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바탕으로 주인공 인물의 상징을 기술하고 융의 관점에서 자신의 의견을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바탕으로 주인공 인물의 상징을 기술하고 융의 관점에서 자신의 의견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융이 말하는 ‘어린 아니마’와 ‘추한 아니마’, ‘성숙한 아니마’의 상징은 누구이며 이유는 무엇인가?

2. 소피의 상징은 무엇인가?

3. 하울의 상징은 무엇인가?

4. 할머니의 상징은 따뜻함, 친화력, 여성성의 상실, 순수함인가?

5. 카루시파 ‘불’의 상징은 무엇인가?

6.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소피가 일하는 곳은 ‘모자가게’이다. 여기서 모자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가?

7.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 그림자의 상징은 누구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8.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 나타난 무의식은 무엇인가?

9. 어린아이인 소피는 할머니로 변했고 다시 젊어진다. 소피가 무엇을 표현할 때 할머니인 소피가 다시 젊어질 수 있었나? 그리고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11. 하울의 심장의 의미는 무엇인가?

12. 융의 관점에서 본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대한 본인의 의견은?
하나. 아니마
둘. 페르소나
셋. 그림자

본문내용

소나를 지니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고 이를 토대로 타인과의 관계를 이루어 간다고 했다. 하울과 소피, 그리고 모든 영화 속 등장인물은 자신만의 페르소나를 가지고 있었다. 영화 속 등장인물들은 자신의 페르소나를 지나치게 강화했기 때문에 진정한 사랑을 놓치고 자아를 잃어버린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었다. 영화 말미에 허수아비와 하울, 소피와 카루시파는 자신의 페르소나를 진정한 사랑과 애정으로 벗어버릴 수 있었다. 진정한 사랑을 쟁취하고 주체성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이 만든 페르소나를 벗어버려야 한다.
셋. 그림자
그림자란 페르소나에 눌려있던 부분 즉, 인생을 살아오면서 자신이 돌보지 못하고 애써 외면했던 자신의 부정적 모습을 의미한다. 인간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페르소나를 강화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그림자는 억압되고 응어리 진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영화 속에 그림자는 바로 하울의 어두운 단면, 약해진 자존감을 의미한다. 하울은 자신의 그림자와 직면하지 못했기에 온갖 부적으로 자신을 외부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애썼던 것이다. 인간이 자신의 삶 속에서 진정한 행복을 누리기 위해서는 결국 자신의 그림자와 직면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 가격5,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06.15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