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배려와 피해
2) 공평함과 부정
3) 충성심과 배신
4) 권위와 전복
5) 고귀함과 추함
3. 결론
4. 참고서적
2. 본론
1) 배려와 피해
2) 공평함과 부정
3) 충성심과 배신
4) 권위와 전복
5) 고귀함과 추함
3. 결론
4. 참고서적
본문내용
가 되는 것을 멀리하는 것이라 볼 수 있지만, 개인적인 유익 면에서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인다고 할 수 있는 안락사, 자살, 이혼, 혼전 성관계나 동거 등에 대해 혐오를 느끼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는 사람을 그저 물질 수준에서 유익과 해로움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은 다른 사물과 동물과는 전혀 다른 어떤 가치를 지닌다는 전제를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것은 사람을 숫자로 계산하지 않도록 하여 더욱 더 높은 이상과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살인자나 흉악 범죄자들의 경우 법과 재판을 통하여 공식적으로 죽이는 사형제도가 시행되기도 하고, 반대로 한 선량한 시민을 죽이면 여럿이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해도 사람을 죽이지 못하도록 하는 태도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것은 개개인의 가치를 무한히 높여주며, 이러한 존중함은 개인의 인생이 풍요로워 질 수 있도록 돕는다.
3. 결론
- 개인에게 가장 유익한 것은 가장 도덕적이며, 가장 도덕적인 것은 또한 가장 유익하다. 이로 인하여 사람은 자신에게 유익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바, 도덕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수행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적으로 살지 못하는 경우는, 여러 유익이 혼재할 때에 어떤 것이 가장 유익한지 판단할 수 있는 힘이, 지식적인 면에서나 정서적인 면에서 부족하기 때문이다. 사서오경 중 ‘대학’에서는 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순으로 도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천하를 다스리는 도를 깨우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지식을 쌓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도덕적이기를 원하고 도덕적이라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지만 무엇인 도덕적인 것인지 몰라 잘못된 선택을 한다. 사람들은 이익을 얻고자 하고 이익이라 보이는 것을 취하지만 무엇이 진정으로 이익인지 몰라서 상실하고 고통 받는다. 이렇듯 수많은 다양한 이익과 개인의 사정들이 서로 혼재하며 부딪히는 세상 가운데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란 너무나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람들이 서로 배우며, 배운 것을 가르치는 데에 애쓴다면, 사람에게 내재하여 있는 도덕성이 언젠가 온전히 삶 가운데에 실현되며, 또한 그것이 온전히 사람에게 유익이 되는 날이 올 것이다.
4. 참고서적
조너선 하이트, 「바른 마음」, 왕수민 역, 서울: 웅진, 2014.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 김미영 역, 경기: 나남, 2014.
3. 결론
- 개인에게 가장 유익한 것은 가장 도덕적이며, 가장 도덕적인 것은 또한 가장 유익하다. 이로 인하여 사람은 자신에게 유익한 것이 무엇인지를 아는 바, 도덕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고 수행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덕적으로 살지 못하는 경우는, 여러 유익이 혼재할 때에 어떤 것이 가장 유익한지 판단할 수 있는 힘이, 지식적인 면에서나 정서적인 면에서 부족하기 때문이다. 사서오경 중 ‘대학’에서는 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의 순으로 도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천하를 다스리는 도를 깨우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지식을 쌓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사람들은 도덕적이기를 원하고 도덕적이라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지만 무엇인 도덕적인 것인지 몰라 잘못된 선택을 한다. 사람들은 이익을 얻고자 하고 이익이라 보이는 것을 취하지만 무엇이 진정으로 이익인지 몰라서 상실하고 고통 받는다. 이렇듯 수많은 다양한 이익과 개인의 사정들이 서로 혼재하며 부딪히는 세상 가운데에서,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란 너무나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람들이 서로 배우며, 배운 것을 가르치는 데에 애쓴다면, 사람에게 내재하여 있는 도덕성이 언젠가 온전히 삶 가운데에 실현되며, 또한 그것이 온전히 사람에게 유익이 되는 날이 올 것이다.
4. 참고서적
조너선 하이트, 「바른 마음」, 왕수민 역, 서울: 웅진, 2014.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충족이유율의 네 겹의 뿌리에 관하여」, 김미영 역, 경기: 나남, 2014.
추천자료
스포츠사회학 개론 연구문제 풀이
스포츠사회학이론 (구조기능주의, 갈등, 비판, 상호작용이론)
체육과 체육사회학
(사회학개론) 사회학의 쟁점이된 환경, 환경과 위험
[사회학개론] 정치, 정부, 테러리즘(정치사회학, 민주주의, 민족주의)
(자기생애) 사회학개론의 수업주제중 하나를 골라(예. 불평등, 일탈, 사회화.. 등등 수업시간...
일탈행위의 기능과 모순(사회학개론, 일탈행위기능, 일탈행위모순)PPT, 프레젠테이션
사회학개론_한국 미디어 시장의 소유구조가 미디어 산물에 미치는 문제점들을 설명하고 그것...
사회학개론] 새로운 인재상은 어떤 사람인지 기술하고 사회와 개인이 대비할 과제를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