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elf study
2. 약물
3. 간호정보수집양식
4. 진단검사
5. PBL 시나리오
6. 간호과정
7. 출처
2. 약물
3. 간호정보수집양식
4. 진단검사
5. PBL 시나리오
6. 간호과정
7. 출처
본문내용
3차례 투여를 하였으나 9/21 05:00, 18:00 2차례 투여로 투여횟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기목표 1은 달성되었다. 하지만 통증은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이라 이후에도 주기적인 monitor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치료적 지시 ]
[ 치료적 간호수행 ]
[ 단기 목표 2 ]
두 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 욕창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시트를 팽팽하게 당겨 주름이 없도록 한다.
→ 시트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마찰력을 줄이 기 위함이다.
필요 시 대상자의 옷과 이불을 교환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한다.
→ 욕창예방 위해 흡수성이 좋고 깨끗한 옷을 사용하여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함이 다.
로션을 이용한 손과 발 마사지를 한다.
→ 로션과 같은 보습제는 피부 윤활상태를 개 선하고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증진하여 욕 창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학생간호사는 보호자를 도와 대상자의 체위 변경하는 것을 도와주었다.
→ 9/19 09:00 대상자를 앙와위에서 우측위로 돌렸다.
11:2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앙와위로 돌리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9/20 13:0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상부를 30도가량 상승한 앙와위로
돌렸다.
→ 9/21 10:0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좌측위로 돌렸다.
14:0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앙와위로 돌렸다.
9/19~9/21 학생간호사는 보호자를 도와 체위변경시마다 시트를
팽팽하게 당겨 정리를 하였다.
학생간호사는 옷을 교환하기위해 나온 보호자에게 환의를 제공하였다.
→ 9/19 09:00 발한으로 옷이 축축한 대상자에게 환의를 제공하였다.
→ 9/20 14:00 등 쪽이 축축하게 젖어있어 환의를 제공하였다.
→ 9/21 보호자는 환의를 교환할 의사를 표현하지 않아 제공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보호자가 로션을 이용해 대상자의 손과 발 마사지를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9/19 10:00 보호자가 로션을 바르며 발 마사지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9/20 08:40 보호자가 로션을 바르며 발 마사지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9/21 투약시간 중 보호자가 이미 로션을 발랐다고 하여 관찰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식사량이 2/3이상으로 늘어난다.
→ 9/19~9/20 대상자는 아침식사 시 2/3가량 밥을 남겼고, 점심식사 시 1/2가량 밥을 남겼으나 9/21 아침식사 시 1/2가량 식사를 남겼고 점심은 1/3가량 식사를 남겼다. 따라서 식사량이 점심식사 시 2/3섭취한 것이 관찰되어 단기 목표2는 부분적으로 달성하였다. 게다가 아침과 점심식간에 포도 한 송이와 대추 3알을 섭취한 것을 관찰하여 섭취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점차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교육적 지시]
[교육적 간호수행]
[장기 목표]
보호자에게 환자의 피부를 마른 수건으로
닦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 피부가 축축한 것은 욕창을 유발하는 원인 이기 때문이다.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옮기거나 체위변경시 끌지 말고 들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를 끌게 되면 마찰력으로 인해 피부 손상이 생길수 있기 때문이다.
뼈 돌출부위에 패드를 대도록 교육한다.
→ 뼈 돌출부위는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부위이기 때문이다.
상지를 30도 이상 들지 않도록 교육한다.
→ 엇밀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시 대상자의 환의와 피부를 관찰 후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9/19 09:00 대상자의 등 부위를 사정하여 축축한 것을 관찰 후 마른수건
이나 손수건으로 대상자의 피부를 두드리며 닦도록 교육하였다.
→ 9/20 13:50 대상자의 피부를 사정 후 피부간호의 필요성을 교육하였다.
→ 9/21 9/19~9/20일날 교육하여 재교육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을 도와주면서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9/19 09:00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을 도와주면서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9/20~9/21 9/19일날 교육을 시행하였으므로 재교육은 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보호자에게 필요시 패드를 대도록 교육하였다.
→ 9/19 학생간호사는 보호자에게 뼈 돌출부위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패드를 대도록 교육하였다.
→ 9/20~9/21 9/19일날 교육을 시행하였으므로 재교육은 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시 보호자에게 30도이상 상지를 거상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9/19 관련된 교육을 하지 않았다.
→ 9/20 13:00 상지를 30도로 거상한 앙와위로 체위변경시 교육하였다.
→ 9/21 9/20일날 교육하여 재교육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스스로 체위변경을 할 수 있다.
→ 대상자는 여전히 행동반경은
침상에서 확대되지 않았고 상체는 스스로 움직이나 수술부위의 통증으로 하지를 움직이지 못하여 여전히 보호자 및 간병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게다가 간호과정을 3일 밖에 적용하지 못하여 장기목표의 달성여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pain control 및 수술 후 관리를 하여 스스로 체위변경 할 수 있는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출처
- 김금순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Ⅱ』, 여덟째판, 수문사, p.1083~1100
- 송경애 외 공저(2014). 『기본간호학 (상)』, 수문사, p.185~202
- 송경애 외 공저(2014).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p.53~69
- 송경애 외 공저(2016).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p.406~411
- 범진필(2009). 『임상약리학』, 개정4판, 청구문화사, p.109~112 p120~121
- Mary Ann Hogan 외 공저(2009). 『간호약리학』,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지구문화사, p.282~284 p.398~403
- 드러그 인포 (drug info), https://www.druginfo.co.kr, (2017.09.23.)
- 박용욱(2012). 관절염의 검사실 소견, 대한내과학회지, 제 83 권 제 2 호, p.174~175
- 아이 세브란스 (I세브란스), http://m.iseverance.com, (2017.09.23.)
