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정부부문에서의 정보활용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정부부문에서의 정보활용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책정보의 활용

3. 정책과정에서 정보의 역할

4. 정보 활용 사례(현황)

5. 문제점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네지면 정보는 가공 처리되고 부가가치를 갖게 된다. 민간사업자들은 사용자들이 공공정보를 보다 쉽게 접근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는 등으로 정보이용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므로 부가된 서비스가치 만큼의 이용대가는 사용자가 지불해야 한다. 만일 민간사업자의 공공정보 제공이 보편적 정보이용차원에서 제공되는 정부기관의 무료서비스 또는 정보공개법상의 청구에 의한 서비스보다 편리하지 않거나 대가가 없다고 하면 사용자들은 이용하지 않을 것이며 그러한 민간사업자는 퇴출당할 것이다. 특히 현재 사용자들은 어떤 기관에 어떤 정보가 있는지 알기 어려우므로 그들에게 다양한 접근 경로를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민간사업자가 필요한 것이다.
6. 결 론
정보산업에서 차지하는 정보 활용 분야의 비중이 커져가고 이것이 정보산업 선진화의 추세임을 인식한다면 정보 활용법의 다양한 개발과 확보는 현 시점에서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가 된다.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모든 미디어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자원의 내용물을 포괄하며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정보활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정보 중에서도 주목할 수 있는 부분이 공공부문에서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이다. 공공부문에서는 민간부문에서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방대한 양의 정보가 생산되고 수집되며 이들 정보에는 민간에서 조사가 불가능하거나 다른 정보원을 통해서는 얻기 힘든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국가의 중요한 정책이나 시책을 나타내거나 국가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정보로 평가되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강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공공정보는 공공부문이 보유하면서 제공하는 경우에는 원자료로서의 가치와 행정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민간부문에 제공하였을 경우에는 부가가치화를 통해 일반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서비스로 재창출 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정보를 알고 적절히 이용할 줄 아는 사람만이 생존할 수 있는 정보사회이다. 정보사회에서는 정보의 생산과 보유, 확보 나아가 정보의 공유, 활용의 측면이 강조되며 이는 정보사회 속에서 발전하는 정보산업의 기반이 된다. 전체 산업에서 정보산업이 차지하는 규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정보산업 가운데 특히 정보활용 분야는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지식과 정보가 결합된 지식기반 산업의 등장을 예고하며 지식기반 산업의 육성은 각종 정부 정책의 주요 과제로서 추진되어지는 21세기의 산업 성장과 고용 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정보의 활용 촉진은 사업 기회의 창출과 정보서비스의 제공으로 콘텐츠 분야, 나아가 지식기반 산업을 발전시키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공공부문, 특히 정부에서 추진하는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고객지향의 정부, 전자정부를 건설하는 데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지원, 정책분석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김지원·김현구, 정책평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공공데이터포털 www.data.go.kr
정책정보포털 policy.dibrary.net
공공부문의 지식관리시스템 활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 평가와 보상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ffecting Influence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Application of KMS in Public Sector, 구병관,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2010] [국내박사]
공공정보 활용에서의 정책집행게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Game for Utilizing of Public Sector Information, 박재현, 광운대학교 대학원,[2004] [국내박사]
공공기관의 데이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in Data Quality of Public Organizations, 정승호, 동국대학교,[2013] [국내박사]
전자정부 활용성과의 인과관계 실증연구 : 한국 기초자치단체(시군구)의 업무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 of E-Government Utilization in Korea, 윤정수, 서울산업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2010] [국내박사]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2.29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00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