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위
신체검진방법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신체검진방법
정상소견
비정상소견
본문내용
인으로 가정할 수 있다
④.외안근의 움직임
=대상자에게 검진자를 똑바로 보게한다
대상자의 코로부터 25~30cm 떨어진 곳에 검진자의 손가락을 위치한다
대상자에게 머리를고정하고 눈만 사용하여 손가락을 따라오게 한다
최대오른쪽, 오른쪽위로,오른쪽아래로,중간에정지없이 최대왼쪽,왼쪽위쪽,왼쪽아래순서로 검진
양쪽눈은 물체와 평행하게 움직인다,
측면의 응시 최대지점에서 가벼운 안구 진탕증이 있는 것은 정상
눈의 움직임이 평행이 아니면 근육이 약하거나 뇌신경 3.4.6.번의 기능장애를 나타낸다
안구진탕증은 수평,수직,회진 또는 혼합된 방향에서 안구의 무의식적인 움직임이다
내사시 : 눈이 내측으로 치우침
외사시: 눈이 외측으로 치우침
⑤.각막빛반사(허쉬버그검사)
=대상자에게 두는을 뜨고 앞을 응시하라고 한다
코끝으로부터 30~38떨어진 곳에 펜라이트를 비춘다
양쪽 각막이 대칭적으로 빛반사를 보여야한다
양쪽이 대칭이 아닌 경우 차폐검사를 한다
각막 빛반사의 위치가 비대칭으로 나타나면 외안근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
⑦.차폐검사
=대상자의 한쪽눈을 불투명한 카드로 가린다
가리지 않은 쪽의 눈에서 편위나 움직임이 있는지 관찰
카드를 치우면서 눈동자가 초첨을 맞추려고 하는지 관찰한다
초첨을 맞추려고 하는 움직임이 없어야한다
초첨을 맞추기위해 가리지 않은 눈이 움직인다면 사시
2.눈의 외부
①시진과 촉진
-눈썹시진
눈썹이 난곳의 피부는 완전하고 양눈썹은 대칭, 눈썹에는 비듬이나 병변이 없어야한다
눈썹이 빠지거나 비듬이 있다
얼굴표정이 바뀔 때 눈썹이 비대칭으로 움직인다-신경손상
갑상선기능저하증-측면의 눈썹1/3소실
②안검과 속눈썹 시진
눈꼬리 양쪽 모두 동등
상안검은 동공이 아니라 홍채부분을 덮어야하며 하안검은 대채로 윤부를 덮고 있다.
눈깜박임은 자연스럽게 자주 있고, 양측성, 불수의적인 움직임 1분에 15~20회정도
안검색깔은 피부색과 같아야하고 약간 창백한 분홍빛이다
눈꼬리가 비대칭으로위치
갑상선기능항징증-안구돌출증, 상안검과 홍채사이의 공백이 보인다
속눈썹이 안쪽으로 향한 것을 안구함몰증
어느 한쪽 눈이라도 안검이 동공 부분을 덮으면 안검하수의 원인
안검이 불안전하게 닫히거나 통증이 있으면 염증
병변, 결절, 발적, 박리, 딱지, 과도한 눈물, 분비물 등을 기록한다
부종이 있는 안검은 맥립종이나 산립종의 감염
③안구의 위치
안구돌출 : 안구의 위치가 너무앞
안구함몰: 안구의 위치가 너무뒤
안구가 단단하고 촉진시 저항이 있으면 녹내장 의심
④누점
=시진, 상안검과 하안검 촉진
점막은 분홍빛, 누점을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어야한다, 과도한눈물없이 촉촉해야한다
압통, 결절, 불규칙성은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
누점이 점액과 먼지로 막히면 염증의 원인이 된다
