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te bronchiolitis(급성 세기관지염) 문헌고찰 간호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cute bronchiolitis(급성 세기관지염) 문헌고찰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Ⅱ.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위험요인
4) 병태생리
5) 임상증상
6) 진단
7) 치료 및 간호

Ⅲ. 대상자 사정
① 대상자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전반적 건강상태
5. 가족사항
6. 질환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7. 사회생활
② 간호사정

Ⅳ. 특수치료 및 검사소견 기록

Ⅴ. 진단적 검사 및 결과

Ⅵ. 투약 기록

Ⅶ. 대상자 간호과정 기록

V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00
17:00
BT
36.7℃
37.3℃
38.2℃▲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해열제 투여 후 1일 내로 체온이 정상범위 내로 유지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계획
염증과 관련된 활력징후 변
화(체온 상승)가 있는지 주기적으로 사정한다.
1-1) 체온이 상승 된 경우 해열제를 투여한다.
1-2) 해열제를 투여한 후 30분마다 체온을 사정 한다.
2. 염증과 관련된 대상자의 정보를 사정한다.
3. 해열제 투여 후 체온을 낮추기 위한 간호들을 제공해준다.
3-1) 대상자에게 미온수 마사지를 제공한다.
3-2) 환기가 잘되고 서늘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적
근거
활력징후의 변화는 가장 기본적으로
환자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염증이 있는 경우 체온이 상승한다.
1-1) 해열제인 setopen sus
(acetaminophen) 효과는 감기에 의한 발열, 통증의 완화이다.
1-2) 해열제 투여 후 효과 사정과 추가 투여 등을 위해 체온감소가 나타날 때 까지 체온을 감시한다.
2. WBC, Lymphocyte, CPR 증가는 염증을 의미한다.
3. 피부를 공기에 노출시키거나 환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해열제 투여한 약 1시간 후에 시행한다면 가장 효과적이다.
3-1) 미온수 마사지는 혈액 순환을 증진시켜 중심부에 있는 열을 떨어뜨린다.
3-2) 서늘한 환경은 대류 현상(밖의 공기순환에 의해 몸의 열이 방출되는 것)으로 인해 열을 감소시킨다.
수행
1. 2월 22일
13:00
15:00
17:00
BT
36.7℃
37.3℃
38.2℃▲
2시간마다 v/s check하면서 체온을 측정한다. -SN
1-1) 체온이 38℃ 이상일 경우 해열제 setopen sus 3.5cc PO로 투여한다. -RN
1-2) 해열제를 투여한 후 30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2월 22일
17:00
17:30
18:00
18:30
19:00
BT
38.2℃▲
37.9℃
37.5℃
37.2℃
36.7℃
-SN
일반혈액검사
2월 22일
정상치
WBC
11.20▲
4-10K/ul
Lymphocyte
52.1▲
22-40%
CRP(정량)
0.61▲
0-0.5mg/dl
2. 염증과 관련된 대상자의 혈액검사(WBC, Lymphocyte, CRP) 결과를 사정한다. -SN
3. 대상자에게 미온수마사지를 제공하고, 환기가 잘되고 서늘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SN
3-1) 미지근한 물, 대야, 적신 거즈 혹은 얇은 수건을 준비하여 일정온도(환아의 체온보다 1~2℃ 낮게)를 유지하면서 최소 20분 정도 미온수 마사지를 제공해준다. -SN
3-2) 병실 안에 창문을 열어서 환기시켜주고, 병동 복도를 돌아다니게 함으로서 서늘한 환경을 유지시킨다. -SN
평가

재계획
1. 체온이 38.2℃(17:00)로 상승하였다.
1-1) setopen sus 투여 후 체온이 36.7℃(19:00)로 감소되었다.
1-2) 30분마다 체온이 서서히 감소되고, 36.7℃(19:00)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여 해열제를 추가 투여하지 않았음
2. 2월 22일 이후 혈액검사를 시행하지 않았음
3, 3-1, 3-2) 미온수마사지와 서늘한 환경을 제공하여 열을 떨어뜨리는데 영향을 주어 36.7℃(19:00)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간호과정 2. 가족관련
날짜: 2016년 2월 23일
의미있는
자료
주관

자료
“ 재입원을 해서 속상하고 슬프네요..”
“ 또 주사 맞으면서 많이 울 때가 너무 속상해요”
객관

자료
- 입원력 : 2016년 2월13-17일 Acute bronchiolitis 본원 입원
간호진단
재입원과 관련된 슬픔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1일 내로 재입원에 대한 이유를 인지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더 이상 슬퍼하지 않는다.
계획
1. 대상자에게 환아의 재입원
에 대해 이유를 설명한다.
2. 대상자에게 환아의 치료 과
정과 호전가능성에 대해 설명한다.
3. 대상자에게 환아를 위한 간호를 교육해준다.
이론적
근거
환아의 재입원에 대한 이유를 인지하
게 함으로서 슬펐던 감정을 진정시킬 수 있다.
2. 환아의 전반적인 치료과정과 호전가능성을 듣고 안도감을 느낄 수 있다.
3. 환아를 위한 간호를 교육하여 시행하게 함으로서 빨리 치유될 수 있도록 해준다.
수행
대상자에게 “환아는 Rhinovirus로 인해 급성 세기관지염으로 입원하고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지만, 이번에는 RSV로 인한 급성세기관지염으로 다시 입원해서 치료를 해야 합니다. 급성 세기관지염은 겨울과 초봄에 나타나며, 어린 아이들은 아직 면역에 취약하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에 쉽게 걸릴 수 있습니다.” 라고 환아의 재입원에 대한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준다.
-SN
2. 대상자에게 “ 약물 투여, nebulizer 치료, 적당한 수분섭취, 휴식 등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입원해서 치료를 받으시면 보통 7~10일 후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라고 환아의 치료과정과 호전가능성에 대해 설명해준다. -SN
3. 대상자에게 “ 체온을 낮추기 위해 수건을 미온수에 적시고 몸을 닦아주고, 서늘한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라고 교육해준다. -SN
평가

재계획
대상자는 환아의 재입원에 대한 이유를 인지하였다.
대상자는 재입원으로 인해 슬펐던 감정이 진정되고 안도감을 느끼게 돼
었다.
3. 대상자는 환아에게 미온수마사지와 서늘한 환경을 제공해주어 빨리 치유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ⅷ. 참고문헌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164~166쪽, 274~277쪽
송경애 외(2014), 최신 기본간호학(상), 수문사, 253~259쪽
송경애 외(2014), 최신 기본간호학(하), 수문사, 285~297쪽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http://www.druginfo.co.kr/ 드러그인포
http://www.kimsonline.co.kr/ KIMS 의약정보센터
[네이버 지식백과]모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네이버 지식백과]급성 모세기관지염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중앙대학교병원)
  • 가격1,6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9.28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4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