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음의 체계
2. 모음의 체계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Ⅱ. 본론
1. 자음의 체계
2. 모음의 체계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러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서는‘ㅐ,ㅔ’가 구별되지 않고‘ㅚ,ㅟ’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는 현실음을 감안하여 다음과 같이 7모음 체계를 따르고 있다.
→ ㅏ ㅓ ㅗ ㅜ ㅡ ㅣ ㅐ(ㅔ)
그리고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15세기의 단모음은 기본자와 초출자를 합하여 7모음이었고, 현대국어의‘ㅣ’모음을 제외한 단모음 중 전설모음 <ㅐㅔㅚㅟ>는‘후설모음+활음’의 구조로 된 이중모음이었다. 그러나 근대 국어 시기를 거치면서 활음에 선행한 후설모음들이 점차 전설모음으로 바뀐 것이다. 그리고 현대 국어의 단모음 중 ‘ㅚ,ㅟ’가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중모음‘ㅖㅕㅢ’도 표준 발음법에서 조건에 따라 ‘ㅔㅓㅣ’의 단모음으로 발음나기도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훈몽자회>와 <한글맞춤법>에 나타난 자모체계를 배열순서, 소실자음과 모음, 그리고 경음(전탁음)과 단모음 및 이중모음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특히 현대국어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에 대하여는 앞으로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Ⅳ. 참고문헌
채완(1999), <훈몽자회>와 한글맞춤법, 새국어생활 제9권 2호 pp.19∼29, 국립국어원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www.naver.com
→ ㅏ ㅓ ㅗ ㅜ ㅡ ㅣ ㅐ(ㅔ)
그리고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 15세기의 단모음은 기본자와 초출자를 합하여 7모음이었고, 현대국어의‘ㅣ’모음을 제외한 단모음 중 전설모음 <ㅐㅔㅚㅟ>는‘후설모음+활음’의 구조로 된 이중모음이었다. 그러나 근대 국어 시기를 거치면서 활음에 선행한 후설모음들이 점차 전설모음으로 바뀐 것이다. 그리고 현대 국어의 단모음 중 ‘ㅚ,ㅟ’가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중모음‘ㅖㅕㅢ’도 표준 발음법에서 조건에 따라 ‘ㅔㅓㅣ’의 단모음으로 발음나기도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훈몽자회>와 <한글맞춤법>에 나타난 자모체계를 배열순서, 소실자음과 모음, 그리고 경음(전탁음)과 단모음 및 이중모음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특히 현대국어의 단모음과 이중모음에 대하여는 앞으로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Ⅳ. 참고문헌
채완(1999), <훈몽자회>와 한글맞춤법, 새국어생활 제9권 2호 pp.19∼29, 국립국어원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www.naver.com
추천자료
2009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훈민정음 원리분석
훈민정음의 이해
[언어의 이해] 06강 형태론
2013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언어의 이해 E형] 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전설모음화(‘l’ 모음 역행동화)
[언어의 이해 A형] 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시오.
[언어의이해 E참고 자료] 인간언어의 본질을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2015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언어의 이해 D형] 언어기호의 특성을 설명하시오.
[언어의 이해 E형] 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언어의 이해 A형] 인간언어의 본질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