과다한 눈물은 비루관의 막힘
⑤결막과 공막
=엄지손가락으로 하안검을 아랫방향으로 누른채 대상자에게 위를 보게 하면 공막과 각막이 노출된다
하얀 공막위의 작고 붉은 혈관들이 보이고 안구결막은 투명해야한다
하안검의 결막은 불투명하고 분홍색이며 혈관이있어야한다
붉고 충혈된 결막은 결막염의 지표
혈관근처가 붉게보이면 이는 결막하출혈을 의미
병소, 결절,이물질은 비정상
누르스름한 공막은 간질환이나 담석에의한 담관폐쇄의 원인에 의한 황달
⑥상안검의 외전
=대상자에게 아래를 보게 하되 눈을 약간 뜨게한다
검진용장갑을 이용해 위쪽 속눈썹을 잡고 아래로 당긴다
상안검 가장자리 약 1cm에 면봉을 놓고 눈꺼풀을 뒤집기위해 면봉으로 천천히 아래로 밀면서 잡고있는 속눈썹을 위로 재낀다
부종 이물질 분비물 홍반등을 주목
창백한 결막은 빈혈
각막 중심 주변으로부터 안구결막에 어떤 조직이 자라는지 관찰한다
3. 안구 전면
①시진
-각막의 투명도와 표면의 특성
각막은 투명하고 빛이 나는 매끄러운 표면이어야한다
불투명 빛반사의 불규칙성 병변 찰과상 또는 이물질에 유의
각막환이라고 부르는 가장자리를 둘러싼 하얀색 불투명한 둥근무늬에 주의
②각막반사
솜으로 각막을 가볍게 건드린다
뇌간의 부종은 제5뇌신경과 제7뇌신경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고 머리손상이나 뇌출혈 또는 종양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③안구전방
안구 측면에 빛을 비춘다
초승달모양의 그림자가 관찰되지 않아야한다
초승달 모양의 그림자를 투사하게 되면 녹내장
④홍채
일관된 색
둥글어야한다
⑤동공
-눈의 폭주검사
멀리있는 물체를 보게할때는 동공이 확장되어야한다, 그후 대상자의 코로부터 5~8cm떨어진 곳에 손가락을 보게한다 동공이 수축되는 것을 확인한다.
눈이 코중앙으로 모이는지 확인한다.
동공의 지름은 보통 3~5mm
멀리 볼 때 동공이 확장
가까 있는 것을 볼 때는 수축
한쪽또는 양쪽눈의 수척부전은 동안신경의 기능장애, 동공확대는 동공 사이즈가 6mm이상으로 수축하지 못한다.
동공축소- 2mm이하 모르핀 중독
4.안구내부검사
검안경검사를 위해 방을 어둡게하여 동공을 확대시킨다.
대상자가 안경을 쓰고 있다면 벗게 하고 콘텍트렌즈는 그대로 둔다
-검안경의 전원을 켜서 손등에 빛을 비춰보고 불빛의 형태와 충전상태를 확인
렌즈 디스크를 0디옵터로 맞춘다 검진중 검안경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렌즈디스크에 집게손가락을 올려놓는다
오른쪽눈을 검사하려면 검안경을 오른손에 들고 왼쪽눈의로 대상자의 오른쪽 눈을 검사한다
대상자에게 어깨너머 방안의한지점을 보라고 한다
검안경을 들어서 같은 쪽의 눈에 대고 대상자의 눈을보며 검안경을 들지 않은 손은 대상자의 이마에 올려놓는다
대상자로부터 25cm떨어진 지점에서 시선방향을 15 의 측면에서 대상자의 동공에 빛을 비춘다
동공에서 오렌지 빛이 나는지 확인한다.
①적색반사
망막에 빛이 반사되어 동공이 적색이나 오랜지색으로 반짝이어야한다
적색반사가 없는 경우 렌즈의 혼탁 초자체의혼탁을 의미
②시신경유두
경계는 일정하고 뚜렷하여야한다.
