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그가 만약 저 신발을 가져가면 그와 말싸움을 마십시오.”
馬龍聽罷, 說:“知道了。”
마룡청파 설 지도료
마룡이 다 듣고 말했다. “알겠다.”
正說着, 那李六拿着那隻靴子前來說:“比比准對。”
정설착 나이육나착나척화자전래설 니비비준대
比比 [bb] ① 반복하여 ② 어느 것이나 모두 ③ 끊임없이 ④ 곳곳에
바로 말하는데 이육이 한 개 신발을 가져와서 말했다. “당신이 반복해 대조해보십시오.”
那馬龍一, 果然是一對。
나마용일초 과연시일대
마룡이 한번 보니 과연 한쌍이었다.
飛燕子馬虎過來說:“別走, 我了無數東西, 們到三河縣衙門去說罷!”
비연자마호과래설 니별주라 아주료무수동서 찰문도삼하현아문거설파
(갈 주; -총6획; diu)
(나 찰; -총9획; zan,zan,za)
비연자 마호가 와서 말했다. “너는 달아나지 말고 내가 셀수 없는 물건을 잃었으니 우리들은 삼하현 관아에 가서 다 말해라!”
馬龍說:“走, 個不去不是人。”
마룡설 주 나개불거불시인
不走의 원문은 不去이다
[nge] ① 어느 (것) ② 누구 ③ 어떤
마룡이 말했다. “가자, 가지 못하면 사람이 아니다.”
拉着李六兒, 一直進了三河縣城。
라착이육아 일직진료삼하현성
이육아를 잡고 곧장 삼하현 성에 들어갔다.
方到衙門, 正遇見白馬李七侯。
방도아문 정우견백마이칠후
관아문에 도달해 바로 백마 이칠후를 만났다.
二人說:“七太爺, 這個就是差事。”
이인설 칠태야 저개취시차사
差事 [chishi] ① 파견되어 수행하는 일 ② 공무
두 사람이 말했다. “칠후 어르신, 이렇게 공무를 다하였습니다.”
李七侯說:“二位賢弟辛苦, 們先回禹王廟去, 把他交與我。”
이칠후설 이위현제신고 니문선회우왕묘거 파타교여아
給의 원문은 與이다
이칠후가 말했다. “두분 아우님, 고생하셨고, 당신은 먼저 우왕묘에 돌아가 그를 나에게 주시오.”
這時過來幾個當該値的說:“鎖上他。”
저시과래기개해치적설 쇄상타
這時는 원문에 없다.
該値의 원문은 當値[dng//zhi 당직하다] 이다.
이 때 몇 당직 사람이 지나가면서 말했다. “그에게 칼을 채우라.”
遂將李六帶至班房內。
수장이육대지반방내
班房 [bnfang] ① 관청의 급사·잡역부 등이 일하는 사무실 또는 대기실 ② 옛날 관청의 급사 ③ 감옥 ④ 교실
곧 이육을 반방안에 데리고 갔다.
李七侯進了衙門裏邊, 回明了老爺, 把靴子呈上。
이칠후진료아문리변 회명료노야 파화자정상
內宅의 원문은 裏邊이다.
回明 [huiming] ① (윗사람이나 상급자에게) 아뢰(어 설명하)다 ② 여쭈다
呈上 [chengshang] ① 드리다 ② 올리다 ③ 바치다
彭公吩咐升堂, 三班人役等喊過堂威, 帶上李六來。
팽공분부승당 삼반인역등함과당위 대상이육래
升堂 [shngtang] ① 관리가 관청에 나가다 ② 재판관이 출정(出廷)하여 안건을 심의하다 ③ 학문이나 기예가 높은 경지에 이르다
팽공은 안건을 심의하라고 분부하니 3반인역등은 재판정 위엄을 함성을 지르며 이육을 데리고 왔다.
彭公說:“把所作的事, 給我實招!”
팽공설 니파소작지사 급아실초
招 [shizho] 사실대로 고백하다
팽공이 말했다. “너는 한 일을 나에게 사실대로 자백하라!”
