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대상선정 이유
2) 사례연구의 필요성
2. 본 론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및 문제소개
(1) 입원동기
(2) 질병진행과정
(3) 현재 주 호소 - 2
2) 간호력 - 초기사정자료 (Initial Data, 간호력)
3) 질병 소개 - A.G.E (acute gastroenteritis)
♧ 병인론(Pathophysiology)
4) 진단검사 소견
5) 대상자에게 투여된 약물
6) 간호과정
3. 결 론
1) 대상선정 이유
2) 사례연구의 필요성
2. 본 론
1)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및 문제소개
(1) 입원동기
(2) 질병진행과정
(3) 현재 주 호소 - 2
2) 간호력 - 초기사정자료 (Initial Data, 간호력)
3) 질병 소개 - A.G.E (acute gastroenteritis)
♧ 병인론(Pathophysiology)
4) 진단검사 소견
5) 대상자에게 투여된 약물
6) 간호과정
3. 결 론
본문내용
cussion 하도록 함
심호흡 격려
분비물(객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Inhalation Tx(Nebulizer) × 4회/day → Ventolin 0.3cc + N/S 2cc mix q8hrs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제를 하부호흡기로 직접 투여하기 위함이다.
기도 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경우 그것을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② 예기된 주사 통증과 관련된 두려움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 subjective data, sign & symptom)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Related to)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SD
- 4. 10.
“이거 아파요?”
“이거 언제 끝나요?”
“아야!!”
“또 놓을 거예요?”
“아빠 어디 있어요?”
- 4. 15.
“아~야!”
“아앙~”
OD
- 4. 10.
IV 놓을 때 손에 힘이 꽉 들어감
med. 투입 때 엉엉 움
주사 놓기 전에 불안해하며 아빠를 찾음
IV 놓을 때 소리 지름
호흡이 가팔라짐
얼굴이 붉어짐
- 4. 15.
AST 놓기 전에 흐느끼면서 얼굴을 찡그림
주사 후 할머니 품에 안겨 움
숫자척도(주사 놓을 때): 4
예기된 주사 통증과 관련된 두려움
두려움이 감소된다.
주위환기를 한다.
통증을 이해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처치가 끝난 후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켜준다.
통증에 관한 정서적 지지는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두려움이 감소되었다.
처치 후 반창고를 붙여준다.
처치 후 칭찬스티커나 사탕, 또는 잘했다는 칭찬을 해준다.
처치가 끝났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용감하게 맞는 어린이를 불러내어 보여준다.
용기를 제공해 주어 침습적 처치는 두려움이 아닌 단순한 통증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주사를 잘 맞는 어린이를 보여줌으로써 경쟁의식을 유발시켜 주사를 잘 맞을 수 있게 한다.
③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대응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 subjective data, sign & symptom)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Related to)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SD
- 4. 18.
아버지 왈 “감기 때문에 병원에 왔는데 의사선생님이 x-ray 한번 찍어보라고 해서 병원에 입원했더니 폐렴이라고 하더라고요.”
“작년에도 폐렴으로 입원했어요.”
“일 년 내내 감기를 달고 살아요.”
“10살 때까지 비염이 나을 수도 있다고 의사 선생님이 그래서 그냥 두고 볼 생각이에요.”
“비염으로 항상 코가 차있고 그 안에 머물러 있어요.”
“비염이나 감기증상이 나빠질 때만 병원에 가고 그렇지 않으면 가지 않아요.”
OD
- 4. 18.
비염 있음
폐렴으로 본원 3번 adm.
환아가 질병이 있는 것에 대해 그대로 받아들임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대응
질병에 대한 예방과 대처법을 말할 수 있다.
질병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환아의 질병에 대한 지식을 설명해준다.
질병에 대한 지식이 있을수록 그에 대한 예방과 치료 및 간호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질병에 대한 지식을 앎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질병에 대한 예방과 대처법을 말한다.
질병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수행한다.