유두모양은 둥글고 위로 약간 긴 타원이다
유두색은 노란크림색d서 핑크색, 망막보다 색이 옅고 표면에 미세한 혈조직이있다
중앙의 생리적 유두함몰유두의 다른부분보다 밝게 보인다;
백내장이 있으면 빛이 수정체를 통과할 수 없다
경계가 불규칙 양 눈의 시신경유두색이나 크기가 다른지 확인한다
혈액공급부족-시신경유두창백
유두가 충혈,혈관이 구불구불한 경우
시신경
④.외안근의 움직임
=대상자에게 검진자를 똑바로 보게한다
대상자의 코로부터 25~30cm 떨어진 곳에 검진자의 손가락을 위치한다
대상자에게 머리를고정하고 눈만 사용하여 손가락을 따라오게 한다
최대오른쪽, 오른쪽위로,오른쪽아래로,중간에정지없이 최대왼쪽,왼쪽위쪽,왼쪽아래순서로 검진
양쪽눈은 물체와 평행하게 움직인다,
측면의 응시 최대지점에서 가벼운 안구 진탕증이 있는 것은 정상
눈의 움직임이 평행이 아니면 근육이 약하거나 뇌신경 3.4.6.번의 기능장애를 나타낸다
안구진탕증은 수평,수직,회진 또는 혼합된 방향에서 안구의 무의식적인 움직임이다
내사시 : 눈이 내측으로 치우침
외사시: 눈이 외측으로 치우침
⑤.각막빛반사(허쉬버그검사)
=대상자에게 두는을 뜨고 앞을 응시하라고 한다
코끝으로부터 30~38떨어진 곳에 펜라이트를 비춘다
양쪽 각막이 대칭적으로 빛반사를 보여야한다
양쪽이 대칭이 아닌 경우 차폐검사를 한다
각막 빛반사의 위치가 비대칭으로 나타나면 외안근이 약하다는 것을 의미
⑦.차폐검사
=대상자의 한쪽눈을 불투명한 카드로 가린다
가리지 않은 쪽의 눈에서 편위나 움직임이 있는지 관찰
카드를 치우면서 눈동자가 초첨을 맞추려고 하는지 관찰한다
초첨을 맞추려고 하는 움직임이 없어야한다
초첨을 맞추기위해 가리지 않은 눈이 움직인다면 사시
2.눈의 외부
①시진과 촉진
-눈썹시진
눈썹이 난곳의 피부는 완전하고 양눈썹은 대칭, 눈썹에는 비듬이나 병변이 없어야한다
눈썹이 빠지거나 비듬이 있다
얼굴표정이 바뀔 때 눈썹이 비대칭으로 움직인다-신경손상
갑상선기능저하증-측면의 눈썹1/3소실
②안검과 속눈썹 시진
눈꼬리 양쪽 모두 동등
상안검은 동공이 아니라 홍채부분을 덮어야하며 하안검은 대채로 윤부를 덮고 있다.
눈깜박임은 자연스럽게 자주 있고, 양측성, 불수의적인 움직임 1분에 15~20회정도
안검색깔은 피부색과 같아야하고 약간 창백한 분홍빛이다
눈꼬리가 비대칭으로위치
갑상선기능항징증-안구돌출증, 상안검과 홍채사이의 공백이 보인다
속눈썹이 안쪽으로 향한 것을 안구함몰증
어느 한쪽 눈이라도 안검이 동공 부분을 덮으면 안검하수의 원인
안검이 불안전하게 닫히거나 통증이 있으면 염증
병변, 결절, 발적, 박리, 딱지, 과도한 눈물, 분비물 등을 기록한다
부종이 있는 안검은 맥립종이나 산립종의 감염
③안구의 위치
안구돌출 : 안구의 위치가 너무앞
안구함몰: 안구의 위치가 너무뒤
안구가 단단하고 촉진시 저항이 있으면 녹내장 의심
④누점
=시진, 상안검과 하안검 촉진
점막은 분홍빛, 누점을 눌러도 아무런 반응이 없어야한다, 과도한눈물없이 촉촉해야한다
압통, 결절, 불규칙성은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
누점이 점액과 먼지로 막히면 염증의 원인이 된다
과다한 눈물은 비루관의 막힘
⑤결막과 공막
=엄지손가락으로 하안검을 아랫방향으로 누른채 대상자에게 위를 보게 하면 공막과 각막이 노출된다
하얀 공막위의 작고 붉은 혈관들이 보이고 안구결막은 투명해야한다
하안검의 결막은 불투명하고 분홍색이며 혈관이있어야한다
붉고 충혈된 결막은 결막염의 지표
혈관근처가 붉게보이면 이는 결막하출혈을 의미
병소, 결절,이물질은 비정상
누르스름한 공막은 간질환이나 담석에의한 담관폐쇄의 원인에 의한 황달
⑥상안검의 외전
=대상자에게 아래를 보게 하되 눈을 약간 뜨게한다
검진용장갑을 이용해 위쪽 속눈썹을 잡고 아래로 당긴다
상안검 가장자리 약 1cm에 면봉을 놓고 눈꺼풀을 뒤집기위해 면봉으로 천천히 아래로 밀면서 잡고있는 속눈썹을 위로 재낀다
부종 이물질 분비물 홍반등을 주목
창백한 결막은 빈혈
각막 중심 주변으로부터 안구결막에 어떤 조직이 자라는지 관찰한다
3. 안구 전면
①시진
-각막의 투명도와 표면의 특성
각막은 투명하고 빛이 나는 매끄러운 표면이어야한다
불투명 빛반사의 불규칙성 병변 찰과상 또는 이물질에 유의
각막환이라고 부르는 가장자리를 둘러싼 하얀색 불투명한 둥근무늬에 주의
②각막반사
솜으로 각막을 가볍게 건드린다
뇌간의 부종은 제5뇌신경과 제7뇌신경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고 머리손상이나 뇌출혈 또는 종양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
③안구전방
안구 측면에 빛을 비춘다
초승달모양의 그림자가 관찰되지 않아야한다
초승달 모양의 그림자를 투사하게 되면 녹내장
④홍채
일관된 색
둥글어야한다
⑤동공
-눈의 폭주검사
멀리있는 물체를 보게할때는 동공이 확장되어야한다, 그후 대상자의 코로부터 5~8cm떨어진 곳에 손가락을 보게한다 동공이 수축되는 것을 확인한다.