神拳李六說:“小人安善良民, 不知老爺爲何拿我?求老爺說明。”
신권이육설 소인안선양민 부지노야위하나아 구노야설명
신권 이육이 설명했다. “소인은 선량한 양민으로 어르신이 어찌 저를 잡아왔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르신의 설명을 구합니다.”
彭公說:“在裏住?”
팽공설 니재나리주
팽공이 말했다. “너는 어디 사는가?”
李六說:“小人住在張家莊, 今年二十七歲, 不敢作犯法之事。”
이육설 소인주재장가장 금년이십칠세 병불감작범법지사
이육이 말했다. “소인은 장가장에 살며 금년 27세로 감히 범법의 일을 한 적이 없습니다.”
正問着, 忽然那告狀的黃狗, 汪的一聲, 咬住了李六的腿, 死也不放。
정문착 홀연나고장적황구 왕적일성 교주료이육적퇴두 사야불방
腿(子) [tudu] 장딴지
바로 묻는데 갑자기 고소한 황색 개가 왕왕 하면서 짖고 이육의 장딴지를 물고 죽어도 놓지 않았다.
彭公早知其中情由, 說:“黃狗, 他犯國法, 自有王法治他, 不准咬的。”
팽공조지기중정유 설 황구 타범국법 자유왕법치타 부준교적
팽공이 조기에 그 이유를 알고 말했다. “황구야, 그는 국법을 범해 스스로 왕법으로 그를 다스릴 것이지 물지 말라.”
那黃狗聽說, 果然就不咬了。
나황구청설 과연취불교료
저 황구는 설명을 듣고 과연 물지 않았다.
彭公說:“武喜之妻被殺死, 還不從實招來!”
팽공설 무희지처피니살사 환부종실초래
팽공이 말했다. “무희의 처가 너에게 피살당하니 다시 실제 자백하지 않겠는가?”
李六說:“小人不知。”
이육설 소인부지
이육이 말했다. “소인은 모릅니다.”
彭公說:“旣不肯實招, 來人, 將他給我拉下去打!”
팽공설 니기불긍실초 래인 장타급아라하거타
팽공이 말했다. “네가 이미 실토를 하려고 하지 않으면, 이봐라, 그를 잡아 때려라!”
兩旁一喊堂威, 把李六打了一頓竹板, 只打得他皮開肉綻。
양방일함당위 파이육타료일돈죽판 지타득타피개육탄
皮肉 [pi ki rou zhan] 피부가 찢기고 터지다
양옆에서 한번 위엄의 소리를 지르고 이육을 대나무판으로 때리니 단지 맞아 그의 피부가 찢기고 터졌다.
李六說:“老爺不必打, 我實說就是了。”
이육설 노야불필타 아실설취시료
이육이 말했다. “어르신은 때릴 필요가 없고 제가 실제 다 말하겠습니다.”
彭公說:“從實招來!”
팽공설 니종실초래
팽공이 말했다. “너는 실토하거라!”
又吩咐帶武喜、張得力、張應登一同上堂。
우분부대무희 장득력 장응등 일동상당
또 무희, 장득력, 장응등 일동을 당에 오르라고 분부했다.
衙役人等答應, 不多時把三個人帶上堂來, 在一旁, 聽那李六從頭至尾一一招來。
아역인등답응 부다시파삼개인대상당래 궤재일방 청나이육종두지미일일초래
衙役 [yayi] ① 아역 ② 아속(衙屬) ③ 관아(官衙)에서 부리던 하인
관아하인들이 응답해 얼마되지 않아 3사람을 당에 올라오며 한쪽에 꿇어앉게하고 이육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일이 자백함을 들었다.
不知後事如何, 且看下回分解。
부지후사여하 차간하회분해
훗날일이 어떨지 모르니 아래 16회 부분의 해설을 들어보자.
팽공안, 중국 청나라 탐몽도인 저, 중국 제노서사 출판사, 페이지 30-39
馬龍聽罷, 說:“知道了。”
마룡청파 설 지도료
마룡이 다 듣고 말했다. “알겠다.”
