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Bronchiolitis][세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Bronchiolitis][세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력 조사
1) 현재의 건강문제
▷투약
▷처치
▷검사결과
2) 과거력
3) 환자의 전반적 정보(profile)
4) 가족 건강력
5)신체 사정 및 증상
6) 진단명

본문내용

염과 관련된 고체온
의미있는 자료
S> “우리애기 열 좀 재주세요”
“애가 열이 나서 그런지 자꾸 보채네요”
O> 발열, 기침. 볼에 홍조를 띰, 환아가 힘이 없어보이며 지쳐보임.
Seg neutrophil 15.4↓, Lymphocyte 71.2↑, CRP 2.2↑
Dx - Bronchiolitis
chart - 4/11 2:30 PM BT 38.3℃임. 간호사 선생님께 보고 후 브루펜 prn medi 3ml 투여함. 기침, 콧물, 코막힘이 계속됨
- 4/12 7:40 PM BT 37.5℃임. 학생간호사가 오한이 없어 바지를 벗기고 미온수를 적신 손수건으로 환아 몸을 닦으라고 보호자에게 이유와 방법 설명함. 기침, 콧물이 지속됨.
V/S - :38.3℃, P:128회/min, R:38회/min
간호목표
①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36.5~37.5℃)를 유지한다.
② 대상자는 고체온의 징후나 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① 2시간마다 활력징후, 의식수준을 관찰한다.
②고열로 인한 탈수 방지를 위해 경구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③ 오한, 발한이 있는 동안이나 그 후에 활력징후를 다시 측정한다.
오한은 체온이 상승하기 전에 나타나며 발한은 고열을 떨어뜨릴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④ 오한이 없다면 미온수로 닦아주고 신체부위를 노출 시킨다.
⑤ 처방에 따라 정맥으로 수분을 공급한다.
상실한 수분을 보충하고 충분한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해 정맥을 통해 수분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⑥ 섭취량과 배설량을 관찰한다.(하지못함)
⑦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 제공하여 최대한의 휴식을 도모한다.
고열환자는 강한 불빛, 소음에 의해 자극될 수 있으므로 되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한다.
⑧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처방에 따른 해열제
(브루펜시럽)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① 보호자에게 환아에게 물이나 모유 등 수분을 자주 공급토록 지시하였다.
② 오한을 나타내지 않아 환의를 벗기고 기저귀를 차고, 속옷만 입게 하였고, 미온 수를 손수건에 적셔 환아를 닦아주었다.
③ 병실 창문과 출입문을 약간 열어두었다.
④ 세수 대야에 미지근한 물을 받아 수건에 물을 묻혀 얼굴, 목, 가슴을 골고 루 닦아주었다.
⑤ 위의 방법으로는 열이 떨어지지 않아 처방에 따른 해열제(브루펜시럽) 4ml를 간호사선생님이 주는것을 관찰하였다.
⑥ 해열제 투여 이후 체온을 측정하였다.
평가
① 환아의 체온이 36.8℃로 하강됨.(4/13일 night→day 인계중 정상체온으로 파악함)
② 대상자가 편하게 잠들어 있음.
③ 열감 느껴지지 않음,
④ V/S - T:36.8℃, P: 108회/min, R: 36회/min
· 예방접종 : DPT 2회, 소아마비 2회, 홍역(+), 볼거리(+), 풍진(+), BCG(+)
진단명
#2.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의미있는자료
S> “일주일 전부터 가래가 끊기질 않아요.”
“기침도 많이 하고 숨쉴 때 가래 끓는 소리가 나요.”
O> 청진시 wheezing이 들린다.
Dx - Bronchiolitis
chart - 4/13 10AM BT 36.8℃임. 보챔없이 자고 있음. 기침, 콧물, 코 막힘 지속되어 nebulization중임.
간호목표
① 환아는 분비물을 적절하게 배출할 것이다.
② 호흡음이 깨끗하고 일정하다.
③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① 호흡양상(호흡수, 리듬, 길이, 흉부견축 정도)를 4시간마다 사정한다.
-호흡수, 호흡음을 들음.
② 흉부물리요법을 20-30분마다 한번씩 3-5분간 실시후 기침 유도한다. -부모님께서 하루 만번 이상 등을 두드리라고 권해 드림.
③ 최적의 폐확장, 가스교환, 분비물의 흡인 예방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한다.
좌위나 반좌위를 취해 폐를 확장시켜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④적절한 hydration과 humidity를 유지한다. (구강수분섭취를 격려한다.)
수분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따뜻한 물은 기관지를 이완하여 기침을 용이하게 한다.
⑤ 처방에 따라 분무요법, 기관지확장제 및 거담제를 투여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기관지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분비물 배출이 용이해 진다.
⑥ 환아의 불편감이 최소화 되도록 지지해준다.
⑦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O2 2L 처방됨)
조직의 저산소증을 예방한다. 환기의 증진을 위해 반좌위를 취해 준다.
간호수행
① 6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② 아직 연령이 어려 엄마가 비스듬하게 앉도록 하거나 베게를 이용해 반좌 위를 취해 주었다.
③ 환아가 기침할 때 컵모양의 손으로 등을 두드려 주었다.
④ 보호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시키라고 설명하였다.
⑤ 가습기를 침상 옆 서랍장위에 놓고 중정도로 틀어 놓았다.
⑥ 입원시부터 정맥을 통해 수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였고 보호자에게 아기 에게 물이나 모유 등 수분을 자주 공급토록 교육하였다.
⑦ 생리식염수에 기관지 확장제와 거담제가 혼합된 용액으로 nebulization을 시행하였다.
평가
① 기침할 때 마다 분비물을 적절하게 배출함.
② 호흡수는 정상범위를 유지함.
③ 청진시 그르렁거리는 소리는 어느정도 남아있었으나 비교적 자유로이 호흡 함.
진단명
#3. 고통스러운 시술과 관련된 불안/두려움
의미있는 자료
S: “얘가 간호사실 옆에만 지나가려고만 해도 짜증내고 울어요”
O: IV lain 잡을때 심하게 울었다. 병동에 돌아와서도 얼마동안 징징거렸다고 한다. 학생간호사가 V/S을 체크하려고 하면 울려고 하고 짜증을 낸다.
진단명
#4.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부적응과 관련된 불안
의미있는 자료
S: “원래 잘웃고 잘노는데 자꾸 보채네요. 자꾸 안기려고 하고...”
O: 간호사나 의사가 병실에 들어서기만 하면 고개를 돌리고 울기 시작한다.
병실에서 나올 때는 항상 안겨서 나오려고 하고 엄마가 잠깐 안보여도 찾는다.
진단명
#5. 가정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의미있는 자료
S> "애가 안아프다가 이번에 처음 입원할만큼 열이 오르고 아파서 집에서 어떻게 해야할지 당황스럽고 모르겠더라구요.”
O> 과거력, 질병력 - 없음
Dx - Bronchiolitis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2.15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