환아의 비염 치료 및 관리에 적극적인 협조를 할 수 있게 부모 교육을 한다.
비염은 단지 코만의 문제가 아니고, 호흡기 전체나 전신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비염을 잘 치료하지 않으면 코가 막혀 공기가 여과되지 못하고 체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가 쉽다.
환경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집안의 온도차가 심하게 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해준다.
아이들은 호흡기 면역이 성인보다 약하기 때문에 감기, 비염, 폐렴 등 호흡기 관련 질환에 잘 걸린다.
주거 환경이 평상온도와 급격한 차이를 보이는 곳에서 생활하는 경우 질병을 더욱 악화시킨다.
먼지가 많거나 건조한 곳일수록 질병에 대한 증상이 악화된다.
3. 결론
이 환아는 폐렴을 가지고 있었지만 폐렴이 있다는 뚜렷한 증상이 입원 전에만 있었지 입원을 한 후에는 가래와 콧물정도 빼고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이 질병의 진행과정과 완화과정을 뚜렷하게 보기는 힘들었다. 하지만 일반 혈액학 검사, 일반화학 검사 및 x-ray를 통해 폐에 염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폐렴으로 인해 본원에 입원한 것이 처음이 아닌 이번이 3번째이며 처음에는 폐렴만 있어서 입원한 줄 알았는데, 나중에 부모사정을 통해 폐렴뿐만 아니라 비염 및 감기 증상-일 년 내내-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부모와 이야기를 나누었을 때 환아가 가지고 있는 질병에 대해 당연히 여기고 그 질병을 고치기 위한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병을 고치는 것뿐만 아니라,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해서도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환아는 아직 어리기 때문에, 환아의 전적인 간호는 부모가 담당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동의 환경관리와 위생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환경관리와 위생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환아가 가지고 있는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참고문헌
고성희외. 포켓 간호진단가이드. 현문사. 2002.
권인수외. 임상아동간호학. 수문사. 2003.
김희순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2. 현문사. 2000.
서울대학교병원 편. 임상간호 실무지침 III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홍창의.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2004.
심호흡 격려
분비물(객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Inhalation Tx(Nebulizer) × 4회/day → Ventolin 0.3cc + N/S 2cc mix q8hrs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제를 하부호흡기로 직접 투여하기 위함이다.
기도 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경우 그것을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② 예기된 주사 통증과 관련된 두려움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 subjective data, sign & symptom)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Related to)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SD
- 4. 10.
“이거 아파요?”
“이거 언제 끝나요?”
“아야!!”
“또 놓을 거예요?”
“아빠 어디 있어요?”
- 4. 15.
“아~야!”
“아앙~”
OD
- 4. 10.
IV 놓을 때 손에 힘이 꽉 들어감
med. 투입 때 엉엉 움
주사 놓기 전에 불안해하며 아빠를 찾음
IV 놓을 때 소리 지름
호흡이 가팔라짐
얼굴이 붉어짐
- 4. 15.
AST 놓기 전에 흐느끼면서 얼굴을 찡그림
주사 후 할머니 품에 안겨 움
숫자척도(주사 놓을 때): 4
예기된 주사 통증과 관련된 두려움
두려움이 감소된다.
주위환기를 한다.
통증을 이해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처치가 끝난 후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켜준다.
통증에 관한 정서적 지지는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두려움이 감소되었다.
처치 후 반창고를 붙여준다.
처치 후 칭찬스티커나 사탕, 또는 잘했다는 칭찬을 해준다.
처치가 끝났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줄 수 있다.
용감하게 맞는 어린이를 불러내어 보여준다.
용기를 제공해 주어 침습적 처치는 두려움이 아닌 단순한 통증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주사를 잘 맞는 어린이를 보여줌으로써 경쟁의식을 유발시켜 주사를 잘 맞을 수 있게 한다.
③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대응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 subjective data, sign & symptom)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Related to)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SD
- 4. 18.
아버지 왈 “감기 때문에 병원에 왔는데 의사선생님이 x-ray 한번 찍어보라고 해서 병원에 입원했더니 폐렴이라고 하더라고요.”
