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리기전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와 간호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약물요법
3. 진단적 검사
4. 간호진단
5. 간호진단 적용
Ⅴ 참고문헌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리기전
3. 진단방법
4. 증상
5. 치료와 간호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약물요법
3. 진단적 검사
4. 간호진단
5. 간호진단 적용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병실 안 조금씩 걷기,
ROM실시 등 점차적으로 활동량을 증가시키도록 교육하였다.
(점차적으로 활동량을 증가시켜 현실적 활동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
6. 심호흡을 격려하고 머리를 상승시키는 반좌위 취해주기, 금기사항이 아니면
수분섭취를 하여 분비물 점액을 낮추어 호흡유지가 원할할 수 있도록 교육
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함으로써 퇴원 시에도 활동 후 호흡곤란을 느낄 시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
7. 근육을 많이 사용하거나 고강도 운동 및 활동은 산소요구량을 증가시켜
호흡곤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처음부터 높은 활동량을 수행 시 호흡곤란으로 쇠약감이 들어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점차적으로 늘려 산소요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
8. 처방에 따라 SpO2가 90%이하 측정되거나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날 시
2ℓ/min 이하의 O2를 비강캐뉼라로 제공 후 30분 뒤 SpO2를 재측정 하였다.
(6ℓ이상 산소 투여 시 해부학적 저장소가 적어 코나 입으로 loss되는 양이
많아 효과적이지 않고, 5∼6L/min 이상의 높은 유량에서 비강 점막 건조 및
전두동에 통증을 유발)
9. 처방에 따른 nebulizer(Aventro+Mucomyst+Ventolin)을 투약하였다.
(진해거담제와 기관지 확장제를 투약하여 분비물을 묽게 하고 호흡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5일 후 화장실을 갔다 오고 조금씩 움직여도 숨이 차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5일 후 활동을 한 후 SpO2를 측정하였을 시 93%이상 측정되었다.
우선순위 3 간호진단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 불이행
수집된
자 료
주관적 자료
1. “호흡기 왜해? 안할거야.”
2. “약 다시 가져가. 안먹어.”
3. “아침에 할 테니까 냅두고 가.”
4. “귀찮게 계속 하래. 숨 조금 차는데 이정도면 괜찮아. 가.”
5. “안움직이면 숨 안차. 뭐하러 심호흡하라해. 그게 더 힘들어.”
객관적 자료
1. nebulizer를 다음 날 하신다고 항상 거부하심
2. 비강캐뉼라로 O2 제공 시 자기가 빼버리심
3. 시간이 지난 약봉지가 그대로 놓아져 있음
4. SpO2와 respiration 변화가 심함
(SpO2: 95→90~88, respiration: 20→26~30)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nebulizer 및 산소요법 (비강캐뉼라)을 스스로 잘 이행 하는 모습을 보인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심호흡 및 기침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스스로 약물을 복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퇴원 시까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설명하고 증상에 대한 자가 간호요법을 말로 설명한다.
간호계획
1. V/S (활력징후)을 측정한다.
2. SpO2 결과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3. 대상자의 질환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간호 및 치료에 참여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5. 약물복용, nebulizer와 O2 제공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6. 심호흡과 기침격려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적어도 매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V/S은 신체 기능의 변화를 사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지표로 대상자가 치료
불이행으로 이상변화가 생기는지 관찰)
2. 매 4시간마다 V/S 측정 및 호흡곤란을 느낄 시마다 SpO2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SpO2는 대상자의 호흡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로 대상자가 치료불이행으로
이상변화가 생기는지 관찰)
3. 결핵과 폐렴은 치료 시 완치가 가능하고 결핵은 오랜 시간 치료가 필요하며,
호흡곤란과 전신쇠약에 영향을 미치므로 치료가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질병에 대해 인식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면 과잉진료 및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참여성이 감소됨)
4. 결핵과 폐렴은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오랜 시간 치료가 필요하기에
참여하지 않을 시 치료기간이 늘어남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와 보호자가
끈기 있게 치료와 간호를 같이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간호 수행에 참여하여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높임)
5. O2 제공과 nebulizer는 약물산소치료로 분비물을 묽게 하고 기관지를
확장시켜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켜주고 약물치료 중 결핵약은 꾸준히 복용
하지 않으면 약물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간호와 치료가 지금 대상자 상태에 필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불이행일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증상에 대해 설명해주고 이해시킴으로써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함)
6. 심호흡과 기침은 분비물 배출과 호흡을 원활하게 해줌을 설명하고 기침 시
요통과 가슴통증을 느낄 시 지지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간단한 방법으로도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려주어 거부감
없이 스스로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3일 후 nebulizer와 비강캐뉼라를 잘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3일 후 먼저 처방 된 약을 주라고 말씀하시고 복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3일 후 심호흡과 배와 등을 지지하며 기침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Ⅵ 참고문헌
[그림 1, 2]. 네이버 지식백과
박미선 (2014.08). 간호사의 결핵 감염관리 및 질환예방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 : 결핵 고위험 부서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보건교육전공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조경숙 외 (2016).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p556~560
약물요법. Druginfo. https://www.druginfo.co.kr/
임상병리검사 임상적 의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lfhdjssl&logNo=23752385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진단검사. https://blog.naver.com/ohohoms?Redirect=Log&logNo=90001367320&proxyReferer
ROM실시 등 점차적으로 활동량을 증가시키도록 교육하였다.
