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 한다. 법무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국적은 195개국에 이른다. 다양한 인종·언어·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한 사회에서 조화롭게 살아간다는 개념의 ‘모자이크(mosaic) 코리아’인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자리를 잡는 등 질적인 변화도 나타나고 있는데, 결혼 이민자가 외국인 노동자와 재혼, 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사람끼리 ‘한국인’ 가정을 꾸리기도 한다. 수천 명씩 모이는 국가별 공동체의 활동도 활발한데, 초기의 친목 도모 수준을 넘어서 자신들의 권리 신장을 꾀하는 정식 커뮤니티도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을 보면서 우리는 앞으로 다인종다문화에 대한 꾸준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 할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3월 21일에 제정되고 9월부터 시행을 앞둔 「다문화가족지원법」제 5조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편견을 예방하고 사회구성원이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다문화 이해교육과 홍보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과 믿음이 생긴다. 또한 이제 다음 단계를 준비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합법적으로 한국시민이 된 외국출신 여성들을, 다문화 가족에서 태어난 자녀들을, 또 하나의 한국인이 아닌 그냥 똑같은 한국인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을까? 혹시 ‘한국말도 못하면서 무슨 한국 사람이야, 피부색과 생김이 다른데 무슨 한국 사람이야’라는 생각을 갖거나, 나와 같은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는 것, 다문화 가족의 자녀가 내 자녀와 친구가 되거나 데이트 상대가 되는 것에 대해서는 미묘한 반감을 가지는 것은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러한 정서적 반감은 다문화 정책이나 규제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사회구성원이 다양성을 인정하고 더불어 계속 살아가는 이웃임을 받아들여야 한다. 의무적이 아닌 자발적인 포용과 인정이 필요한 것이다. 그것은 정책이 아닌 사람의 몫이다. 너와 나 그리고 우리 모두 이웃이 되고 친구가 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우리의 이웃들이, 다문화 가정의 친구들이 모두 미래의 ’하인즈 워드‘가 될 잠재성을 갖고 있다. 성공한 하인즈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 우리들의 꿈나무 하인즈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보면서 우리는 앞으로 다인종다문화에 대한 꾸준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 할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3월 21일에 제정되고 9월부터 시행을 앞둔 「다문화가족지원법」제 5조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편견을 예방하고 사회구성원이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다문화 이해교육과 홍보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과 믿음이 생긴다. 또한 이제 다음 단계를 준비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합법적으로 한국시민이 된 외국출신 여성들을, 다문화 가족에서 태어난 자녀들을, 또 하나의 한국인이 아닌 그냥 똑같은 한국인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을까? 혹시 ‘한국말도 못하면서 무슨 한국 사람이야, 피부색과 생김이 다른데 무슨 한국 사람이야’라는 생각을 갖거나, 나와 같은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는 것, 다문화 가족의 자녀가 내 자녀와 친구가 되거나 데이트 상대가 되는 것에 대해서는 미묘한 반감을 가지는 것은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이러한 정서적 반감은 다문화 정책이나 규제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모든 사회구성원이 다양성을 인정하고 더불어 계속 살아가는 이웃임을 받아들여야 한다. 의무적이 아닌 자발적인 포용과 인정이 필요한 것이다. 그것은 정책이 아닌 사람의 몫이다. 너와 나 그리고 우리 모두 이웃이 되고 친구가 되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우리의 이웃들이, 다문화 가정의 친구들이 모두 미래의 ’하인즈 워드‘가 될 잠재성을 갖고 있다. 성공한 하인즈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 우리들의 꿈나무 하인즈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을 갖고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서평-`지구화, 현실인가 또 하나의 신화인가`를 읽고
문정화 외의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책 정리에 관한 보고서
미래 사회를 보는 또하나의 시각 - GHOST IN THE SHELL
‘또 하나의 삼국지’를 읽고(조조에 대한 평가 바로잡기)
또 하나의 약속 영화감상문
또 하나의 약속 영화감상문 : 영화감상문 또 하나의 약속, 또 하나의 약속을 보고
또 하나의 약속 영화감상문 : 영화 또 하나의 약속
또 하나의 약속 영화감상문(우수영화감상문) : 우수영화 또 하나의 약속
또 하나의 약속 영화감상문(우수 영화) : 영화감상문(또 하나의 약속)
또 하나의 약속 영화감상문 : 영화 또 하나의 약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