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성감쇠비(기계공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점성감쇠비(기계공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ntilever beam)
3. 실험결과
아크릴 외팔보의 감쇠비를 Half-power points를 이용하여 구하고, 대
수감쇠율로 구한 값과 비교하라.
① Half-power points
사진1
물체의 고유 진동수
사진2
(좌측) 고유진동수 2.7 dB의 값,
필요한 고유진동수는 3dB 값이므로 선형보간법을 이용하면
사진3
-3-
(우측) 고유진동수 3.8 dB의 값,
필요한 고유진동수는 3dB 값이므로 선형보간법을 이용하면
의 식을 이용해 ζ를 구해보면
②오실로스코프로 진폭을 측정한 후 구한 감쇠비
저번시간에 실험했던 값을 이용해보면
평균 감쇠비()는 0.059값이 나왔다.
따라서 38.98%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Time signal-4-
사진4
사진5
두 사진을 통해 를 구해보면 0.235가 나온다.
을 통해 를 구해보면 0.037이 나온다.
Half-power points에서 구한 감쇠비값과 0.001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4. 토의
이번 실험은 Half-power points와 점성감쇠비 실험을 했다. 장비는 주파수 분석기 (FFT Analyzer)를 이용하였다. 첫 실험에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해 감쇠비를 구해보았고 이번에 주파수 분석기로 감쇠비를 구해 값을 비교해보았다. 사진1,2,3은 Half-power points 의 이론을 적용해 감쇠비를 구해보았다. 파워(dB)가 “반”이 되는 값은 기준 값 dB에서 3dB을 더한값이된다. 좌측은 2.7dB, 우측은 3.8dB의 값만큼 갔기 때문에 3dB을 만들어주기위해 선형보간법을 이용했다. 식은 math cad를 이용해 밑에 계산식에 적어두었다. 정확하게 3dB만큼 갔으면 좋았을 텐데 주파수간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정확하게 찍지는 못한 것 같다. 보간법으로 구해보니 대역폭 ()은 각각 8.972Hz, 9.645Hz가 나왔다. 의 식을 통해 는 0.036이 나왔다. 저번 실험에 오실로스코프에서 는 평균 0.059값이 나와 두 개는 38.98%의 오차를 보였다. 오차가 크지는 않아서 실험은 잘된 것 같았다. 두 번째로는 Time signal에서 감쇠비를 구해보았다. 의 식을 통해 는 0.037이 나왔다. 원래는 Half-power points로 나온 감쇠비와 같아야 되는데 다른 이유는 Half-power points에서 보간법을 이용해 3dB를 맞췄기 때문에 0.001차이가 났다고 생각한다. 교수님께서 하신말씀이 생각난다. 사진 1,2,3에 폭이 넓은 이유는 밑에 경향을 더 자세히 보고 싶어서 폭이 넓은 것이라 말씀하셨다.
이번실험을 통해 감쇠비를 측정하는 또 하나의 방법을 배워보았고 회사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는 장비를 만지게 되어 나중에 사회에 나가서 감쇠비를 구할 기회가 있으면 그때는 좀 더 만지기 수월할 것이라 생각한다. 새로운 것을 배운 만족한 실험이었다.-5-
5. 계산식
▶Half-power points-6-
-7-
▶오실로스코프로 구한 감쇠비
▶오실로스코프로 구한 감쇠비와 Half-power points로 구한 감쇠비의 오차
▶Time signal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07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9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