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의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경변증의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양방 치료
Ⅲ. 한방 치료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족하여 형체소수하며 습울로 인해 부종 소변적삽 등이 있고 어혈증상이 출현한다.
청열리습 활혈화어축수
생간건비탕. 수습대사 이상징후가 있을 때는 팔정산과를 활용
2. 섭생(A)
치료의 근본은 보허보비 정기보호. 정기의 보양은 약에 우선하여 과로를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통한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 휴식을 통해 간의 각종 대사기능을 보호하고 촉진하여 병변의 발전을 저지한다. 보혈제나 자음 또는 강장제는 간을 혹사시켜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간장약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음식금기: 고열량 고당질 고단백질 고비타민 섭취가 원칙. 체중감소가 있으면 45~50kcal/kg를 섭취하고 그 중에 지방은 열량의 25% 이하가 되도록 하여 간에 부담을 줄여야 함. 복수나 족부종이 있는 간경변증 환자는 염분(Na)을 제한하고 배뇨장애가 심하면 수분섭취도 어느 정도 제한한다.
간성뇌증상이 있으면 육류 계란류 어류 등 단백질섭취를 제한하고 콩류의 식물성 단백질을 최소로 섭취한다.
3. 침구(B)
주혈은 부류 삼음교 태충이고, 배혈은 열결 내관 합곡 족삼리
복수에는 부류 삼음교, 수종에는 합곡 족삼리를 가하고 식욕부진에는 삼음교 족삼리를 자하는 것이 좋다. 고창에 소변불리하면 수분혈에 灸 50장을 한다.
Ⅳ. 참고문헌
전국 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 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서울: 도서출판 나도. pp352-356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개정. 서울: 도서출판 진기획. 2011. pp14-60
김동우. 한방으로 다스리는 간. 서울: 홍신문화사. 2006. pp.192-226

추천자료

  • 가격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6.02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