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항균펩타이드 원리
2-2 항균펩타이드의 장단점
2-3 항균펩타이드의 종류
2-4 항균펩타이드의 생산방법
3. 결론
4. 고찰
5. 참고서적
2. 본론
2-1 항균펩타이드 원리
2-2 항균펩타이드의 장단점
2-3 항균펩타이드의 종류
2-4 항균펩타이드의 생산방법
3. 결론
4. 고찰
5. 참고서적
본문내용
펩타이드의 활성으로 인해 숙주세포 자체는 성장이 저하되는 점과 대부분의 항균펩타이드가 분작량이 작기 때문에 숙주세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효소에 분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최근에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건국대 박찬규 교수는 ‘생명공학적으로 변형된 녹색 형광 단백질(engineered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과 대장균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항균쳅타이드와 독성세포를 가지는 단백질을 고효율로 발현시킬 수 있는 유전공학적 산업화 기술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그림3. 개량된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이용한 항균 펩타이드 생산
결론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항생제를 오남용하면서 그 결과로 항생제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게 되었다.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으로 기존 항생제들이 제 기능을 상실하면서 신종 전염병 등이 다시 인간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었고 항균 펩타이드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항균펩타이드는 내성이 강하고, 사멸속도가 빠르며, 넓은 항균범위를 지는 우수한 장점들이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현재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해나가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종에서 우수한 항균펩타이드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항균펩타이드를 널리 이용하기 위해서 대량생산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장균이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을 숙주로 적용하는 방법이나 동물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고찰
기존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새로운 항균물질의 개발은 불가피한 상황이 되었다. 항균펩타이드가 이에 대한 대안이 될 것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의료분야에서는 이에 못지않게 항생물질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약물이 오남용되지 않도록 하여 앞으로 항균펩타이드의 시대에 좋은 항균물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5. 참고서적
박윤경 (2010)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 가능한 항생펩타이드의 개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송영구 (2012) 항생제 개발의 역사 및 현황, infect. chemother. 44(4), 263-8
이건형 (2005) 항생펩타이드의 연구개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이동건 (2011) 항균펩타이드의 작용 기작,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조주현 (2011) 새로운 감염 치료제로서의 항균펩타이드, 분자세포생물학뉴스
조주현 (2015) 생체방어펩타이드의 대량생산 및 실용화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ISBC
차연경, 김영수, 최유성 (2012)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KSBBJ 27:9-15
고효율 항생펩타이드의 스크리닝 및 유전학적 대량생산
(http://magic.postech.ac.kr/research/mmb_02_kr.html)
건국대 박찬규 교수 연구팀, 항생제 대체 ‘항균 펩타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5373)
최강열 (2008) MT 생명공학, 청어람장서가
최근에 들어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건국대 박찬규 교수는 ‘생명공학적으로 변형된 녹색 형광 단백질(engineered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과 대장균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항균쳅타이드와 독성세포를 가지는 단백질을 고효율로 발현시킬 수 있는 유전공학적 산업화 기술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그림3. 개량된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이용한 항균 펩타이드 생산
결론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항생제를 오남용하면서 그 결과로 항생제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게 되었다. 슈퍼박테리아의 출현으로 기존 항생제들이 제 기능을 상실하면서 신종 전염병 등이 다시 인간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었고 항균 펩타이드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각광받게 되었다.
항균펩타이드는 내성이 강하고, 사멸속도가 빠르며, 넓은 항균범위를 지는 우수한 장점들이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현재 다양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해나가고 있으며 다양한 생물종에서 우수한 항균펩타이드를 개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항균펩타이드를 널리 이용하기 위해서 대량생산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장균이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을 숙주로 적용하는 방법이나 동물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4. 고찰
기존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새로운 항균물질의 개발은 불가피한 상황이 되었다. 항균펩타이드가 이에 대한 대안이 될 것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의료분야에서는 이에 못지않게 항생물질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약물이 오남용되지 않도록 하여 앞으로 항균펩타이드의 시대에 좋은 항균물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5. 참고서적
박윤경 (2010)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 가능한 항생펩타이드의 개발,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송영구 (2012) 항생제 개발의 역사 및 현황, infect. chemother. 44(4), 263-8
이건형 (2005) 항생펩타이드의 연구개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이동건 (2011) 항균펩타이드의 작용 기작,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조주현 (2011) 새로운 감염 치료제로서의 항균펩타이드, 분자세포생물학뉴스
조주현 (2015) 생체방어펩타이드의 대량생산 및 실용화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ISBC
차연경, 김영수, 최유성 (2012) 새로운 천연 항생물질로서의 항균 펩타이드, KSBBJ 27:9-15
고효율 항생펩타이드의 스크리닝 및 유전학적 대량생산
(http://magic.postech.ac.kr/research/mmb_02_kr.html)
건국대 박찬규 교수 연구팀, 항생제 대체 ‘항균 펩타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5373)
최강열 (2008) MT 생명공학, 청어람장서가
추천자료
21세기 정보통신 생명공학
후손들의 생명공학에 대한 평가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을 읽고
[생명공학]체세포핵이식 연구에 대한 국제적 동향분석
미생물이 생명공학에 이용된 사례 - 3가지 사례
화학, 생명공학, 연구개발 분야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환경, 해양생명공학 및 생물자원
세계 주요국의 생명공학동향
현대 생명공학의 발달
자연과학 report-생명공학기술
인간복제 (생명공학 정의)
인간복제 [생명공학]
[생명공학] Proteomics(단백질체학)에 대해서
[식품생명공학] 지단백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에 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