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질병 고찰
1)급성 장염의 정의--------------------------------------------------------------------------1p
2)병태생리
3)증상
4)진단과 검사
5)치료
6)예방
Ⅱ사례
1)간호정보 조사지---------------------------------------------------------------------------3p
①기본 정보
②건강과 관련된 정보 및 신체 사정
2)Case study--------------------------------------------------------------------------------4p
①환자 소개
②건강력
③진단 검사
④투약
⑤Case의 간호과정 적용
-대사율 증가와 관련된 고체온
-정보자원에 익숙치 못함과 관련된 지식부족
-체온 상승,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어린 연령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ⅢCase Study를 통한 결론 및 제언----------------------------------15p
Ⅳ참고문헌(Reference)----------------------------------------------------------16p
1)급성 장염의 정의--------------------------------------------------------------------------1p
2)병태생리
3)증상
4)진단과 검사
5)치료
6)예방
Ⅱ사례
1)간호정보 조사지---------------------------------------------------------------------------3p
①기본 정보
②건강과 관련된 정보 및 신체 사정
2)Case study--------------------------------------------------------------------------------4p
①환자 소개
②건강력
③진단 검사
④투약
⑤Case의 간호과정 적용
-대사율 증가와 관련된 고체온
-정보자원에 익숙치 못함과 관련된 지식부족
-체온 상승,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의 위험성
-어린 연령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ⅢCase Study를 통한 결론 및 제언----------------------------------15p
Ⅳ참고문헌(Reference)----------------------------------------------------------16p
본문내용
만히 있지를 않아요.”
Objective
Data
낙상점수 50점 (뒷면 <표1>참고)
6세 이하의 어린이는 초기평가 없이 고위험군으로 분류함.
침상 난간이 내려져 있는 모습 자주 관찰됨
침대 위에서 구르고 걸어다니는 등 활발한 모습 관찰됨
Goal
단기목표
1)침상난간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적용하는지를 확인한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앉아서 할 수 있는 세 가지 이상의 활동을 제안하고 그 중 두 가지 이상을 실천한다.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Plan&Intervention
1)보호자에게 침상 난간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활력징후 측정시마다 난간이 올려져있는지 확인한다.
-보호자에게 침대 위에 올라가있을 때에는 침상 난간을 꼭 올려둬야 함을 교육했고, 난간을 올리고 내리는 방법 또한 교육했으나 이미 알고 계셨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보호자에게 여러 가지를 제안하였다.
-침대 위에 물건 늘어놓지 않기, 바닥에 물기 뿐만 아니라 밟을만한 것 모두 치우기, 수액 라인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라인을 말아올려놓기 등을 제안하였다.
3)일어나서 뛰어다니며 하는 활동보다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한다.
-TV시청, 휠체어타고 산책, 보호자와 함께 그림책 보기를 제안했다.
-침상 난간을 올려둠으로써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행에 방해가 되는 물건을 치움으로써 낙상을 방지한다.
-일어서지 않고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해 낙상 위험을 줄인다.
Evaluation
비달성
목표1)침상난간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이해했음을 확인한다.
->침상 난간 작동법과 필요성을 교육했고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V/S측정을 위해 방문했을 때 난간이 내려져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어 강력한 재교육이 필요함으로 판단되었다.
달성
목표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침대 위에 있던 리모컨, 핸드폰 등을 치우셨다.
달성
목표3)앉아서 할 수 있는 세 가지 이상의 활동을 제안하고 그 중 두 가지 이상을 실천한다.
->TV보기와 휠체어 타고 산책하기를 실천했으며 지호 또한 협조적이었다.
달성
장기목표)퇴원 전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환아는 퇴원 시(6.16 10:00)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표1>
<표 1> 낙상 사정 도구 (Mores falls scale)
낙상의 경험
있음(25)
없음(0)
이차적인 진단
있음(15)
없음(0)
보행 보조
가구를 잡고 보행함(3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0)
정맥 수액 요법/헤파린 락
있음(20)
없음(0)
걸음걸이
장애가 있음(20)
허약함(10)
정상/침상안정/부동(0)
의식장애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15)
자신의 기능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0)
*초기평가 : 모든 환자 대상으로 입원 2시간 이내 평가
*재평가 : 모든 환자 대상으로 2주 1회 재평가(토요일 eve duty)
*낙상 고위험 환자 분류 기준
High risk: 51-125점, 70세 이상, 7세 미만, 중환자실 환자
Low risk : 25-50점
No risk : 0-24점
Nsg Dx ⑤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Assessment
Subjective
Data
“설사를 자꾸 해요.”
“기저귀 갈아주면 또 하고 또 갈아주면 또 하고....”
(엉덩이가 빨갛냐는 질문에)“아니요. 그렇지는 않아요.”
Objective
Data
엉덩이가 붉지는 않으나 습함
Goal
단기목표
1)(설사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매일 식이를 확인한다.
2)욕창 예방법을 교육하고 두 가지 이상 실천한다.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피부손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Plan&Intervention
1)매일 환아가 먹은 식이를 확인한다.
