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강시간 활용 방법에 대하여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강시간 활용 방법에 대하여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공강시간 활용실태와 문제점
2.1 공강시간 활용실태
2.1.1 공간시간 현황조사
2.1.2 공강시간 활용실태
2.2 공강시간 활용의 문제점
2.2.1 학생개인의 문제점
2.2.2 학교시설의 문제점
3. 공강시간 활용실태에 대한 개선방안
3.1 학생 개인측면의 개선방안
3.2 학교 시설측면의 개선방안
3.3 추천할만한 공강시간 활용방안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 역사, 인류학, 자연과학 등의 고전은 여러분이 세상을 넓고 깊게 이해하는 시각을 갖게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박경리의 토지, 조정래의 아리랑, 태백산맥 같은 대하소설이나 김구의 백범일지, 유홍준의 문화답사기 같은 책들도 좋을 것이다.
수업에 도움이 되는 공강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는 그 시간에 강의노트 정리를 꼼꼼히 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대학에서 효과적으로 공부하기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것은 강의나 책에서 얻은 자료나 정보들을 어떻게 필기하고 정리하느냐 하는 것이다. 노트는 복습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강의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기억에도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강의의 내용 중 노트정리를 해야 할 내용의 단서들은 ①강의에서 제시되는 제목, ②교수가 ‘이것이 중요하다’라든가 ‘잘 기억해 두라’고 말하는 부분 ③판서, 차트, 지도, 그래프, 실험결과 ④몇 가지 방식으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설명하는 부분 ⑤세부 항목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부분 ⑥교수 스스로가 요약해 주는 부분 등이다.
가능하면 노트내용은 강의가 끝난 후나 그날 안으로 복습하고 또 필요하다면 참고문헌이나 자료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힘들지 않은 공강시간 활용법으로, 인터넷을 활용을 들 수 있다. 인간이 공부하기에 필요한 가장 발전된 문명의 이기는 바로 인터넷이다. 대학생활에서부터 학교정보 및 강의정보를 가장 쉽고 빠르게 챙길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인터넷이다. 게임이나 쓸모없는 사이트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지 말고 잘 이용하면 굳이 도서관이나 서점을 방문하는 시간을 줄이면서 다양한 자료를 찾을 수도 있다. 자신의 학과나 관심분야를 즐겨찾기에 올려놓고 이용하면 공강시간에도 효율적인 시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
4. 맺음말
지금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공강시간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공강시간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연과학대학의 경우 학교 시설 측면에서의 개선이 상당히 요구된다. 자연과학대학은 학생회관, 중앙전산원, 중앙도서관 등의 핵심시설과는 가까운 반면 운동장과 멀고 심지어 농구코트 하나 없을 정도로, 체육시설 면에서는 서울대의 단과대학들 중 가장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 측에서는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시설을 확충하여 수업 외에도 학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학교 시설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학생들 자신의 마음가짐이라 할 수 있다. 공강시간에 하는 일 없이 시간을 흘려보내지 않고 필요한 것들을 찾아서 능동적으로 시간을 잘 활용하려는 마음이 필요할 것이다.
머리말에서도 언급했지만 짧게는 30분, 길게는 2시간 이상이 비어버리는 공강시간은, 대학생활을 처음 접하는 신입생들에게는 활용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하릴없이 흘러가는 그 시간은 여느 시간과 똑같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 시간임은 더욱 확실한 사실이다. ‘시간은 금이다’라는 절대불변의 진리를 담고 있는 격언도 있을 만큼 시간은 귀중하다.
또, 공강시간과 같은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대학생이라는 신분에서 누릴 수 있는 ‘자율성’이라는 무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라 말 할 수 있겠다. 이 소논문을 참고하여, 공강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지혜로운’ 신입생이 되길 바라며 글을 마친다.
5. 참고문헌
1) 가토 다이조, 대학생활 어떻게 할까?, 김홍희 역. 디자인하우스, 2004, pp. 51-52.
2) 네이버, 지도 검색, http://local.naver.com/maplink.php?mapcode=033067540830745404
3) 뉴포트 칼, 성공하는 사람들의 대학생활 백서, 이영선 옮김, 한언출판사, 2005, pp. 35-37.
3) 류영박, 대학생활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사상, 2002, p. 103.
4) 서봉연 외, "대학에서의 공부, 어떻게 다른가?,"서울 대학교 학생 생활 연구소 편, p.194.
5) 서울대학교, 대학소개 - 오시는 길, 2006. 6. 10. 인용, http://www.snu.ac.kr/sk_abo/sk_abo_ma/sk_abo_maa/sk_abo_maa1/sk_abo_maa1a/sk_abo_maa1a.jsp
6) 서울대학교 PR office, 2006 정시모집 결과발표 자료, 2006. 2. 24, 인용 : http://www.snu.ac.kr/sk_board/boards/sk_news_read.jsp?board=11685&p_tid=68850&p_rel=null&id=58214
7) 서울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대학에서의 공부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pp. 31-33.
8) 안현태, "센트리노 노트북이 캠퍼스 풍경 바꾼다", 헤럴드 경제, 2004. 4. 17, 인용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16&article_id=0000132849§ion_id=105&menu_id=105
9) 이승배, "'평범한 건 싫다' 이색 카페 인기", 쿠키뉴스, 2006. 4. 4, 인용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04/04/kukinews/v12259001.html
10) 이형우 외,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길라잡이, 한국문화사. 2001, pp. 113-125.
11) 자하연 한의원, "공강시간 10분에 숨겨진 -1kg 노하우", 2006. 3. 17 인용 : http://blog.naver.com/jahayun1/40022788606
12) 장원석, "대학생, '공강시간 뭐하지?'", 세계일보, 2006. 4. 3, 인용 :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2&article_id=0000154976§ion_id=102&menu_id=102
13) 전창열 외 8명(2006), 새내기들을 위한 생활백서, 생활협동조합, pp.74~76, p.40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8.11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