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I. 에릭슨의 생애

II. 이론의 특성

III. 성격발달단계
1. 제1단계 : 근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2. 제2단계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
3. 제3단계 : 주도성 대 죄책감
4. 제4단계 : 근면성 대 열등감
5. 제5단계 : 자아정체성 대 정체성 혼란
6. 제6단계 : 친밀성 대 고립감
7. 제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
8. 제8단계 : 통합성 대 절망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를 발전시키려 면 자신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인 자아정체성 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자아정체성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형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면 공허감이나 무력감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상태에 빠져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고립되는 삶을 살 가능성이 많다.
7. 제7단계 : 생산성 대 침체성
이 단계는 중년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중년기에 성취해야 할 과업은 생산성이다. 이 시기의 성인들은 자신의 세대를 넘어 다음 세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 것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것을 생산성이라고 하는데 이 생산성은 인류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일로, 자녀를 낳아 기르고 양육하는 부모역할 생산성과 자신이 지닌 기술과 능력을 과업을 통해서 다음 세대에 전수하는 과업생산성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시기에 형성해야 할 이러한 생산성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신에게 몰두하여 이기적인 삶을 살게 되고 타인과의 관계도 황폐하게 되어 결국 삶의 전반에 걸쳐 침체감을 느끼게 된다.
8. 제8단계 : 통합성 대 절망감
이 단계는 노년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노년기에 성취해야 할 과업은 자아통합이다. 자아통합이란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삶을 회고하면서 과거에 겪었던 갈등, 실패, 실망, 욕망 등 부정적인 부분을 자신이 이루어낸 성공, 기쁨, 보람 등 긍정적인 부분과 함께 자신의 전체의 삶에 포함시키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전체적으로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것이다. 자기인생에 대한 이러한 자아통합이 이루어져야 남은 생애를 보다 행복하게 보낼 수 있으며 죽음도 두려움과 미련 없이 맞이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삶과 자신을 수용하는 자아통합이 어렵게 진행되는 경우, 자신의 과거 삶에 대한 회의, 미래와 사후에 대한 불안 등으로 인해 절망감에 빠지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 김보기/김인기 저, 양서원, 2017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Shepard 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강봉규 저, 태영출판사, 2015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0.25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67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