눈이 코중앙으로 모이는지 확인한다.
동공의 지름은 보통 3~5mm
멀리 볼 때 동공이 확장
가까 있는 것을 볼 때는 수축
한쪽또는 양쪽눈의 수척부전은 동안신경의 기능장애, 동공확대는 동공 사이즈가 6mm이상으로 수축하지 못한다.
동공축소- 2mm이하 모르핀 중독
4.안구내부검사
검안경검사를 위해 방을 어둡게하여 동공을 확대시킨다.
대상자가 안경을 쓰고 있다면 벗게 하고 콘텍트렌즈는 그대로 둔다
-검안경의 전원을 켜서 손등에 빛을 비춰보고 불빛의 형태와 충전상태를 확인
렌즈 디스크를 0디옵터로 맞춘다 검진중 검안경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렌즈디스크에 집게손가락을 올려놓는다
오른쪽눈을 검사하려면 검안경을 오른손에 들고 왼쪽눈의로 대상자의 오른쪽 눈을 검사한다
대상자에게 어깨너머 방안의한지점을 보라고 한다
검안경을 들어서 같은 쪽의 눈에 대고 대상자의 눈을보며 검안경을 들지 않은 손은 대상자의 이마에 올려놓는다
대상자로부터 25cm떨어진 지점에서 시선방향을 15 의 측면에서 대상자의 동공에 빛을 비춘다
동공에서 오렌지 빛이 나는지 확인한다.
①적색반사
망막에 빛이 반사되어 동공이 적색이나 오랜지색으로 반짝이어야한다
적색반사가 없는 경우 렌즈의 혼탁 초자체의혼탁을 의미
②시신경유두
경계는 일정하고 뚜렷하여야한다.
유두모양은 둥글고 위로 약간 긴 타원이다
유두색은 노란크림색d서 핑크색, 망막보다 색이 옅고 표면에 미세한 혈조직이있다
중앙의 생리적 유두함몰유두의 다른부분보다 밝게 보인다;
백내장이 있으면 빛이 수정체를 통과할 수 없다
경계가 불규칙 양 눈의 시신경유두색이나 크기가 다른지 확인한다
혈액공급부족-시신경유두창백
유두가 충혈,혈관이 구불구불한 경우
시신경
추천자료
[간호학과]출장근무가 기혼직장여성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학과] 치료적 인간관계의 과정-심리적일치 강의자료
[간호학과] 외상성 장애
[간호학과] 신경외과 실습 - 신경학적 사정 ward class
[간호학과] 영리 법인 병원 설립의 장점과 단점
[간호학과, 4학년 공통] 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심...
[간호학과] 병태생리학 종양 관련 발표 자료 입니다.
[간호학과] 직장암 (rectal cancer) 사례연구 case study
[간호학과] 치매(dementia) 사례연구 case study
[간호학과] 폐렴(pneumonia) 사례연구 case study
[간호학과]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사례연구 case
[간호학과] 당뇨병성 케톤산증 사례연구 발표자료
연세대학교 간호학과 학업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