(점차적으로 활동량을 증가시켜 현실적 활동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
6. 심호흡을 격려하고 머리를 상승시키는 반좌위 취해주기, 금기사항이 아니면
수분섭취를 하여 분비물 점액을 낮추어 호흡유지가 원할할 수 있도록 교육
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함으로써 퇴원 시에도 활동 후 호흡곤란을 느낄 시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
7. 근육을 많이 사용하거나 고강도 운동 및 활동은 산소요구량을 증가시켜
호흡곤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처음부터 높은 활동량을 수행 시 호흡곤란으로 쇠약감이 들어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점차적으로 늘려 산소요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
8. 처방에 따라 SpO2가 90%이하 측정되거나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날 시
2ℓ/min 이하의 O2를 비강캐뉼라로 제공 후 30분 뒤 SpO2를 재측정 하였다.
(6ℓ이상 산소 투여 시 해부학적 저장소가 적어 코나 입으로 loss되는 양이
많아 효과적이지 않고, 5∼6L/min 이상의 높은 유량에서 비강 점막 건조 및
전두동에 통증을 유발)
9. 처방에 따른 nebulizer(Aventro+Mucomyst+Ventolin)을 투약하였다.
(진해거담제와 기관지 확장제를 투약하여 분비물을 묽게 하고 호흡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5일 후 화장실을 갔다 오고 조금씩 움직여도 숨이 차지 않았다고 말하였다.
대상자는 5일 후 활동을 한 후 SpO2를 측정하였을 시 93%이상 측정되었다.
우선순위 3 간호진단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치료 불이행
수집된
자 료
주관적 자료
1. “호흡기 왜해? 안할거야.”
2. “약 다시 가져가. 안먹어.”
3. “아침에 할 테니까 냅두고 가.”
4. “귀찮게 계속 하래. 숨 조금 차는데 이정도면 괜찮아. 가.”
5. “안움직이면 숨 안차. 뭐하러 심호흡하라해. 그게 더 힘들어.”
객관적 자료
1. nebulizer를 다음 날 하신다고 항상 거부하심
2. 비강캐뉼라로 O2 제공 시 자기가 빼버리심
3. 시간이 지난 약봉지가 그대로 놓아져 있음
4. SpO2와 respiration 변화가 심함
(SpO2: 95→90~88, respiration: 20→26~30)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nebulizer 및 산소요법 (비강캐뉼라)을 스스로 잘 이행 하는 모습을 보인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심호흡 및 기침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스스로 약물을 복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퇴원 시까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설명하고 증상에 대한 자가 간호요법을 말로 설명한다.
간호계획
1. V/S (활력징후)을 측정한다.
2. SpO2 결과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3. 대상자의 질환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간호 및 치료에 참여해야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5. 약물복용, nebulizer와 O2 제공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6. 심호흡과 기침격려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적어도 매 4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V/S은 신체 기능의 변화를 사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지표로 대상자가 치료
불이행으로 이상변화가 생기는지 관찰)
2. 매 4시간마다 V/S 측정 및 호흡곤란을 느낄 시마다 SpO2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SpO2는 대상자의 호흡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로 대상자가 치료불이행으로
이상변화가 생기는지 관찰)
3. 결핵과 폐렴은 치료 시 완치가 가능하고 결핵은 오랜 시간 치료가 필요하며,
호흡곤란과 전신쇠약에 영향을 미치므로 치료가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질병에 대해 인식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면 과잉진료 및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여 참여성이 감소됨)
4. 결핵과 폐렴은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오랜 시간 치료가 필요하기에
참여하지 않을 시 치료기간이 늘어남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와 보호자가
끈기 있게 치료와 간호를 같이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간호 수행에 참여하여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높임)
5. O2 제공과 nebulizer는 약물산소치료로 분비물을 묽게 하고 기관지를
확장시켜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켜주고 약물치료 중 결핵약은 꾸준히 복용
하지 않으면 약물에 대한 내성이 발생하여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간호와 치료가 지금 대상자 상태에 필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식시키고
불이행일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증상에 대해 설명해주고 이해시킴으로써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함)
6. 심호흡과 기침은 분비물 배출과 호흡을 원활하게 해줌을 설명하고 기침 시
요통과 가슴통증을 느낄 시 지지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간단한 방법으로도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려주어 거부감
없이 스스로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함)
간호평가
대상자는 3일 후 nebulizer와 비강캐뉼라를 잘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3일 후 먼저 처방 된 약을 주라고 말씀하시고 복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는 3일 후 심호흡과 배와 등을 지지하며 기침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Ⅵ 참고문헌
[그림 1, 2]. 네이버 지식백과
박미선 (2014.08). 간호사의 결핵 감염관리 및 질환예방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 : 결핵 고위험 부서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보건교육전공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조경숙 외 (2016).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p556~560
약물요법. Druginfo. https://www.druginfo.co.kr/
임상병리검사 임상적 의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lfhdjssl&logNo=23752385
http://www.kslm.org/sub01/sub05_4.html
진단검사. https://blog.naver.com/ohohoms?Redirect=Log&logNo=90001367320&proxyReferer
추천자료
당뇨병의 원인과 증상 및 합병증
미국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역사
미국지역사회복지사업
COPD 대상자 CASE STUDY
편도선염
폐렴 환아에 대한 사례연구
[간호] 병리과 실습보고서 양식, 케이스
기흉환자의 사례관리_
[아동간호학] 뇌수막염 (Meningitis)
[성인간호학][quadriplegia][사지마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기흉][pneumothorax]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기초간호과학] 면역 관여 세포 &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질환과 , 그중 발생기...
폐렴+A+(신중한+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