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산문의 이해] 위경천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 산문의 이해] 위경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사 검토
Ⅱ본론
1. 애정전기소설
2. 인물과 심리 분석
3. 서사 구성 및 사건과 소재 분석
4. 논쟁
1) 작가 논쟁과 작품성 논쟁
2) 원전해독 : 교감 문제
3) 작품을 바라보는 시선의 문제
5. <주생전>과의 비교와 <위경천전>평가
Ⅲ결론

본문내용

고찰」, 고소설연구 제 6집, 1998
<위경천전>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그 부분은 작품성이 폄하되는 결정적인 이유들이다. 우선 결연과정의 부자연스러움이 있다. 대부분의 남녀간 애정을 다룬 소설은 둘 사이의 교감이 매우 중요시된다. 적어도 부모의 태몽이라던가, 천계에서 못 다한 인연이라는 설정이 존재하고 시를 주고받는 과정도 있다. 그러나 <위경천전>에서는 그런 과정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무단침입한 남자의 말투가 신뢰할만 하다고해서 인연을 맺는 것도 서사상 부자연스럽다. 또 전쟁으로 인한 이별 역시 돌발적이고 거칠게 전개된 측면이 있다. 작품의 초점이 결말부분의 비극성에 맞춰져있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이별을 시키기는 했지만 이 부분 역시 서사상 매끄럽지 못한 구성을 보인다. 이런 몇몇 부족함이 필사본 수준의 문제인지 작품 자체가 가진 저급함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전체적으로 보면 결론적으로 서사 구조 자체에 뛰어난 작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는 힘들다. 즉 <위경천전>을 고전소설까지 올리기에는 작품의 질이 좋지 않으므로 고소설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Ⅲ결론
권필은 전기소설의 영향을 받았고 전기소설의 가장 큰 특징인 지괴성을 탈피하며 당대의 사회모습을 사실적으로 반영하였다. <위경천전>은 애정소설로 분류되지만 단순히 남녀의 애정을 다룬 것뿐만 아니라 당대 사회의 변화 양상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하였고 세태묘사도 하고 있다. 또 소설의 구성면에서도 사실성을 획득하여 조선전기의 전기소설의 맥을 이어조선후기의 군담소설과 애정소설에 영향을 미치는 소설사적 흐름에서 고리역할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 작품은 작가의식이 뚜렷한 생산물이며 전기소설의 양식적 전형을 이어받으면서 새로운 형태의 소설양식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서사구조의 부족함으로 인한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문헌∥
김대현,『조선시대 소설사 연구』,국학자료원, 1996
김일근,「<주생전>과 <위경천전> 언해의 연철본(쥬싱뎐·위싱뎐) 출현에 따른 서지적 문제」, 겨레어문학, 2000
김주현,「한국 고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서정성 연구 :「주생전」,「위경천전」,「운영전」 중심으로」, 신라대 교육대학원, 2005
문범두,「<위경천전>에 대하여」, 영남어문학회, 1995
우수경,「<주생전>과 <위경천전>대비 연구」, 신라대 교육대학원, 2002
이상구,「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어학연구11, 2000
이수정,「「위경천전」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1998
임형택,「전기소설의 련애주제와 《위경천전》」, 동양학 22권, 1992
정명기,「<위생전> (<위경천전(韋敬天傳)>) 교감의 문제점」, 고소설연구 제 22집, 2006
정민,「<위경천전> 의 낭만적 비극성」, 한양대학교 한국학논집 24권, 1994
정병호,「<주생전>과 <위경천전>의 비교 고찰」, 고소설연구 제 6집, 1998
황윤실,「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욕망발현 양상」, 한양대 대학원, 2001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7.15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8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