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름 □ 전혀모름
수술에 관한 지각 및 지식 잘이해함 □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잘못된 인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알고자 하는 정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감 정
최근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무 □ 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서상태 □ 매우안정 안정 □ 불안정 □ 매우불안정
현재 질병에 대한 느낌 수용 □ 무관심 □ 분노 □ 부정
3. 검사결과 기록지
1) 일반검사
검사명
항목
검사치
정상치
임상적 의미
화학일반검사
ALP
238
▲
[45-129] IU/L
폐색성 황달이나 간내 담즙울체, 담도감염, 지방간, 간경변, 간침윤성 병변 등, 골질환(전이성 골종양), 악성종양, 항경련 약물 등
GGT
398
▲
[12-73] IU/L
급성알코올성 간염, 폐색성황달, 간내 담즙울체 등
AST
252
▲
[12-33] IU/L
바이러스성 만성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급성 알코올성 간염, 약물성 간염, 지방간, 폐색성 간염, 용혈성 황달 등
ALT
123
▲
[5-35] IU/L
T-bilirubin
7.87
▲
[0.2-1.2] mg/dl
D-bilirubin
5.87
▲
[~0.4] mg/dl
Albumin
3.3
▼
[3.5-5.3] g/dl
영양장애, 염증성 질환, 신증후군, 중증 간장애, 화상, 단백유출성 위장증, 흡수부전 증후군 등
Ammonia
67.4
▲
[11.2-35.4] umol/L
전격성간염, 비대사성 간경변, 쇼크, 저산소증, 변비, 고단백식, 소화관출혈 등
혈액응고검사
PT(sec)
12.7
▲
9.6-12.0] sec
감염, 악성종양, 수술이나 외상, 여러가지 염증성 질환 등
PT(INR)
1.16
▲
[0.9-1.10]
면역혈청검사
HBsAg
+
-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시 간 세포내에서 만들어지는 표면 항원, 급성 감염시 혹은 만성보균자
Hs-CRP
26.48
▲
[5~]
감염, 악성종양, 수술이나 외상, 여러가지 염증성 질환 등
AFP
172254.40
▲
[0~13.4]
암 표지자
2) 특수검사
12.10 Bone Scan
▶ Nonspecific finding
12.10 FDG PET/CT
▶ Hypermetabolic infiltrative known HCC in liver
▶ Hematogenous lung metastasis
간호진단 기록지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가 아파요.”
“밤에 잘 때는 아프지 않아요.”
“배가 둔하네요.”
복부 통증 NRS 2점
간암의 조직 압박과 관련된 급성 통증
"배가 둔해요."
“배가 불러 있어서 답답해요.”
일반화학검사 12/09
ALP 238
GGT 398
AST 252
ALT 123
복부가 팽대되어 있음
12/09
paracentesis 2300mL
간수치 증가와 관련된 체액 과다
“피곤하긴 한데 어지럽지는 않아요.”
전신에 황달 증세가 유지됨
12/09 ammonia 수치: 67.4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 위험성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 간암의 조직 압박과 관련된 급성 통증
목표 : 대상자는 12월 14일까지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심호흡, 이완요법, 상상요법, TV요법과 같은 주의 환기 요법을 통증을 조절할 수 있음을 교육한다.
매일 같은 시간 NRS 등급을 확인하고, 심한 통증을 호소할 때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통증이 증가될 때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한다.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음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심호흡, 이완요법, 상상요법, TV요법 등과 같은 전환 요법을 통해 통증을 조절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관찰, 수행)
매일 PM 5:00 NRS 점수를 측정하였다. (관찰)
통증이 증가될 때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하고, 처방된 진통제(Paramacet)를 복용하도록 하였다. (관찰)
대상자는 통증이 있을 때 전환요법을 통해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대상자는 처방된 진통제를 복용한다.
대상자는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 간수치 증가와 관련된 체액 과다
목표 : 대상자는 12월 21일까지 체액 과다(복수)가 해소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매일 아침 같은 시간 몸무게를 측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혈청 전해질 수치와 간수치를 확인한다.
필요 시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매일 아침 식 전 몸무게를 측정하도록 교육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도록 교육하고 확인하였다. (관찰, 수행)
매일 CBC 검사를 진행하여 혈청 전해질 수치와 간수치를 확인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수분의 양을 제한하여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관찰)
대상자는 매일 아침 식 전 몸무게를 측정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였다.
평가 목표 날짜까지 도달되지 않았으나 체액 과다의 문제는 해소되지 않았다.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 위험성
목표 : 대상자는 12월 13일까지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든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포도당을 주공급원으로 하기 위하여 D/W 용액을 주입한다.
체내 질소량을 줄이기 위해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한다.
처방된 듀파락 시럽을 투여한다.
근육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5% DW 500ml/Bag을 연결하여 주입하였다. (관찰)
치료식 연식으로 간질환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관찰)
처방된 듀파락 시럽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근육이 수축되면 암모니아가 생성된 다는 것을 교육하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수행, 관찰)
대상자는 저단백식이를 섭취하였으며, 처방된 듀파락 시럽을 섭취하였다.
12월 13일, 대상자의 혈액 검사 결과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들지 않았다.