[ 치료적 지시 ]
[ 치료적 간호수행 ]
[ 단기 목표 2 ]
두 시간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 욕창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시트를 팽팽하게 당겨 주름이 없도록 한다.
→ 시트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마찰력을 줄이 기 위함이다.
필요 시 대상자의 옷과 이불을 교환하여 청결상태를 유지한다.
→ 욕창예방 위해 흡수성이 좋고 깨끗한 옷을 사용하여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함이 다.
로션을 이용한 손과 발 마사지를 한다.
→ 로션과 같은 보습제는 피부 윤활상태를 개 선하고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증진하여 욕 창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학생간호사는 보호자를 도와 대상자의 체위 변경하는 것을 도와주었다.
→ 9/19 09:00 대상자를 앙와위에서 우측위로 돌렸다.
11:2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앙와위로 돌리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9/20 13:0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상부를 30도가량 상승한 앙와위로
돌렸다.
→ 9/21 10:0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좌측위로 돌렸다.
14:00 대상자를 우측위에서 앙와위로 돌렸다.
9/19~9/21 학생간호사는 보호자를 도와 체위변경시마다 시트를
팽팽하게 당겨 정리를 하였다.
학생간호사는 옷을 교환하기위해 나온 보호자에게 환의를 제공하였다.
→ 9/19 09:00 발한으로 옷이 축축한 대상자에게 환의를 제공하였다.
→ 9/20 14:00 등 쪽이 축축하게 젖어있어 환의를 제공하였다.
→ 9/21 보호자는 환의를 교환할 의사를 표현하지 않아 제공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보호자가 로션을 이용해 대상자의 손과 발 마사지를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9/19 10:00 보호자가 로션을 바르며 발 마사지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9/20 08:40 보호자가 로션을 바르며 발 마사지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 9/21 투약시간 중 보호자가 이미 로션을 발랐다고 하여 관찰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식사량이 2/3이상으로 늘어난다.
→ 9/19~9/20 대상자는 아침식사 시 2/3가량 밥을 남겼고, 점심식사 시 1/2가량 밥을 남겼으나 9/21 아침식사 시 1/2가량 식사를 남겼고 점심은 1/3가량 식사를 남겼다. 따라서 식사량이 점심식사 시 2/3섭취한 것이 관찰되어 단기 목표2는 부분적으로 달성하였다. 게다가 아침과 점심식간에 포도 한 송이와 대추 3알을 섭취한 것을 관찰하여 섭취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점차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교육적 지시]
[교육적 간호수행]
[장기 목표]
보호자에게 환자의 피부를 마른 수건으로
닦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 피부가 축축한 것은 욕창을 유발하는 원인 이기 때문이다.
보호자에게 대상자를 옮기거나 체위변경시 끌지 말고 들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를 끌게 되면 마찰력으로 인해 피부 손상이 생길수 있기 때문이다.
뼈 돌출부위에 패드를 대도록 교육한다.
→ 뼈 돌출부위는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부위이기 때문이다.
상지를 30도 이상 들지 않도록 교육한다.
→ 엇밀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시 대상자의 환의와 피부를 관찰 후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9/19 09:00 대상자의 등 부위를 사정하여 축축한 것을 관찰 후 마른수건
이나 손수건으로 대상자의 피부를 두드리며 닦도록 교육하였다.
→ 9/20 13:50 대상자의 피부를 사정 후 피부간호의 필요성을 교육하였다.
→ 9/21 9/19~9/20일날 교육하여 재교육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을 도와주면서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9/19 09:00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을 도와주면서 보호자에게 교육하였다.
→ 9/20~9/21 9/19일날 교육을 시행하였으므로 재교육은 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보호자에게 필요시 패드를 대도록 교육하였다.
→ 9/19 학생간호사는 보호자에게 뼈 돌출부위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패드를 대도록 교육하였다.
→ 9/20~9/21 9/19일날 교육을 시행하였으므로 재교육은 하지 않았다.
학생간호사는 체위변경시 보호자에게 30도이상 상지를 거상하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9/19 관련된 교육을 하지 않았다.
→ 9/20 13:00 상지를 30도로 거상한 앙와위로 체위변경시 교육하였다.
→ 9/21 9/20일날 교육하여 재교육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스스로 체위변경을 할 수 있다.
→ 대상자는 여전히 행동반경은
침상에서 확대되지 않았고 상체는 스스로 움직이나 수술부위의 통증으로 하지를 움직이지 못하여 여전히 보호자 및 간병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게다가 간호과정을 3일 밖에 적용하지 못하여 장기목표의 달성여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pain control 및 수술 후 관리를 하여 스스로 체위변경 할 수 있는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출처
- 김금순 외 공저(2016). 『성인간호학 Ⅱ』, 여덟째판, 수문사, p.1083~1100
- 송경애 외 공저(2014). 『기본간호학 (상)』, 수문사, p.185~202
- 송경애 외 공저(2014). 『기본간호학 (하)』, 수문사, p.53~69
- 송경애 외 공저(2016).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p.406~411
- 범진필(2009). 『임상약리학』, 개정4판, 청구문화사, p.109~112 p120~121
- Mary Ann Hogan 외 공저(2009). 『간호약리학』,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지구문화사, p.282~284 p.398~403
- 드러그 인포 (drug info), https://www.druginfo.co.kr, (2017.09.23.)
- 박용욱(2012). 관절염의 검사실 소견, 대한내과학회지, 제 83 권 제 2 호, p.174~175
- 아이 세브란스 (I세브란스), http://m.iseverance.com, (2017.09.2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