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드론산업의 확장
가. 상업적 활용영역의 확대
나. 공공분야 활용
III. 시스템 핵심요소기술
가. 비행 제어
나. 충돌 회피
다. 센서
라. 자동이착륙
IV. 결어
V. 참고문헌
국내문헌
해외문헌
II. 드론산업의 확장
가. 상업적 활용영역의 확대
나. 공공분야 활용
III. 시스템 핵심요소기술
가. 비행 제어
나. 충돌 회피
다. 센서
라. 자동이착륙
IV. 결어
V. 참고문헌
국내문헌
해외문헌
본문내용
업체 1,200여곳 중 실제로 스마트 드론 제작·판매로 상업적 이익을 거두는 업체는 20-30여곳에 불과할 만큼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스마트 드론 선도기업들은 드론을 중심으로 스마트 생태계를 구축,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자동항법시스템, 충돌회피알고리즘 등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매진하고 있어 향후 기술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드론산업이 스마트 드론 시장에서 초기 선점에 실패한 이유는 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규제, 좁은 내수시장 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기업들의 자유로운 발전 시도가 제한되는 규제환경의 영향이 크다.
즉, 가격경쟁력으로 초기 민간시장 보급이 가능한 기술수준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규제환경이 스마트 드론 비즈니스의 응용분야 확장 및 소비자 층 확대의 선순환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오철, 「중국 드론산업 규제완화 정책의 특징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정책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16, pp.35-36
우리 정부는 드론 관련 법제도 마련과 산업 육성사이에서 갈팡질팡 하고 있는 사이에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드론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여 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드론 규제 프리존 도입, 국토교통부 드론 시범사업, 전용주파수 테스트 등에 앞으로 1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국내 드론산업의 성장을 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드론 관련 규제를 빠르게 정비하고, 드론 관련 핵심기술 확보와 투자를 해가면서 인프라, 교통, 농업,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Ⅴ. 참고문헌
[국내문헌]
ㅇ 이상춘 외 3인, “드론의 공공임무 활용”,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016.2월, p.100
ㅇ 송준영, “[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드론, 공공수요 창출 ‘투트랙’ 전략 필요”, 전자신문, 2017.4.14., http://www.etnews.com/20170411000250
ㅇ 김한식, “[기술사업화 허브, GIST GTI] <6> 드론특화 기업 육성“, 『전자신문』, 2017.6.7.,
ㅇ 배영임 외, 「드론산업 육성의 전제조건」, 『이슈&진단』, 경기연구원, 2016
ㅇ 오철, 「중국 드론산업 규제완화 정책의 특징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정책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16
ㅇ 윤자영, 「드론의 현황과 규제완화 정책」, 산업연구원, 2016
ㅇ 이정훈, “美 FAA, 영화제작 드론 첫 승인.. 상업드론 확산될 듯”, 『이데일리』, 2014.9.26.,
ㅇ 이성엽, 「드론 기술현황 및 기술경쟁력 분석」, 『산은조사월보』, KDB 산업은행, 2016
ㅇ 정훈 외, 「드론을 이용한 물류서비스 추진방향」, 『우정정보』, 2015
[해외문헌]
ㅇ Clay Dillow, "Drones makers create new lobbying group after split from Google, Amazon", 『Fortune』, 2016.4.5.,
ㅇ “PwC global report on the commercial applications of drone technology”, PwCIL, 2016
앞서 설명한 스마트 드론 선도기업들은 드론을 중심으로 스마트 생태계를 구축,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동시에, 자동항법시스템, 충돌회피알고리즘 등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매진하고 있어 향후 기술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드론산업이 스마트 드론 시장에서 초기 선점에 실패한 이유는 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규제, 좁은 내수시장 등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기업들의 자유로운 발전 시도가 제한되는 규제환경의 영향이 크다.
즉, 가격경쟁력으로 초기 민간시장 보급이 가능한 기술수준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규제환경이 스마트 드론 비즈니스의 응용분야 확장 및 소비자 층 확대의 선순환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오철, 「중국 드론산업 규제완화 정책의 특징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정책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16, pp.35-36
우리 정부는 드론 관련 법제도 마련과 산업 육성사이에서 갈팡질팡 하고 있는 사이에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드론에 관한 규제를 완화하여 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드론 규제 프리존 도입, 국토교통부 드론 시범사업, 전용주파수 테스트 등에 앞으로 1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국내 드론산업의 성장을 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드론 관련 규제를 빠르게 정비하고, 드론 관련 핵심기술 확보와 투자를 해가면서 인프라, 교통, 농업,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 서비스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Ⅴ. 참고문헌
[국내문헌]
ㅇ 이상춘 외 3인, “드론의 공공임무 활용”,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016.2월, p.100
ㅇ 송준영, “[신산업, 4차 산업혁명으로 활로 찾자] 드론, 공공수요 창출 ‘투트랙’ 전략 필요”, 전자신문, 2017.4.14., http://www.etnews.com/20170411000250
ㅇ 김한식, “[기술사업화 허브, GIST GTI] <6> 드론특화 기업 육성“, 『전자신문』, 2017.6.7.,
ㅇ 배영임 외, 「드론산업 육성의 전제조건」, 『이슈&진단』, 경기연구원, 2016
ㅇ 오철, 「중국 드론산업 규제완화 정책의 특징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정책연구』, 한국경제연구원, 2016
ㅇ 윤자영, 「드론의 현황과 규제완화 정책」, 산업연구원, 2016
ㅇ 이정훈, “美 FAA, 영화제작 드론 첫 승인.. 상업드론 확산될 듯”, 『이데일리』, 2014.9.26.,
ㅇ 이성엽, 「드론 기술현황 및 기술경쟁력 분석」, 『산은조사월보』, KDB 산업은행, 2016
ㅇ 정훈 외, 「드론을 이용한 물류서비스 추진방향」, 『우정정보』, 2015
[해외문헌]
ㅇ Clay Dillow, "Drones makers create new lobbying group after split from Google, Amazon", 『Fortune』, 2016.4.5.,
ㅇ “PwC global report on the commercial applications of drone technology”, PwCIL, 2016
추천자료
디지털 도서관의 활용 구축 방안
BSC를 활용한 ITO공급사 선정기준과 IT아웃소싱서비스 평가방안
실천체험중심 ICT 활용 교육
[지리정보시스템][GIS][지리정보활용]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정의, 발전과정, 지리정보시스템...
중소기업의 전자무역의 활용 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ATM][ATM 핸드오버 기법][ATM과 동기방식 차이][유럽 ATM 활용 사례]ATM의 개념, ATM의 개발...
[IPv6][IPv6의 정의][IPv6의 필요성][IPv6의 연동][IPv6의 주소체계][IPv6의 교육학술정보화 ...
아웃소싱의 이해, 전략적 활용, 문제점과 방안
소셜미디어의 이해와 브랜드관리 활용사례
세계사 교재화 연구(박물관 견학을 활용한 프로젝트 협동학습)
우리나라 정부부문에서의 정보활용 사례
<손자병법>의 경영전략 활용 가능성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