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추가 설립이다. 국립특수학교의 수가 적어도 공립학교와 합쳐져 사립학교의 수준만큼은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법의 제정 또한 필요하다. 내용은 어느 한 지역에서 (구 단위) 장애 아이들의 수가 일정한 수를 넘어가면 해당지역은 반드시 하나의 국립특수학교를 설립하여야 한다. 로 말이다. 거기에 용도변경은 상업, 농업, 주거용 등의 용지에 한하며, 학교용지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용지는 용도변경이 불가하다. 단 블록형 재개발의 경우 같은 면적의 다른 지역을 공공용지로 바꿀 경우 변경이 가능하다. 로 바꾼다면 물론 재개발과정에서 말은 많아지겠지만 사람들이 지금처럼 개인의 욕심을 부려가면서 개인의 이익만을 추구하지는 못할 것이다. 즉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필요한 법의 제정도 필요하다는 것이 필자의 의견이다.
또한 법에 의한 명확한 정의와 같이 가주어야 하는 것이 한 가지 더 있다. 이것은 우리 일반인들이 지켜줘야 하는 것이며, 만일 그것이 안 된다면 정부 정책에 반영을 해서라도 해야 하는 것 바로 교육이다. 지금 강서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님비현상은 황금만능주의가 만들어낸 폐해라고 봐도 무관하다.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이제 와서 잘못했다라고 하면서 다그쳐도 이들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가 나서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육 때부터 장애 학교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줄 필요가 있다. 지금 20대인 세대는 과거부터 장애학생은 일반인과 다른 것이 없다, 일반인은 예비 장애우일 뿐이다 등 여러 가지 홍보를 통해 장애우 들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노력을 해왔지만, 그 위의 부모인 기성세대에 해왔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때는 차별하고, 잡아가는 등 장애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했다. 이것을 교육을 통해 긍정적 인식으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제 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수립방안연구(김성희 외, 정책보고서, 보건복지부)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 (www.bokjiro.go.kr)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현황 (2016.02.26., 교육통계서비스) (http://kess.kedi.re.kr/mobile/stats/school?menuCd=0101&cd=1107&survSeq=2015&itemCode=01&menuId=m_010103_08_01010401&uppCd1=01010308&uppCd2=01010401&flag=A)
또한 법에 의한 명확한 정의와 같이 가주어야 하는 것이 한 가지 더 있다. 이것은 우리 일반인들이 지켜줘야 하는 것이며, 만일 그것이 안 된다면 정부 정책에 반영을 해서라도 해야 하는 것 바로 교육이다. 지금 강서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님비현상은 황금만능주의가 만들어낸 폐해라고 봐도 무관하다. 이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이제 와서 잘못했다라고 하면서 다그쳐도 이들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선 정부가 나서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육 때부터 장애 학교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줄 필요가 있다. 지금 20대인 세대는 과거부터 장애학생은 일반인과 다른 것이 없다, 일반인은 예비 장애우일 뿐이다 등 여러 가지 홍보를 통해 장애우 들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노력을 해왔지만, 그 위의 부모인 기성세대에 해왔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때는 차별하고, 잡아가는 등 장애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했다. 이것을 교육을 통해 긍정적 인식으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제 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2013~2017)수립방안연구(김성희 외, 정책보고서, 보건복지부)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 (www.bokjiro.go.kr)
우리나라의 특수교육 현황 (2016.02.26., 교육통계서비스) (http://kess.kedi.re.kr/mobile/stats/school?menuCd=0101&cd=1107&survSeq=2015&itemCode=01&menuId=m_010103_08_01010401&uppCd1=01010308&uppCd2=01010401&flag=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