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1. 1수준 : 인습 이전 수준(보상과 처벌 수준)
1) 1단계 처벌과 복종 지향
2) 2단계 쾌락주의
2. 2수준 : 인습 수준(사회적 규범 수준)
1) 3단계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
2) 4단계 법과 질서 유지 지향
3. 3수준 : 인습 이후 수준(도덕적 규범 수준)
1) 5단계 사회적 계약 지향
2) 6단계 보편적 윤리 지향
II.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1. 1단계 : 신뢰 대 불신
2. 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
3. 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
4. 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
5. 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6.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
7.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
8. 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1. 1수준 : 인습 이전 수준(보상과 처벌 수준)
1) 1단계 처벌과 복종 지향
2) 2단계 쾌락주의
2. 2수준 : 인습 수준(사회적 규범 수준)
1) 3단계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
2) 4단계 법과 질서 유지 지향
3. 3수준 : 인습 이후 수준(도덕적 규범 수준)
1) 5단계 사회적 계약 지향
2) 6단계 보편적 윤리 지향
II.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1. 1단계 : 신뢰 대 불신
2. 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
3. 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
4. 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
5. 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6.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
7.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
8. 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본문내용
는 기회가 주어지거나 성취 후 인정과 격려가 따르면 성취감이 길러지고, 그렇지 못하면 좌절감과 열등감을 갖게 된다.
5. 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Identity vs. Identity confusion)
타인의 평가에 관심을 갖고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에 대해 깊이 사고한다. '나의 존재는 무엇인가?'라는 의문과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찰과 자아상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고 성역할 정체성도 발달시킨다. 그 결과로 얻는 것이 자아정체성(ego-identity)이다.
자신의 개성에 대한 강한 인식을 갖고 사회로부터 인정을 획득한 청년들은 자신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을 형성하여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한다. 그러나 자기정체감이 형성되지 못하면 방황하게 되고 역할 혼란(role confusion) 또는 자아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에 빠진다. 이렇게 정체성 형성에 실패하면 정체감 위기를 맞이하게 되고 직업 선택이나 성역할 등에 혼란과 갈등을 겪는다.
6.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Intimacy vs. Isolation)
청년기에서 성인기로 전이되는 시기로 대개 20세에서 40세까지를 말한다.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면 자신의 정체성을 타인의 정체성과 조화시키려고 노력한다. 특히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욕구가 생겨나서 궁극적으로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이 시기에 획득한 친밀감은 결혼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또 사회인들과 친밀성을 유지하며, 자신의 고립을 배우자 부모 동료 등 사회의 여러 다른 성인들과의 친밀감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사회적 친밀감에 실패하면 반사회적 성향을 갖게 되고 고립된 삶을 살게 된다.
7.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
중년기에 사람들은 생산성 대 침체성이라는 일곱 번째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생산성이란 자녀를 남고 기르며 사회경제적 부나 명예를 축적하는 것을 말한다. 문화의 창조와 전수과정에서 신세대는 성인에게, 성인들은 신세대에게 의존한다. 이 시기에 다른 성인들과 원만한 관계가 성취되면 생산적인 일과 자녀양육에 몰두한다. 생산성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심리에서 배려심이 생기지만, 생산성의 확립에 실패하면 자기도취에 빠지며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사회경제적 정체라는 중년기의 위기를 맞게 되며 인생에 대해 허무감을 갖고 절망하게 된다.
8. 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마지막 8단계는 노년기로서, 자아통합을 이루고,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하는 단계이다. 통합감이란 인생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인생에 대한 통찰과 관조로 자신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죽음까지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생의 전 과정을 종합 평가하여 자신의 삶에 대해 의미 있고 만족스럽게 인식하면 과거를 겸허하고 후회 없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고 후회될 때는 인생을 혐오하거나 절망감에 빠지게 된다.
5. 5단계 :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Identity vs. Identity confusion)
타인의 평가에 관심을 갖고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에 대해 깊이 사고한다. '나의 존재는 무엇인가?'라는 의문과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찰과 자아상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고 성역할 정체성도 발달시킨다. 그 결과로 얻는 것이 자아정체성(ego-identity)이다.
자신의 개성에 대한 강한 인식을 갖고 사회로부터 인정을 획득한 청년들은 자신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을 형성하여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한다. 그러나 자기정체감이 형성되지 못하면 방황하게 되고 역할 혼란(role confusion) 또는 자아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에 빠진다. 이렇게 정체성 형성에 실패하면 정체감 위기를 맞이하게 되고 직업 선택이나 성역할 등에 혼란과 갈등을 겪는다.
6. 6단계 : 친밀감 대 고립(Intimacy vs. Isolation)
청년기에서 성인기로 전이되는 시기로 대개 20세에서 40세까지를 말한다.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면 자신의 정체성을 타인의 정체성과 조화시키려고 노력한다. 특히 이성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욕구가 생겨나서 궁극적으로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이 시기에 획득한 친밀감은 결혼생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다. 또 사회인들과 친밀성을 유지하며, 자신의 고립을 배우자 부모 동료 등 사회의 여러 다른 성인들과의 친밀감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사회적 친밀감에 실패하면 반사회적 성향을 갖게 되고 고립된 삶을 살게 된다.
7. 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tagnation)
중년기에 사람들은 생산성 대 침체성이라는 일곱 번째 위기를 맞이하게 된다. 생산성이란 자녀를 남고 기르며 사회경제적 부나 명예를 축적하는 것을 말한다. 문화의 창조와 전수과정에서 신세대는 성인에게, 성인들은 신세대에게 의존한다. 이 시기에 다른 성인들과 원만한 관계가 성취되면 생산적인 일과 자녀양육에 몰두한다. 생산성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심리에서 배려심이 생기지만, 생산성의 확립에 실패하면 자기도취에 빠지며 타인에 대한 배려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고 사회경제적 정체라는 중년기의 위기를 맞게 되며 인생에 대해 허무감을 갖고 절망하게 된다.
8. 8단계 :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
마지막 8단계는 노년기로서, 자아통합을 이루고, 절망감의 위기를 극복하는 단계이다. 통합감이란 인생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인생에 대한 통찰과 관조로 자신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죽음까지도 수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생의 전 과정을 종합 평가하여 자신의 삶에 대해 의미 있고 만족스럽게 인식하면 과거를 겸허하고 후회 없이 받아들인다. 그러나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고 후회될 때는 인생을 혐오하거나 절망감에 빠지게 된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학교교육과 정신건강
[상담심리학]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측면의 교육심리학적 분석
1.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_매슬로우동기위계설, 욕구5단계이론 2.에릭슨의 ...
[교육심리학]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8단계설, 교육적 ...
[교육심리학]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 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 ...
가드너와 에릭슨 이론의 교육심리학적 함의 : 다중지능이론과 8단계설의 교육적 시사점을 중...
교육심리학_강화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과 관찰학습이론의 입장을 비교하고, 교육적인 상황에...
교육심리학-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두 이론...
방통대 교육심리학 중간과제물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이 관심있는 교육현상에 대하여 생각해본 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