-이전에 두유를 먹인 적이 있었기 때문에 식이를 확인했다. (제공한 시각자료를 기반으로) 장염을 악화시킬만한 음식은 먹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욕창 예방을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기저귀 빨리 갈아주기(청결 유지)
엉덩이 건조하게 유지하기
(필요시 파우더 도포)
오래 한 자세로 있지 않기
기저귀 착용 시 베기는 부분이 없도록 신경 쓴다.
-상기 방법을 교육했고, 보호자는 기저귀를 갈 때 벗긴 채로 약간 시간을 두어 건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착용시 기저귀를 편평하게 펴는 모습도 보였다.
-설사를 하면 엉덩이가 습해지고 욕창의 위험이 높이지기 때문에 식이 조절을 통해 설사 횟수를 줄이도록 한다.
-기저귀를 빨리 갈아 습한 상태로 있는 것을 방지한다.
엉덩이를 건조하게 유지하면 욕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 자세로 오래 있으면 중력에 의해 무게가 쏠리게 되고 욕창이 생기게 된다.
기저귀 착용 시 또는 맨 몸으로 눕거나 앉을 시 엉덩이에 닿는 부분이 울퉁불퉁하면 욕창이 생기기 쉽다.
Evaluation
달성
목표1)설사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매일 식이를 확인한다.
->매일 질문을 통해 식이를 확인했고 식이 확인 결과 양호했다.
달성
목표2)욕창 예방법을 교육하고 두 가지 이상 실천한다.
->건조하게 유지하기, 베기지 않게 평평히 하기, 기저귀 빨리 갈아주기 등을 실천했다.
달성
장기목표)퇴원 전까지 피부손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퇴원시인 6.15/10:00까지 피부손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ⅢCase Study를 통한 결론 및 제언
해당 환아는 장염과 함께 수족구병, 기관지염을 진단받은 상태로 손,발의 수포 등의 증상도 있었으나 장염을 주제로 한 Case study와는 맞지 않아 다루지 않았다. 수족구병이라는 것을 처음 봐서 흥미로웠는데, 정해진 주제가 있어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그리고 소아들은 일찍 퇴원하기 때문에 경과를 오래 지켜볼 수 없는 점이 아쉬웠다. 다른 환아들도 대부분 장염이 부진단으로 있는 것을 보니 소아들은 성인보다 장염이 비교적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Ⅳ참고문헌(Reference)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2017), 홍정주이현정 외 3명 저, 대한나래출판사
성인간호학(2013), 조경숙김희경박순옥 외 7명 저,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2016), 이동숙홍영혜박미성장희경, 포널스 출판사
Objective
Data
낙상점수 50점 (뒷면 <표1>참고)
6세 이하의 어린이는 초기평가 없이 고위험군으로 분류함.
침상 난간이 내려져 있는 모습 자주 관찰됨
침대 위에서 구르고 걸어다니는 등 활발한 모습 관찰됨
Goal
단기목표
1)침상난간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적용하는지를 확인한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3)앉아서 할 수 있는 세 가지 이상의 활동을 제안하고 그 중 두 가지 이상을 실천한다.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Plan&Intervention
1)보호자에게 침상 난간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활력징후 측정시마다 난간이 올려져있는지 확인한다.
-보호자에게 침대 위에 올라가있을 때에는 침상 난간을 꼭 올려둬야 함을 교육했고, 난간을 올리고 내리는 방법 또한 교육했으나 이미 알고 계셨다.
2)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보호자에게 여러 가지를 제안하였다.
-침대 위에 물건 늘어놓지 않기, 바닥에 물기 뿐만 아니라 밟을만한 것 모두 치우기, 수액 라인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라인을 말아올려놓기 등을 제안하였다.
3)일어나서 뛰어다니며 하는 활동보다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한다.
-TV시청, 휠체어타고 산책, 보호자와 함께 그림책 보기를 제안했다.
-침상 난간을 올려둠으로써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행에 방해가 되는 물건을 치움으로써 낙상을 방지한다.
-일어서지 않고 앉아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해 낙상 위험을 줄인다.
Evaluation
비달성
목표1)침상난간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이해했음을 확인한다.
->침상 난간 작동법과 필요성을 교육했고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V/S측정을 위해 방문했을 때 난간이 내려져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어 강력한 재교육이 필요함으로 판단되었다.
달성
목표2)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침대 위에 있던 리모컨, 핸드폰 등을 치우셨다.
달성
목표3)앉아서 할 수 있는 세 가지 이상의 활동을 제안하고 그 중 두 가지 이상을 실천한다.
->TV보기와 휠체어 타고 산책하기를 실천했으며 지호 또한 협조적이었다.
