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사 - 조선후기의 교육 - 일제강점기의 교육 - 미군정기의 교육 - 개화기의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육사 - 조선후기의 교육 - 일제강점기의 교육 - 미군정기의 교육 - 개화기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후기의 교육
➀ 실학사상과 교육
➁ 동학사상과 교육

2. 일제강점기의 교육
➀ 일제의 식민지교육정책
➁ 제 1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➂ 제 2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➃ 제 3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➄ 제 4차 조선교육령기의 교육

3. 미군정기의 교육
➀ 미군정의 교육방침
➁ 주요 교육 정책
➂ 미군정기 교육 운동

4. 개화기의 교육
➀ 개화와 근대교육의 태동
➁ 신학제의 수립
➂ 민간인의 교육활동
➃ 선교단체의 교육활동

본문내용

육관계 법령도 그들에 의해 개정 또는 제정되었다. 당시의 국가위기 의식은 교육구국사상으로 전개되어 전국적으로 애국지사 또는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사립학교가 많이 나타났다.
1)개화와 근대교육의 태동
1. 개화기 교육
(1) 근대교육의 준거
① 교육기회의 보편화 - 공교육, 의무교육
② 교육의 세속화 - 종교적 영향력에서 벗어난 세속주의
③ 민족주의 교육 -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면서 대두된 이념
(2) 근대교육 기점설
① 배재학당설(1886)(오천석)
㉠ 학당훈 : 위기지학(전통적) ⇒ 봉사(위인지학-근대적)
㉡ 기독교 중심 교육이라는 한계점
② 원산학사설(1883)(신용하) - 가장 무게 있는 설
㉠ 문예반 50명, 무예반 200명을 선발하여 문예반은 경서, 무예반은 병서를 가르치되(전통적), 문무 공통으로 산수, 격치(물리), 각종기기와 농업, 양잠, 광채(鑛採) 등의 실용과목을 가르쳤다.
㉡ 민족지도자들의 손에 의해 설립되었다.
㉢ 민중의 기금으로 설립하였다.
㉣ 외세에 맞서 국가 발전과 인재양성과 신지식 교육에 주력한 애국적 동기
③ 18세기 서당설(정순우)
㉠ 이미 18세기부터 신분제의 동요가 일어났다. 부를 축적한 상인들이 생겨났는데 이들이 근대교육을 일으킨 장본인이라는 것이다.
㉡ 훈장을 고용한 점과 삼강오륜의 내용에서 점차 실용교육을 지향했다는 점, 귀족 교육이 아닌 소농민층을 위주로 했다는 점 등에서 근대 교육의 근거를 찾을 수 있다.
④ 식민지 교육설(1906.8)(식민사관)
㉠ 식민지 교육을 정당화하기 위한 주장
㉡ ‘보통학교령’, ‘사범학교령’, ‘고등학교령’, ‘외국어학교령’, ‘농림학교관제’
2. 근대교육의 전개
(1) 개화사상과 교육개혁 - 의무교육론, 남녀평등교육론, 기술실업교육론 등을 내세운 김옥균과 박영효, 유길준, 서재필 등은 일본의 힘을 입어 국가 개혁을 시도했다.
(2) 동학의 교육 - 인내천 사상. 민중교화에 힘썼으며, 신분사회의 부정, 인간평등을 전제로 한 이상사회 실현을 시도했다.
① 천도교 - 보성학원, 동덕여학교 경영.
② 방정환 - ‘어린이 예찬’ 아동존중교육
(3) 무비자강 정책과 신식 관학의 등장
① 개방정책의 수행을 위해 동문학(1883), 육영공원(1886), 연무공원(1887) 등의 신식 관학을 설립
(4) 개신교의 수용과 신식학교의 등장
① 1882년 미국 수교(일제에 의해 후에 무효화됨) 개신교 선교사의 입국을 허용
② 개신교의 전도는 금하였으므로, 선교사들은 양의학과 영어 강습에 주력하였다.
③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등의 중등학교 설립
