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구투약
2. 국소투약
♣ 참고문헌
2. 국소투약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자들은 앙와위로 누운 채로 다리만 외전시키게 한다.
<5> 직장 내 좌약 투여
1) 실습목적
직장을 통해 정확하게 약물을 투여한다.
직장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전에 사정해야 할 요인들을 기술한다.
직장을 통한 약물 투여 시 필요한 지침들을 기술한다.
대상자가 사용하는 약물 용량에 관한 교육 계획을 준비한다.
2) 준비물품
직장용 좌약, 수용성 윤활제, 깨끗한 일회용 장갑, 휴지, 투약카드
3) 방법
⑴ 손을 씻는다.
⑵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⑶ 물품을 침상가에 배열한다.
⑷ 장갑을 착용한다.
⑸ 커튼을 치거나 병실문을 닫는다.
⑹ 대상자에게 심스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항문부위만 노출시키고 나머지는 덮어준다.
⑺ 항문의 외부상태를 검사하고 필요하다면 직장벽을 촉진한다. 장갑이 더러워졌으면 안쪽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벗어 적당한 용기에 버린다.
⑻ 새 장갑을 착용한다.
⑼ 좌약 포장지를 벗기고 둥근 끝 부분에 윤활제를 바른다. 좌약을 잡고 있는 손의 집게손가락에도 윤활제를 바른다.
⑽ 대상자에게 입으로 천천히 심호흡을 하도록 하여 항문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⑾ 좌약을 잡지 않은 손을 위쪽 엉덩이에 대고 엉덩이를 오므린다. 좌약은 내괄약근을 지나 직장벽을 따라 항문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이때 어른은 10cm, 아동이나 영아는 5cm정도 삽입한다.
4) 주의사항
대상자가 직장수술을 한 경우에는 직장을 촉진하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치질이 있으면 윤활제를 충분히 사용하고 그 부위를 부드럽게 다룬다.
간호사는 경험을 통해 좌약을 직장 낸로 삽입한 후 손가락 주위로 내괄약근이 이완되 느낌을 알 수 있어야 한다.
<6> 미터용량의 흡입기 사용
1) 실습목적
대상자에게 미터용량의 흡입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2) 준비물품
캐니스터가 달린 미터용량의 흡인기, 휴지, 따뜻한 물이 담기 물그릇, 일회용 종이타월
3) 방법
⑴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⑵ 대상자가 흡입기와 캐니스터를 조작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캐니스터를 흡입기에 맞추는 방법을 설명해 주고 시범을 보인다.
⑶ 대상자에게 미터식 용량에 대해 설명해 주고, 약물의 부작용을 포함하여 흡입기의 남용에 대한 주의를 준다.
⑷ 미터 용량의 흡인기를 사용하는 단계를 설명해 준다.
① 캡을 벗기고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손가락으로 흡입기를 잡고 수직으로 세운다.
② 흡입기를 약간 뒤로 젖히고 숨을 쉰다.
③ 다음 중 한가지 방법으로 흡입기 위치를 정한다.
흡입기를 입에서 0.5~1cm 거리에 두고 입을 벌린다.
선택사항 : 흡입기의 mouthpiece에 spacer를 부착한다.
흡입기의 mouthpice나 spacer를 입에 문다.
④ 천천히 흡입되는 동안 약물이 흘러나오도록 흡입기를 아래로 누른다.
⑤ 2~3초 동안 천천히 숨을 들이쉰 후, 약 10초 동안 숨을 참는다.
⑥ 처방에 따라 흡입을 계속하되, 흡입하는 사이에는 1분 정도의 간격을 둔다.
⑸ 두 가지의 흡입약물이 처방되었다면 5~10분 간격을 두고 한가지씩 흡입하거나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⑹ 대상자에게 약물이 인두와 혀에 닿으면 구코반사를 유발할 수 있음을 설명해 준다.
⑺ 대상자에게 캐니스터를 빼내고 흡입기를 따뜻한 물에 씻도록 지시한다.
⑻ 대상자에게 질문이 있는지 물어 본다.
4) 주의사항
대상자가 약물을 과다 흡입하게 되면 빈맥, 두통, 안절부절, 불면증 등 증상이 발생한다.
♣ 참고문헌
이명화 외 공저, 기본 간호학 실습(2003), 정담미디어, p321~329
이명화 외 공저, 기본 간호학 각론(2003), 정담미디어,
손영희 외 공저, 기본 간호학(2003), 현문사
<5> 직장 내 좌약 투여
1) 실습목적
직장을 통해 정확하게 약물을 투여한다.
직장을 통해 약물을 투여하기 전에 사정해야 할 요인들을 기술한다.
직장을 통한 약물 투여 시 필요한 지침들을 기술한다.
대상자가 사용하는 약물 용량에 관한 교육 계획을 준비한다.
2) 준비물품
직장용 좌약, 수용성 윤활제, 깨끗한 일회용 장갑, 휴지, 투약카드
3) 방법
⑴ 손을 씻는다.
⑵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⑶ 물품을 침상가에 배열한다.