수술에 관한 지각 및 지식 잘이해함 □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잘못된 인식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알고자 하는 정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감 정
최근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무 □ 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서상태 □ 매우안정 안정 □ 불안정 □ 매우불안정
현재 질병에 대한 느낌 수용 □ 무관심 □ 분노 □ 부정
3. 검사결과 기록지
1) 일반검사
검사명
항목
검사치
정상치
임상적 의미
화학일반검사
ALP
238
▲
[45-129] IU/L
폐색성 황달이나 간내 담즙울체, 담도감염, 지방간, 간경변, 간침윤성 병변 등, 골질환(전이성 골종양), 악성종양, 항경련 약물 등
GGT
398
▲
[12-73] IU/L
급성알코올성 간염, 폐색성황달, 간내 담즙울체 등
AST
252
▲
[12-33] IU/L
바이러스성 만성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급성 알코올성 간염, 약물성 간염, 지방간, 폐색성 간염, 용혈성 황달 등
ALT
123
▲
[5-35] IU/L
T-bilirubin
7.87
▲
[0.2-1.2] mg/dl
D-bilirubin
5.87
▲
[~0.4] mg/dl
Albumin
3.3
▼
[3.5-5.3] g/dl
영양장애, 염증성 질환, 신증후군, 중증 간장애, 화상, 단백유출성 위장증, 흡수부전 증후군 등
Ammonia
67.4
▲
[11.2-35.4] umol/L
전격성간염, 비대사성 간경변, 쇼크, 저산소증, 변비, 고단백식, 소화관출혈 등
혈액응고검사
PT(sec)
12.7
▲
9.6-12.0] sec
감염, 악성종양, 수술이나 외상, 여러가지 염증성 질환 등
PT(INR)
1.16
▲
[0.9-1.10]
면역혈청검사
HBsAg
+
-
B형 간염바이러스 감염시 간 세포내에서 만들어지는 표면 항원, 급성 감염시 혹은 만성보균자
Hs-CRP
26.48
▲
[5~]
감염, 악성종양, 수술이나 외상, 여러가지 염증성 질환 등
AFP
172254.40
▲
[0~13.4]
암 표지자
2) 특수검사
12.10 Bone Scan
▶ Nonspecific finding
12.10 FDG PET/CT
▶ Hypermetabolic infiltrative known HCC in liver
▶ Hematogenous lung metastasis
간호진단 기록지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가 아파요.”
“밤에 잘 때는 아프지 않아요.”
“배가 둔하네요.”
복부 통증 NRS 2점
간암의 조직 압박과 관련된 급성 통증
"배가 둔해요."
“배가 불러 있어서 답답해요.”
일반화학검사 12/09
ALP 238
GGT 398
AST 252
ALT 123
복부가 팽대되어 있음
12/09
paracentesis 2300mL
간수치 증가와 관련된 체액 과다
“피곤하긴 한데 어지럽지는 않아요.”
전신에 황달 증세가 유지됨
12/09 ammonia 수치: 67.4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 위험성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 간암의 조직 압박과 관련된 급성 통증
목표 : 대상자는 12월 14일까지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유지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심호흡, 이완요법, 상상요법, TV요법과 같은 주의 환기 요법을 통증을 조절할 수 있음을 교육한다.
매일 같은 시간 NRS 등급을 확인하고, 심한 통증을 호소할 때 추가적으로 확인한다.
통증이 증가될 때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한다.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음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심호흡, 이완요법, 상상요법, TV요법 등과 같은 전환 요법을 통해 통증을 조절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관찰, 수행)
매일 PM 5:00 NRS 점수를 측정하였다. (관찰)
통증이 증가될 때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하고, 처방된 진통제(Paramacet)를 복용하도록 하였다. (관찰)
대상자는 통증이 있을 때 전환요법을 통해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
대상자는 처방된 진통제를 복용한다.
대상자는 NRS 점수가 2점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 간수치 증가와 관련된 체액 과다
목표 : 대상자는 12월 21일까지 체액 과다(복수)가 해소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매일 아침 같은 시간 몸무게를 측정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혈청 전해질 수치와 간수치를 확인한다.
필요 시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한다.
대상자에게 매일 아침 식 전 몸무게를 측정하도록 교육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도록 교육하고 확인하였다. (관찰, 수행)
매일 CBC 검사를 진행하여 혈청 전해질 수치와 간수치를 확인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수분의 양을 제한하여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관찰)
대상자는 매일 아침 식 전 몸무게를 측정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였다.
평가 목표 날짜까지 도달되지 않았으나 체액 과다의 문제는 해소되지 않았다.
간호계획 기록지
간호진단 : 암모니아 수치 상승과 관련된 급성혼돈 위험성
목표 : 대상자는 12월 13일까지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든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포도당을 주공급원으로 하기 위하여 D/W 용액을 주입한다.
체내 질소량을 줄이기 위해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한다.
처방된 듀파락 시럽을 투여한다.
근육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휴식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5% DW 500ml/Bag을 연결하여 주입하였다. (관찰)
치료식 연식으로 간질환 저단백식이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관찰)
처방된 듀파락 시럽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관찰)
대상자에게 근육이 수축되면 암모니아가 생성된 다는 것을 교육하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수행, 관찰)
대상자는 저단백식이를 섭취하였으며, 처방된 듀파락 시럽을 섭취하였다.
12월 13일, 대상자의 혈액 검사 결과 암모니아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들지 않았다.
추천자료
간호관리실습레포트-A대학병원
정신간호실습(부적절한 생활 습관과 관련된 변비,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병원 생활과 관련된...
[정신간호학실습] 비판성찰적 사고 Critical reflecive thinking
[간호성인내과실습case study] 만성 신부전 CRF 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내과실습] 급성림프성백혈병 AML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비뇨기계 체크리스트 Check List 문헌고찰 (기구 및 물품, 소변검사, 혈액...
[아동간호실습] 급성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 (PSGN :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
아동간호실습 급성위장염 Acute gastroenteritis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조기양막파수(조기파막) PROM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NSVD 질분만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수술실간호실습(수술 사례연구) - 뇌종양 - 진단명 : brain tumor | 수술명 : craniotomy
[정신간호실습] 의사소통 분석 보고서
, 치매사례연구, 노인간호학실습, 발표자료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case - Tonsiliti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