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발달특성] 유아기 신체발달 인지발달 심리사회적 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기 발달특성] 유아기 신체발달 인지발달 심리사회적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아기 발달

I. 신체적 발달

II. 인지적 발달

III. 심리사회적 발달
1. 정서적 분화
2. 사회적 애착확립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있어서 감정은 유아와 엄마 사이의 대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두려움, 홍분, 즐거움, 분노 그 이외의 다른 감정들이 유아와 그의 환경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부분이 된다. 태어난 후 처음 2년 동안 성인에게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정서가 나타난다.
영아의 정서는 출생 시 성숙하며 학습경험을 통해 점차 분화되며, 2개월경 불쾌감과 즐거움을 나타내고 3개월경 분노를 나타낼 수 있으며, 6개월이 지나면 공포감을 보이고 분노의 표현력이 더 높아진다. 12개월 이후 의기양양해지면서 애정표현도 하고 18개월이 지나면 애정행각을 하고 질투까지 느끼게 되고 부정적인 정서를 숨길 수 있게 된다. 19개월경에는 환희의 감정이 나타난다.
- Bridges - 정서표현의 발달
* 1차 정서 - 행복, 분노, 놀람, 공포, 혐오, 슬픔, 기뿐 등
* 2차 정서 - 당황, 수치, 죄책감, 질투, 자긍심 등을 포함
(2) 사회적 애착확립
출생 후 18개월 동안 유아가 부모나 그 외 다른 보호자에게 애착을 발달시키는 것은 신체적 성장이나 자아발달 그리고 안녕감을 위해 필수적이다. 애착은 영아와 양육자 사이에 형성되는 애정적 유대관계이며 애정이나 사랑과 같은 긍정적 정서의 의미를 지닌다. 보통 유아는 일차적 양육자인 어머니와 애착을 형성하는데 그 사람과 있을 때 기쁨을 느끼고 불안한 상황에서는 그의 존재로 인해 위안을 받는다. Ainsworth는 어머니와 기본적인 애착은 생후 7개월경에 형성되며 애착형성을 위한 민감기는 생후 1.5개월에서부터 2년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하였다.
2세 이후 애착형성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대단히 어렵다고 한다. 또한 Bowlby는 그의 애착이론에서 아기에게는 안전에 대한 기반으로서 애착에 대한 본능적 욕구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이해를 위한 심리학 - 김보기/김인기 저, 양서원, 2017
전생애 발달심리학 - 장휘숙 저, 박영사, 2013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Shepard 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발달심리학 - Santrock 저, 이지연/임춘희 옮김, 교육과학사, 2016
의사소통의 실제 - 임숙빈/김덕희 외 3명 저, 현문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강봉규 저, 태영출판사, 2015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0.26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6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