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증례
Ⅲ. 고찰
Ⅳ. 참고문헌
Ⅱ. 증례
Ⅲ. 고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6g, 白朮·茯笭 各9g, 甘草炙 3g, 熟地黃 12g, 當歸·白芍藥 各9g, 川芎 6g, 黃 12g, 肉桂 3g으로 구성되는 처방으로 病後의 체력 저하, 피로, 권태, 냉증, 빈혈, 도한, 식욕저하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처방이다 박성규, 김윤경, 오명숙. 처방제형학. 서울. 영림사. 2010. p208.
. 補血劑인 四物湯과 補氣劑인 四君子湯을 합하고 肉桂, 黃를 더한 처방으로 얼굴색도 나쁘고 원기도 없는 氣血兩虛 상태를 치료하는 氣血雙補劑이다 Atsushi Ishige, Kou Nishimura. 한방처방해설. 서울. 신흥메드싸이언스. 2013. pp174-5.
.
또한 十全大補湯, 加味十全大補湯 등과 항생제를 병용 사용하였을 경우 항생제를 단독 투여하였을 때 보다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는 사례도 보고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환자의 경우는 잦은 폐렴 감염과 Cb-inf.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동반하여 기력이 매우 떨어져 있어 기타 합병증의 발현이 우려되기까지 하는 극도의 虛證 환자이므로 氣血雙補劑인 十全大補湯을 처방하여 볼 수 있다. 단 비위기능이 약해 보약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에는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 補血劑인 四物湯과 補氣劑인 四君子湯을 합하고 肉桂, 黃를 더한 처방으로 얼굴색도 나쁘고 원기도 없는 氣血兩虛 상태를 치료하는 氣血雙補劑이다 Atsushi Ishige, Kou Nishimura. 한방처방해설. 서울. 신흥메드싸이언스. 2013. pp174-5.
.
또한 十全大補湯, 加味十全大補湯 등과 항생제를 병용 사용하였을 경우 항생제를 단독 투여하였을 때 보다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는 사례도 보고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환자의 경우는 잦은 폐렴 감염과 Cb-inf.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를 동반하여 기력이 매우 떨어져 있어 기타 합병증의 발현이 우려되기까지 하는 극도의 虛證 환자이므로 氣血雙補劑인 十全大補湯을 처방하여 볼 수 있다. 단 비위기능이 약해 보약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에는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동서협진과 CASE] Confusion mentality를 호소하는 ICH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객담 호흡곤란 사지마비를 호소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객담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뇌경색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객담을 호소하는 뇌교경색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뇌경색 재발로 인한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연하장애를 호소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사지마비를 호소하는 남환 1례
[동서협진과 CASE]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Cb-inf 및 HTN 남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