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선정한 사회복지기관의 사업 분류
(2) 기관 사업 평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선정한 사회복지기관의 사업 분류
(2) 기관 사업 평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기준 표이다.
투 입
과 정
산 출
평가기준
① 구조(준비도 및 투입요소)
② 노력성
① 이용자만족도
② 서비스 질
③ 적절성
① 이용자만족도
② 서비스 질
③ 효과성
④ 통합성
⑤ 효율성(총 사업실적)
투입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파랑새드림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은 지역 아동이 다양한 활동을 하며 자유롭고 편안하게 있을 수 있는 환경으로, 아동이 활동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있으며, 아동 복지를 위해 전문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업 내용은 아동 복지를 위한 적합하고 특화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사회의 후원자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관을 홍보하고 있음을 통해 투입 차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과정 및 산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지역아동센터의 클라이언트인 아동의 욕구를 잘 반영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업계획서와 실제 사업 이행의 일치도가 높다. 또한 외부 전문 인력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되며 사업계획서 목표 달성도가 높고 아동복지서비스가 사회통합에 직, 간접적으로 이바지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정 및 출 차원에서도 적절히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결론
개인(개별), 가족, 집단, 지역사회의 넓은 차원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사업) 그 사업들을 평가해보는 과정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알게 된 것 같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아동들이 사회 적응 향상에 도움이 되며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인식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회복지시설이 모두 그러하듯 지역사회(외부)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투입이 서비스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위해 시설들이 외부 지원 발굴 작업을 위해 홍보 활동을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권기성 외, 1995, 장애인복지기관의 조직 효과성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 27호.
김현미, 사회복지실천론, 한국원격평생교육원.
최옥채,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탐색 - 사회복지실천 관점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8, 2011. 9. 1. pp. 51-78.
보건복지부 위탁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의 홈페이지
파랑새드림지역아동센터 블로그
투 입
과 정
산 출
평가기준
① 구조(준비도 및 투입요소)
② 노력성
① 이용자만족도
② 서비스 질
③ 적절성
① 이용자만족도
② 서비스 질
③ 효과성
④ 통합성
⑤ 효율성(총 사업실적)
투입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파랑새드림 지역아동센터의 환경은 지역 아동이 다양한 활동을 하며 자유롭고 편안하게 있을 수 있는 환경으로, 아동이 활동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있으며, 아동 복지를 위해 전문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업 내용은 아동 복지를 위한 적합하고 특화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사회의 후원자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기관을 홍보하고 있음을 통해 투입 차원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과정 및 산출 평가는 다음과 같다. 지역아동센터의 클라이언트인 아동의 욕구를 잘 반영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사업계획서와 실제 사업 이행의 일치도가 높다. 또한 외부 전문 인력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되며 사업계획서 목표 달성도가 높고 아동복지서비스가 사회통합에 직, 간접적으로 이바지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과정 및 출 차원에서도 적절히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결론
개인(개별), 가족, 집단, 지역사회의 넓은 차원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사업) 그 사업들을 평가해보는 과정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알게 된 것 같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아동들이 사회 적응 향상에 도움이 되며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인식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회복지시설이 모두 그러하듯 지역사회(외부)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의 투입이 서비스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위해 시설들이 외부 지원 발굴 작업을 위해 홍보 활동을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권기성 외, 1995, 장애인복지기관의 조직 효과성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제 27호.
김현미, 사회복지실천론, 한국원격평생교육원.
최옥채, 지역사회복지 정체성 탐색 - 사회복지실천 관점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8, 2011. 9. 1. pp. 51-78.
보건복지부 위탁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의 홈페이지
파랑새드림지역아동센터 블로그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기관 동료들과 갈등문제에 관한 자료
(복지기관 자원봉사 및 체험 실습보고서) - 사회복지공동모금회(Community Chest)를 다녀와서..
지역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기관의 재원확보의 기본원칙과 전략
내가 생각하는 사회복지기관의 재원확보방안(후원금개발, 프로포절 제안, 기타)에 대해 작성.
향후 자신이 운영하고 싶은 사회복지기관(시설)은 무엇이며 이 조직을 잘 운영하기 위해서는 ...
사회복지기관 매니저의 역할
사회복지기관 매니저의 역할에 대해 논하시오.
본인이 사회복지기관장이라는 가정 하에, 기관 운영 철학 및 리더십 등에 대하여 의견을 개...
개인의 가치와 사회복지기관의 가치가 갈등을 일으키는 사례를 찾아보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
3년 마다 실시되고 있는 사회복지기관 평가를 지속할 것인가 아니면 폐지해야 할 것인가에 대...
현재 속해있는 지역의 지역사회복지기관에 대해 조사해 보고, 본인이 생각하는 보완점, 개선...
사회복지기관에서의 인턴활동이나 실습을 열정페이와 연관지어 자신의 생각을 적으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