 (류마티스 병동 약어, 자가 면역 질환, 류마티스 병동에서 관찰 요하는 검사, 진단...
임신성 고혈압 PIH(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간호과정 자간전증 케이스 case study
[성인간호학] [종격동질환] [mediastium mas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정신분열증][Schizopre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ICH 간호과정, ICH 케이스, ICH 케이스 스터...
성인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입니다. (아동 간호과정) (폐렴간호과정)
[간호학] 인두후부농양, 이미증, 요로감염, 신장증, 신아세포증
[간호] 중수지관절(MCP joint)배측 하방관절낭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