正說着, 那李六拿着那隻靴子前來說:“比比准對。”
정설착 나이육나착나척화자전래설 니비비준대
比比 [bb] ① 반복하여 ② 어느 것이나 모두 ③ 끊임없이 ④ 곳곳에
바로 말하는데 이육이 한 개 신발을 가져와서 말했다. “당신이 반복해 대조해보십시오.”
那馬龍一, 果然是一對。
나마용일초 과연시일대
마룡이 한번 보니 과연 한쌍이었다.
飛燕子馬虎過來說:“別走, 我了無數東西, 們到三河縣衙門去說罷!”
비연자마호과래설 니별주라 아주료무수동서 찰문도삼하현아문거설파
(갈 주; -총6획; diu)
(나 찰; -총9획; zan,zan,za)
비연자 마호가 와서 말했다. “너는 달아나지 말고 내가 셀수 없는 물건을 잃었으니 우리들은 삼하현 관아에 가서 다 말해라!”
馬龍說:“走, 個不去不是人。”
마룡설 주 나개불거불시인
不走의 원문은 不去이다
[nge] ① 어느 (것) ② 누구 ③ 어떤
마룡이 말했다. “가자, 가지 못하면 사람이 아니다.”
拉着李六兒, 一直進了三河縣城。
라착이육아 일직진료삼하현성
이육아를 잡고 곧장 삼하현 성에 들어갔다.
方到衙門, 正遇見白馬李七侯。
방도아문 정우견백마이칠후
관아문에 도달해 바로 백마 이칠후를 만났다.
二人說:“七太爺, 這個就是差事。”
이인설 칠태야 저개취시차사
差事 [chishi] ① 파견되어 수행하는 일 ② 공무
두 사람이 말했다. “칠후 어르신, 이렇게 공무를 다하였습니다.”
李七侯說:“二位賢弟辛苦, 們先回禹王廟去, 把他交與我。”
이칠후설 이위현제신고 니문선회우왕묘거 파타교여아
給의 원문은 與이다
이칠후가 말했다. “두분 아우님, 고생하셨고, 당신은 먼저 우왕묘에 돌아가 그를 나에게 주시오.”
這時過來幾個當該値的說:“鎖上他。”
저시과래기개해치적설 쇄상타
這時는 원문에 없다.
該値의 원문은 當値[dng//zhi 당직하다] 이다.
이 때 몇 당직 사람이 지나가면서 말했다. “그에게 칼을 채우라.”
遂將李六帶至班房內。
수장이육대지반방내
班房 [bnfang] ① 관청의 급사·잡역부 등이 일하는 사무실 또는 대기실 ② 옛날 관청의 급사 ③ 감옥 ④ 교실
곧 이육을 반방안에 데리고 갔다.
李七侯進了衙門裏邊, 回明了老爺, 把靴子呈上。
이칠후진료아문리변 회명료노야 파화자정상
內宅의 원문은 裏邊이다.
回明 [huiming] ① (윗사람이나 상급자에게) 아뢰(어 설명하)다 ② 여쭈다
呈上 [chengshang] ① 드리다 ② 올리다 ③ 바치다
彭公吩咐升堂, 三班人役等喊過堂威, 帶上李六來。
팽공분부승당 삼반인역등함과당위 대상이육래
升堂 [shngtang] ① 관리가 관청에 나가다 ② 재판관이 출정(出廷)하여 안건을 심의하다 ③ 학문이나 기예가 높은 경지에 이르다
팽공은 안건을 심의하라고 분부하니 3반인역등은 재판정 위엄을 함성을 지르며 이육을 데리고 왔다.
彭公說:“把所作的事, 給我實招!”
팽공설 니파소작지사 급아실초
招 [shizho] 사실대로 고백하다
팽공이 말했다. “너는 한 일을 나에게 사실대로 자백하라!”
神拳李六說:“小人安善良民, 不知老爺爲何拿我?求老爺說明。”
신권이육설 소인안선양민 부지노야위하나아 구노야설명
신권 이육이 설명했다. “소인은 선량한 양민으로 어르신이 어찌 저를 잡아왔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르신의 설명을 구합니다.”
彭公說:“在裏住?”
팽공설 니재나리주
팽공이 말했다. “너는 어디 사는가?”
