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ㅑ, ㅒ, ㅕ, ㅖ, ㅕ, ㅠ, ㅘ, ㅙ, ㅝ, ㅞ, ㅢ\'가 바로 그것이다.
2.3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발음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한국어 발음의 사례로는 ‘불규칙적이다’가 있다. 한국인들에겐 너무나 쉬운 발음이지만 한 글자씩 발음할 때마다 혀의 위치는 다르게 움직인다. 예를 들어서 불을 발음할 때는 혀가 입천장에 닿는 고모음, 규를 발음할 때에는 아랫니에 혀가 잠깐 닿았다가 아래로 내려가는 이중모음, 칙은 혀가 아랫니를 살짝 때리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반 고모음, 적은 혀가 또 아랫니를 때리고 공중에 떠있는 반 저모음, 이는 혀가 아랫니를 때리고 그대로 붙어있는 고모음, 다는 혀가 입천장 앞 쪽을 때린다. 이렇게 문장에 포함된 모음만으로도 발음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것이다.
3. 결론
본고에서는 한국어를 이루고 있는 자음과 모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음과 모음은 각각 조음위치와 조음방법, 또 혀의 위치와 개구도, 원순성으로 구분하여 세세하게 알아보았다. 그 후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발음을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분석해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이 한국어 발음을 완벽하게 숙지하려면, 한국어 발음에 혀가 맞출 수 있게 노력을 해야 한다.
4. 참고문헌
[1] 신동원, 훈민정음은 왜 과학적인가, 사이언스타임즈, 2010
http://www.sciencetimes.co.kr/?news=%ED%9B%88%EB%AF%BC%EC%A0%95%EC%9D%8C%EC%9D%80-%EC%99%9C-%EA%B3%BC%ED%95%99%EC%A0%81%EC%9D%B8%EA%B0%80
[2]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제2부 표준 발음법
2.3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발음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한국어 발음의 사례로는 ‘불규칙적이다’가 있다. 한국인들에겐 너무나 쉬운 발음이지만 한 글자씩 발음할 때마다 혀의 위치는 다르게 움직인다. 예를 들어서 불을 발음할 때는 혀가 입천장에 닿는 고모음, 규를 발음할 때에는 아랫니에 혀가 잠깐 닿았다가 아래로 내려가는 이중모음, 칙은 혀가 아랫니를 살짝 때리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반 고모음, 적은 혀가 또 아랫니를 때리고 공중에 떠있는 반 저모음, 이는 혀가 아랫니를 때리고 그대로 붙어있는 고모음, 다는 혀가 입천장 앞 쪽을 때린다. 이렇게 문장에 포함된 모음만으로도 발음하기가 굉장히 어려운 것이다.
3. 결론
본고에서는 한국어를 이루고 있는 자음과 모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자음과 모음은 각각 조음위치와 조음방법, 또 혀의 위치와 개구도, 원순성으로 구분하여 세세하게 알아보았다. 그 후 외국인이 어려워하는 발음을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분석해보았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이 한국어 발음을 완벽하게 숙지하려면, 한국어 발음에 혀가 맞출 수 있게 노력을 해야 한다.
4. 참고문헌
[1] 신동원, 훈민정음은 왜 과학적인가, 사이언스타임즈, 2010
http://www.sciencetimes.co.kr/?news=%ED%9B%88%EB%AF%BC%EC%A0%95%EC%9D%8C%EC%9D%80-%EC%99%9C-%EA%B3%BC%ED%95%99%EC%A0%81%EC%9D%B8%EA%B0%80
[2] 국립국어원 표준어 규정, 제2부 표준 발음법
추천자료
한국어의 세계화 전략방안
한국어와 영어의 관용표현의 비교
한국어계통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
외국인의 한국어 사용 오류와 그로 인한 흥미 유발 - kbs프로그램 '미녀.미남들의 수다'를 중...
한국어와 일본어, 그 역사적 상관성에 대하여 -우리말이 일본어에 영향을 주었다면, 그 역사...
한국어의 보조용언을 본용언과 구별되는 각각의 의미와 기능, 사용양상, 특징에 대해 예를 들...
한국어 초급 통합 교재의 한 단원을 ‘단원 제목-학습 목표- 도입-예시문-어휘-문법-발음-과제...
한국어이해교육론-최근의 신문기사를 선정하여 중급 읽기수업 구성
한국어문법교육론_ 비격식체 종결어미의 선행 교수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다음의 수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초급 어휘 수업에 대한 ...
[한국어 교육론] 여성결혼이민자교재의 현황 분석 및 개선 - 문법 발음 어휘의 측면에서 -
[한국어 교육론] 국내 국외 교재 분석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방안 연구 ‘-고’와 ‘-아서-어서’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