⑷ 장갑을 착용한다.
⑸ 커튼을 치거나 병실문을 닫는다.
⑹ 대상자에게 심스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항문부위만 노출시키고 나머지는 덮어준다.
⑺ 항문의 외부상태를 검사하고 필요하다면 직장벽을 촉진한다. 장갑이 더러워졌으면 안쪽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벗어 적당한 용기에 버린다.
⑻ 새 장갑을 착용한다.
⑼ 좌약 포장지를 벗기고 둥근 끝 부분에 윤활제를 바른다. 좌약을 잡고 있는 손의 집게손가락에도 윤활제를 바른다.
⑽ 대상자에게 입으로 천천히 심호흡을 하도록 하여 항문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⑾ 좌약을 잡지 않은 손을 위쪽 엉덩이에 대고 엉덩이를 오므린다. 좌약은 내괄약근을 지나 직장벽을 따라 항문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이때 어른은 10cm, 아동이나 영아는 5cm정도 삽입한다.
4) 주의사항
대상자가 직장수술을 한 경우에는 직장을 촉진하지 않는다.
대상자에게 치질이 있으면 윤활제를 충분히 사용하고 그 부위를 부드럽게 다룬다.
간호사는 경험을 통해 좌약을 직장 낸로 삽입한 후 손가락 주위로 내괄약근이 이완되 느낌을 알 수 있어야 한다.
<6> 미터용량의 흡입기 사용
1) 실습목적
대상자에게 미터용량의 흡입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2) 준비물품
캐니스터가 달린 미터용량의 흡인기, 휴지, 따뜻한 물이 담기 물그릇, 일회용 종이타월
3) 방법
⑴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⑵ 대상자가 흡입기와 캐니스터를 조작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캐니스터를 흡입기에 맞추는 방법을 설명해 주고 시범을 보인다.
⑶ 대상자에게 미터식 용량에 대해 설명해 주고, 약물의 부작용을 포함하여 흡입기의 남용에 대한 주의를 준다.
⑷ 미터 용량의 흡인기를 사용하는 단계를 설명해 준다.
① 캡을 벗기고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손가락으로 흡입기를 잡고 수직으로 세운다.
② 흡입기를 약간 뒤로 젖히고 숨을 쉰다.
③ 다음 중 한가지 방법으로 흡입기 위치를 정한다.
흡입기를 입에서 0.5~1cm 거리에 두고 입을 벌린다.
선택사항 : 흡입기의 mouthpiece에 spacer를 부착한다.
흡입기의 mouthpice나 spacer를 입에 문다.
④ 천천히 흡입되는 동안 약물이 흘러나오도록 흡입기를 아래로 누른다.
⑤ 2~3초 동안 천천히 숨을 들이쉰 후, 약 10초 동안 숨을 참는다.
⑥ 처방에 따라 흡입을 계속하되, 흡입하는 사이에는 1분 정도의 간격을 둔다.
⑸ 두 가지의 흡입약물이 처방되었다면 5~10분 간격을 두고 한가지씩 흡입하거나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⑹ 대상자에게 약물이 인두와 혀에 닿으면 구코반사를 유발할 수 있음을 설명해 준다.
⑺ 대상자에게 캐니스터를 빼내고 흡입기를 따뜻한 물에 씻도록 지시한다.
⑻ 대상자에게 질문이 있는지 물어 본다.
4) 주의사항
대상자가 약물을 과다 흡입하게 되면 빈맥, 두통, 안절부절, 불면증 등 증상이 발생한다.
♣ 참고문헌
이명화 외 공저, 기본 간호학 실습(2003), 정담미디어, p321~329
이명화 외 공저, 기본 간호학 각론(2003), 정담미디어,
손영희 외 공저, 기본 간호학(2003),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보육실습일지]어린이집 실습소감 및 실습내용과 실습일지 작성 - 아동관찰 실습 사례와 유의...
간호학 실습 리포트 - 난소암(Ovarian cancer) 대상자 실습
성인 간호학 실습- 응급실 (ER) 실습 레포트 (케이스 스터디)
간호의 기본 (비판적 사고,사정, 영양,배설,위생, 활동,수면, 안전,성,임종,상처,감염,투약 등)
기관 절개관과 그 밖의 절차 및 간호 - 기관내 삽관, 위관영양, 완전 비경구영양, 흡인, 유치...
건강가정사 및 현장실습 : 역할, 자질, 직무, 건강가정현장실습 PPT 자료
고위험모아간호학] 고위험신생아의 고빌리루빈혈증 사정과 치료 및 간호, 다혜 탈수정도, 24...
[아동간호학] 아동의 투약관리와 간호
여성건강간호학실습, 정상분만케이스, 정상분만, 분만실케이스, 정상분만사례연구보고서, 정...
★ 실습일지 - 놀이치료사로서의 기본윤리를 철저히 준수하기 위한 수련 ( 실습자의 실습 일과...
[간호학] 관상동맥 심장질환 - 위험요인 및 병태생리 -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경막하혈종 케이스경막하혈종 간호과정SDH case studyICU실습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