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성 고혈압 PIH(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간호과정 자간전증 케이스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신성 고혈압 PIH(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간호과정 자간전증 케이스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임신성 고혈압의 원인
2)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
3) 임신성 고혈압의 진단방법
4) 임신성 고혈압의 증상
5) 임신성 고혈압의 간호과정
6) 임신성 고혈압의 예후
2. 간호과정
1) 사례 및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장기능장애, 뇌출혈 등의 증상을 사정한다.
(3) 분만 중 간호
태아 성장과 관계없이 제왕절개분만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4) 산욕기 간호
간호사는 HELLP 증후군, 간 손상 혹은 경련의 재발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맥박이 상승되거나 소변배설량이 감소하는 것은 실혈량이 증가함을 의미하고, 자궁마사지를 실시한다. 두통이나 시력장애의 증상이 있는지도 확인한다. methergine과 같은 자궁수축제는 혈압을 상승시키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cf) ergometrine : 체부, 경부 둘 다 수축→ 경부를 막아버림(출혈 막을 때 사용) / 옥시토신 : 자궁체부 수축
6) 임신성 고혈압의 예후
(1) 모체측
자간전증의 가장 확실한 치료방법은 임신 중단이다.(분만) 중증의 자간전증으로 모체측은 자간증, 폐부종, 뇌출혈, 우혈성 심부전증, 파종성 혈액응고장애, HELLP 증후군 등 많은 합병증을 경험할 수 있다. 자간증 시의 경련은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데 이는 두 개 내 출혈이나 울혈성 심부전증으로 인한 것이다.
(2) 태아측
저체중아가 되기 쉽다. 이는 모체의 혈관경련과 저혈량증으로 인해 태아 저산소증이나 영양 결핍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2. 간호과정
1) 사례 및 간호사정
34세 박○○씨는 28주된 산부로 정기검사를 위해 내원하였다. 내원 2주 전부터 손과 발에 부종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최근 1주일 동안 1.5kg의 체중 증가가 있다고 했다. 두통이나 상복부 통증은 없다고 했으며 urine stick 검사상 protein에서 ++의 결과가 나왔다. 의사는 경증 자간전증을 진단하고 산부의 증상 변화에 대한 관찰을 위해 입원하기로 했다.
※ 간호사정
* 활력징후 : 혈압 150/90mmHg, 체온 36.4℃, 맥박 78회/min, 호흡 18회/min 측정됨
* NST : Reactive
* roll-over test : positive
* 부종 : 손과 발에 요흔성 부종(++)
* 두통, 상복부 통증 : 없음
* 시야 흐림 : (-)
※ 가능한 간호진단
#1 혈관경련 및 혈관수축과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2 임신성 고혈압과 관련된 이차적인 손상의 위험성
2) 간호과정 적용
사 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주 전부터 손발이 퉁퉁 부어요”
“1주일만에 1.5kg이 쪘어요”
“두통은 없어요”
“배가 아프진 않아요”
1. BP 150/90mmHg
2. 손과 발에 요흔성 부종(++)
3. urine stick 검사상 protein++
4. roll-over test : positive
5. Dx. 경증 자간전증
간호진단
# 2 임신성 고혈압과 관련된 이차적인 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자간증으로 발전되지 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1. 식이교육을 한다.
2. 하루에 4회 혈압을 측정한다.
3.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부종의 정도를 확인한다.
4. 매일 단백뇨 검사를 하고 핍뇨 여부를 확인한다.
5. 매일 두통, 시야 흐림, 심와부 통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6. HELLP증후군 여부를 확인한다.
7. 안위를 유지해준다.
8. 체위 변경을 해준다.
간호중재
1. 고단백식이, 고섬유소 및 수분 섭취를 격려하였다.
2. A9, P1, P5, P9 시간에 혈압을 측정하였다.
3. A8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고 요흔성 부종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4. 단백뇨검사를 하고 핍뇨 여부를 확인하였다.
5. 두통, 시야 흐림, 심와부 통증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6-1. HELLP증후군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소판수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CBC검사를 시행하였다.
6-2. 간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7-1. 조용하고 자극이 적은 환경을 유지해주었다.
7-2. side rail을 올려주었다.
8. 좌측위를 취하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1. 골고루 영양섭취를 한다.
2. 혈압이 130/90mmHg으로 나타났다.
3. 체중이 한 달 후에 1.5kg 증가하였다.
4. 요단백이 1+, 24시간 소변수집에서 소변량이 700ml이다.
5. 두통, 시야 흐림, 심와부 통증이 없다.
6-1. CBC 검사 상 RBC, WBC, Platelet 등 수치 모두 정상이다.
6-2. LDH, AST, ALT 등 간효소 수치 모두 정상이다.
7-1. 안정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7-2. 경련 시 손상예방을 대비해 적용하였다.
8. 좌측위를 취해 줌으로써 순환혈류랑이 증가하여 혈압이 낮게 측정되었다.
Ⅲ. 결론
1. 참고문헌
제7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수문사. 2012.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9.27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9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