李六說:“小人住在張家莊, 今年二十七歲, 不敢作犯法之事。”
이육설 소인주재장가장 금년이십칠세 병불감작범법지사
이육이 말했다. “소인은 장가장에 살며 금년 27세로 감히 범법의 일을 한 적이 없습니다.”
正問着, 忽然那告狀的黃狗, 汪的一聲, 咬住了李六的腿, 死也不放。
정문착 홀연나고장적황구 왕적일성 교주료이육적퇴두 사야불방
腿(子) [tudu] 장딴지
바로 묻는데 갑자기 고소한 황색 개가 왕왕 하면서 짖고 이육의 장딴지를 물고 죽어도 놓지 않았다.
彭公早知其中情由, 說:“黃狗, 他犯國法, 自有王法治他, 不准咬的。”
팽공조지기중정유 설 황구 타범국법 자유왕법치타 부준교적
팽공이 조기에 그 이유를 알고 말했다. “황구야, 그는 국법을 범해 스스로 왕법으로 그를 다스릴 것이지 물지 말라.”
那黃狗聽說, 果然就不咬了。
나황구청설 과연취불교료
저 황구는 설명을 듣고 과연 물지 않았다.
彭公說:“武喜之妻被殺死, 還不從實招來!”
팽공설 무희지처피니살사 환부종실초래
팽공이 말했다. “무희의 처가 너에게 피살당하니 다시 실제 자백하지 않겠는가?”
李六說:“小人不知。”
이육설 소인부지
이육이 말했다. “소인은 모릅니다.”
彭公說:“旣不肯實招, 來人, 將他給我拉下去打!”
팽공설 니기불긍실초 래인 장타급아라하거타
팽공이 말했다. “네가 이미 실토를 하려고 하지 않으면, 이봐라, 그를 잡아 때려라!”
兩旁一喊堂威, 把李六打了一頓竹板, 只打得他皮開肉綻。
양방일함당위 파이육타료일돈죽판 지타득타피개육탄
皮肉 [pi ki rou zhan] 피부가 찢기고 터지다
양옆에서 한번 위엄의 소리를 지르고 이육을 대나무판으로 때리니 단지 맞아 그의 피부가 찢기고 터졌다.
李六說:“老爺不必打, 我實說就是了。”
이육설 노야불필타 아실설취시료
이육이 말했다. “어르신은 때릴 필요가 없고 제가 실제 다 말하겠습니다.”
彭公說:“從實招來!”
팽공설 니종실초래
팽공이 말했다. “너는 실토하거라!”
又吩咐帶武喜、張得力、張應登一同上堂。
우분부대무희 장득력 장응등 일동상당
또 무희, 장득력, 장응등 일동을 당에 오르라고 분부했다.
衙役人等答應, 不多時把三個人帶上堂來, 在一旁, 聽那李六從頭至尾一一招來。
아역인등답응 부다시파삼개인대상당래 궤재일방 청나이육종두지미일일초래
衙役 [yayi] ① 아역 ② 아속(衙屬) ③ 관아(官衙)에서 부리던 하인
관아하인들이 응답해 얼마되지 않아 3사람을 당에 올라오며 한쪽에 꿇어앉게하고 이육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일이 자백함을 들었다.
不知後事如何, 且看下回分解。
부지후사여하 차간하회분해
훗날일이 어떨지 모르니 아래 16회 부분의 해설을 들어보자.
팽공안, 중국 청나라 탐몽도인 저, 중국 제노서사 출판사, 페이지 30-39
추천자료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7회 8회 9회 한문 및 한글번역 64페이지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25회 26회 27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 청나라 역사소설 35회 3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청나라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64회 65회 6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 단어 해설 7...
청나라의 역사소설 청사통속연의 67회 68회 69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어 단어해석 72페이지
중국 채동번 역사소설 남북사통속연의 13회 14회 15회 한문 및 한글번역 70페이지
중국 청나라 법정 공안소설 팽공안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 청나라 법정 공안소설 팽공안 4회 5회 6회 한문 및 한글번역
중국 청나라 공안소설 팽공안 7회 8회 9회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