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를 예상하여 교전권을 버리는 것은 거의 실현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교전권은 경제와는 다르다. 경제 생활 방식을 바꾼다고 하여 당장 국민들의 목숨이 위태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교전권의 방기는 결국 국민들에게 그들이 위태로운 처지에 있다는 생각이나 패닉 상태에 빠지게 할 뿐이다. 일본 또한 그것을 현실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헌법 제 9조에 대한 딜레마에 빠졌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고 가져야 할 생각은 무엇인가 라고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완벽한 이론이 아닌 모티브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우리는 지금보다 덜 쓰고 덜 싸우고 남에게 덜 종속당하고 싶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을 바꾸는 것 또한 싫다. 왜냐하면 그에 따른 리스크를 우리 현대인은 싫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가급적 위험부담을 줄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한 측면에서도 새로운 상식을 통한 개혁은 신중하면서도 빠르게 혹은 적극적이면서도 느리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단 위의 이유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성급한 개혁은 기득권층(현재의 미국 지도부와 전 세계의 부호들, 대자본가들)의 반대에 부딪혀 항상 고난을 겪어왔다는 역사적 사실에서도 그 근거를 찾아야 할 것이다. 또 한 가지, 만약 우리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가게 될 여러 방법 등의 여러 가지를 논의하게 된다면 그것은 국가가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해야 한다. 이 상식의 싸움에 관하여 국가는 이미 중립적인 위치를 잃었다고 생각한다. 생각해보아야 할 사람은 우리이며 실천하고 움직이고 반응해야 할 집단도 바로 우리이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고 가져야 할 생각은 무엇인가 라고 물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완벽한 이론이 아닌 모티브를 제공하였다고 본다. 우리는 지금보다 덜 쓰고 덜 싸우고 남에게 덜 종속당하고 싶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을 바꾸는 것 또한 싫다. 왜냐하면 그에 따른 리스크를 우리 현대인은 싫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가급적 위험부담을 줄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한 측면에서도 새로운 상식을 통한 개혁은 신중하면서도 빠르게 혹은 적극적이면서도 느리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단 위의 이유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성급한 개혁은 기득권층(현재의 미국 지도부와 전 세계의 부호들, 대자본가들)의 반대에 부딪혀 항상 고난을 겪어왔다는 역사적 사실에서도 그 근거를 찾아야 할 것이다. 또 한 가지, 만약 우리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가게 될 여러 방법 등의 여러 가지를 논의하게 된다면 그것은 국가가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가 해야 한다. 이 상식의 싸움에 관하여 국가는 이미 중립적인 위치를 잃었다고 생각한다. 생각해보아야 할 사람은 우리이며 실천하고 움직이고 반응해야 할 집단도 바로 우리이다.
추천자료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더글러스 러미스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독서감상문]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를 읽고
[감상문]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독서감상문]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독서감상문]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독후감상문]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C 더글러스 러미스 김종철 ...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독서보고서
[독후감상문]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