(5) 갑오개혁과 근대교육
① 군국기무처를 조직하여 예조를 폐하고 학무아문을 두어 교육개혁을 추진했다.
② 학무아문고시 - 영재교육, 계급의식
③ 홍범 14개조 - 국가교육, 공교육과 관련된 법제 제정
④ 교육입국조서(1895) - 국가 보존의 근본은 교육. 국민교육제도, 공교육제도, 실용교육, 도덕교육, 근면과 역행 강조, 지양과 격치 강조
2. 신학제의 수립
1. 근대학교의 전신과 관학
① 동문학(1883.8) - 독일인 묄렌도르프가 설립. 통역관 양성(통변학교)을 목적으로 주로 영어를 가르쳤기 때문에 영어학교라고도 하였다. 육영공원에 통합됨.
② 광혜원(1885) - 장로교 선교사인 미국인 알렌이 설립. 한국 최초의 근대식 국립 의료기관.
③ 육영공원(1886) - 최초의 근대적 관학. 좌원(통학반), 우원(기숙사반)으로 운영. 단계적 교육(습자→수학, 과학, 정치, 역사)
④ 한성사범학교(1895.4) - 신학제에서의 최초의 학교. 소학교 교사 양성을 목적.
⑤ 공립소학교(1895)
⑥ 중학교 : 한성중학교가 최초의 중학교.
⑦ 고등학교 : 한성고등학교(1900), 한성고등여학교(1908)
⑧ 외국어학교 : 일어, 한어는 각4년. 영어, 법어, 아어, 덕어는 각5년으로 규정.
⑨ 실업학교 : 경성의학교, 상공학교(1899), 광무학교(1900)
3. 민간인의 교육활동
1. 민족선각자에 의한 사학의 설립
① 원산학사 : 최초의 근대적 사학. 외국 학교를 모방한 것이 아니라 서당을 발전시켜 근대학교를 성립하였다.
② 흥화학교(1895) : 민영환. 외국어와 선진 기술 교육을 위한 학교
③ 점진학교(1897) : 안창호가 세운 소학교. 최초의 남녀공학 실시
④ 보성학교(1905) : 이용익. 고려대학교의 전신
⑤ 양정의숙(1907) : 엄주익
⑥ 대성학교(1907) : 안창호가 평양에 세운 학교
⑦ 오산학교(1907) : 이승훈이 정주에 세운 학교
2. 근대의 교육 사상가
(1) 남궁 억(1863~1939)
① 교육 목적 - 애국애족하는 사회인, 성실한 도덕인, 생산 실천하는 산업인 육성
② 교육 내용 - 역사교육, 예능교육, 실업교육, 언어교육 등을 주장
③ 민족의식 고취 - 『동사략』『조선이야기』저술, 무궁화 선양 사업
④ 노작교육을 통한 실업교육
(2) 이승훈(1864~1930)
① 교육 목적 - 성(誠), 애(愛), 경(敬)을 실천하는 애국인 육성
② 오산학교(1907) 설립 - 민족지도자 양성에 주력
(3) 안창호(1878~1938)
① 교육 이념 - 무실역행, 점진공부. 자아혁신-인격혁명-자주독립의 단계
② 교육 목적 - 건전한 인격의 실현.(전인교육)
③ 교육 내용 - 지육보다 체육 중시. 일인일기(기술)의 실업교육
㉠ 4대 정신 : 무실, 역행, 충의, 용감
④ 흥사단 : 미국에서 모여 만든 민족운동단체
⑤ 점진학교, 대성학교, 동명학원 등 설립
4. 선교단체의 교육활동
1. 선교사에 의한 기독교계 학교의 성립
① 배재학당(1885) : 최초의 근대적 사학. 미국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학교
② 이화학당(1886) : 최초의 근대적 여성교육기관
③ 경신학교(1886) : 미국 선교사 언더우드가 세운 고아학교. 연세대의 전신
④ 정신여학교(1887) : 미국 선교사이자 광혜원 간호사인 엘레스가 창립하였다.
⑤ 성격 및 공헌점 : 서양학문을 받아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봉건사상 타파. 인간평등, 인권존중, 기회균등의 이념 교육. 남녀평등사상. 예능교육과 체육교육으로 전인 교육 지향. 위인지학. 근로정신 배양. 근대적 교육과정운영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7.23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2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