“작년에도 폐렴으로 입원했어요.”
“일 년 내내 감기를 달고 살아요.”
“10살 때까지 비염이 나을 수도 있다고 의사 선생님이 그래서 그냥 두고 볼 생각이에요.”
“비염으로 항상 코가 차있고 그 안에 머물러 있어요.”
“비염이나 감기증상이 나빠질 때만 병원에 가고 그렇지 않으면 가지 않아요.”
OD
- 4. 18.
비염 있음
폐렴으로 본원 3번 adm.
환아가 질병이 있는 것에 대해 그대로 받아들임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대응
질병에 대한 예방과 대처법을 말할 수 있다.
질병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환아의 질병에 대한 지식을 설명해준다.
질병에 대한 지식이 있을수록 그에 대한 예방과 치료 및 간호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질병에 대한 지식을 앎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질병에 대한 예방과 대처법을 말한다.
질병에 따른 적절한 행동을 수행한다.
환아의 비염 치료 및 관리에 적극적인 협조를 할 수 있게 부모 교육을 한다.
비염은 단지 코만의 문제가 아니고, 호흡기 전체나 전신의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비염을 잘 치료하지 않으면 코가 막혀 공기가 여과되지 못하고 체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가 쉽다.
환경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집안의 온도차가 심하게 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해준다.
아이들은 호흡기 면역이 성인보다 약하기 때문에 감기, 비염, 폐렴 등 호흡기 관련 질환에 잘 걸린다.
주거 환경이 평상온도와 급격한 차이를 보이는 곳에서 생활하는 경우 질병을 더욱 악화시킨다.
먼지가 많거나 건조한 곳일수록 질병에 대한 증상이 악화된다.
3. 결론
이 환아는 폐렴을 가지고 있었지만 폐렴이 있다는 뚜렷한 증상이 입원 전에만 있었지 입원을 한 후에는 가래와 콧물정도 빼고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이 질병의 진행과정과 완화과정을 뚜렷하게 보기는 힘들었다. 하지만 일반 혈액학 검사, 일반화학 검사 및 x-ray를 통해 폐에 염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폐렴으로 인해 본원에 입원한 것이 처음이 아닌 이번이 3번째이며 처음에는 폐렴만 있어서 입원한 줄 알았는데, 나중에 부모사정을 통해 폐렴뿐만 아니라 비염 및 감기 증상-일 년 내내-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부모와 이야기를 나누었을 때 환아가 가지고 있는 질병에 대해 당연히 여기고 그 질병을 고치기 위한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병을 고치는 것뿐만 아니라, 예방 및 대처법에 대해서도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환아는 아직 어리기 때문에, 환아의 전적인 간호는 부모가 담당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동의 환경관리와 위생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환경관리와 위생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환아가 가지고 있는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참고문헌
고성희외. 포켓 간호진단가이드. 현문사. 2002.
권인수외. 임상아동간호학. 수문사. 2003.
김희순외.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2. 현문사. 2000.
서울대학교병원 편. 임상간호 실무지침 III 아동의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홍창의.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2004.
추천자료
지하철내의 오염
목경대성 황정경 運氣正誤 오행존의 원문 및 한글 번역
급성세기관지염
[돼지독감]돼지독감의 정의와 예방 및 치료법, 돼지 인플루엔자(SI)로 인한 증상과 문제 진단...
[알레르기][알러지]알레르기(알러지)의 정의, 알레르기(알러지)의 특징, 알레르기(알러지)의 ...
[신종플루]신종인플루엔자(돼지독감)의 이해(증상, 원인, 치료, 예방), 신종플루의 발생 현황...
[영남대] 우아이
신종인플루엔자에 대한 리포트
소아과case 세기관지염-20쪽
케이스-Bronchiolitis-20쪽
[보육과정_-과제]영유아를_위한_연간_보육계획안을_작성해_보세요
건강사정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 급성세기관지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