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개론)지정된 영화를 보고 사회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실증주의와 반실증주의)을 활용해서 그 영화를 해석해 보시오 매직 인더 문라이트 2014 우디앨런 감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학개론)지정된 영화를 보고 사회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각(실증주의와 반실증주의)을 활용해서 그 영화를 해석해 보시오 매직 인더 문라이트 2014 우디앨런 감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실증주의와 반실증주의의 의미

Ⅱ. 본론
1. 실증주의 중심의 해석
2. 반실증주의 중심의 해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립과 화합, 그리고 사랑 이야기인 것이다. 비록 영화는 그 반전으로 소피가 사실 진정한 심령술로 스탠리의 과거를 알아낸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심령술’이 가지는 허구성을 드러내놓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증주의자와 반실증주의자가 만나 서로의 가치관을 공유하고, 처음에는 의심하던 사이에서 서로를 인정하고 결국 사랑에 빠지는 과정은 실증주의와 반실증주의 논쟁이 나아가야 할 길을 보여주려는 의도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필자의 경우는 실증주의적 입장이 보다 마음에 와 닿으며 실증주의자의 입장을 받아들이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 생각한다. 결과적으로 실증주의로 해석할 수 없었던 ‘심령술’은 실증주의로 해석할 수 없었던 것이 아니라 친구인 하워드와 연인 소피가 사실은 서로 알고 지냈으며 이들이 스탠리를 골리기 위해 계획을 세웠다는 관찰 가능한 ‘사실’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비롯된 한계인 것이다. 결국 실증주의가 세계를 해석하는 데 있어 가지는 한계, 즉 정보의 부재가 있다면 실증주의가 설명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진다는 점을 보여줄지는 몰라도 ‘실증주의’ 자체가 가지는 합리성과 논리성을 훼손하지는 못하는 것이며 이 자체로 반실증주의의 타당성을 주장할 수는 없는 것이다.
즉, <매직 인 더 문라이트>는 반실증주의의 입장이 명확히 드러나고 세상에 대한 해석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알려줄 수 있다기 보다는 그저 심령술이라는 사기를 통해 이어지게 된 연인의 해프닝을 그려낸 로맨틱 코미디 영화라는 것이 필자가 생각한 영화의 평이라고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매직 인더 문라이트. 2014. 우디앨런 감독
  • 가격3,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6.12
  • 저작시기201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8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