달성
장기목표)퇴원 전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환아는 퇴원 시(6.16 10:00)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표1>
<표 1> 낙상 사정 도구 (Mores falls scale)
낙상의 경험
있음(25)
없음(0)
이차적인 진단
있음(15)
없음(0)
보행 보조
가구를 잡고 보행함(30)
목발/지팡이/보행기 사용함(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침상안정/휠체어/간호사가 도와줌(0)
정맥 수액 요법/헤파린 락
있음(20)
없음(0)
걸음걸이
장애가 있음(20)
허약함(10)
정상/침상안정/부동(0)
의식장애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15)
자신의 기능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0)
*초기평가 : 모든 환자 대상으로 입원 2시간 이내 평가
*재평가 : 모든 환자 대상으로 2주 1회 재평가(토요일 eve duty)
*낙상 고위험 환자 분류 기준
High risk: 51-125점, 70세 이상, 7세 미만, 중환자실 환자
Low risk : 25-50점
No risk : 0-24점
Nsg Dx ⑤
설사와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Assessment
Subjective
Data
“설사를 자꾸 해요.”
“기저귀 갈아주면 또 하고 또 갈아주면 또 하고....”
(엉덩이가 빨갛냐는 질문에)“아니요. 그렇지는 않아요.”
Objective
Data
엉덩이가 붉지는 않으나 습함
Goal
단기목표
1)(설사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매일 식이를 확인한다.
2)욕창 예방법을 교육하고 두 가지 이상 실천한다.
장기목표
퇴원 전까지 피부손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Plan&Intervention
1)매일 환아가 먹은 식이를 확인한다.
-이전에 두유를 먹인 적이 있었기 때문에 식이를 확인했다. (제공한 시각자료를 기반으로) 장염을 악화시킬만한 음식은 먹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욕창 예방을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기저귀 빨리 갈아주기(청결 유지)
엉덩이 건조하게 유지하기
(필요시 파우더 도포)
오래 한 자세로 있지 않기
기저귀 착용 시 베기는 부분이 없도록 신경 쓴다.
-상기 방법을 교육했고, 보호자는 기저귀를 갈 때 벗긴 채로 약간 시간을 두어 건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착용시 기저귀를 편평하게 펴는 모습도 보였다.
-설사를 하면 엉덩이가 습해지고 욕창의 위험이 높이지기 때문에 식이 조절을 통해 설사 횟수를 줄이도록 한다.
-기저귀를 빨리 갈아 습한 상태로 있는 것을 방지한다.
엉덩이를 건조하게 유지하면 욕창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한 자세로 오래 있으면 중력에 의해 무게가 쏠리게 되고 욕창이 생기게 된다.
기저귀 착용 시 또는 맨 몸으로 눕거나 앉을 시 엉덩이에 닿는 부분이 울퉁불퉁하면 욕창이 생기기 쉽다.
Evaluation
달성
목표1)설사를 악화시키지 않기 위해)매일 식이를 확인한다.
->매일 질문을 통해 식이를 확인했고 식이 확인 결과 양호했다.
달성
목표2)욕창 예방법을 교육하고 두 가지 이상 실천한다.
->건조하게 유지하기, 베기지 않게 평평히 하기, 기저귀 빨리 갈아주기 등을 실천했다.
달성
장기목표)퇴원 전까지 피부손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퇴원시인 6.15/10:00까지 피부손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ⅢCase Study를 통한 결론 및 제언
해당 환아는 장염과 함께 수족구병, 기관지염을 진단받은 상태로 손,발의 수포 등의 증상도 있었으나 장염을 주제로 한 Case study와는 맞지 않아 다루지 않았다. 수족구병이라는 것을 처음 봐서 흥미로웠는데, 정해진 주제가 있어 다루지 못한 점이 아쉬웠다. 그리고 소아들은 일찍 퇴원하기 때문에 경과를 오래 지켜볼 수 없는 점이 아쉬웠다. 다른 환아들도 대부분 장염이 부진단으로 있는 것을 보니 소아들은 성인보다 장염이 비교적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Ⅳ참고문헌(Reference)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2017), 홍정주이현정 외 3명 저, 대한나래출판사
성인간호학(2013), 조경숙김희경박순옥 외 7명 저,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2016), 이동숙홍영혜박미성장희경, 포널스 출판사
추천자료
MI 간호과정 A+
제왕절개 산모간호진단6개 A+ (진단 하나당 3카테고리로 나눠씀. 교수님께칭찬받음) 후회 없...
정신간호 case study - 치매,파킨슨, 우울증 A+자료입니다.
[지역사회간호학 A+]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건강증진이론 적용 프로그램 소개
[간호관리학 A+] 입원관리·퇴원관리 CASE STUDY
여성간호 병동 case study - 자궁근종((A+ 칭찬받은자료))
수면장애 A+ (수면장애, 관련질환, 간호과정)
A+ ) 스키조 케이스, 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 정신분열병 간호과정, Schizophrenia 케이스...
a+ 아동 소아과 요로감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백혈병 대상자 간호 A+
아동간호학 실습 크룹 (croup)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성인간호학 실습 담관염(cholangitis)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성인간호학 실습 호지킨 림프종(Hodgkins disease)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정신간호학 실습 알코올 중독 (alcoholism)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