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생 큰 아들인 정철상(丁哲祥, 가를로)도 4월 2일(음) 같은 장소에서 참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의 부인 유 세실리아와 작은 아들 정하상(丁夏祥, 바오로), 그리고 딸 정정혜(丁情惠, 엘리사벳)은 신유박해는 모면하였으나, 1839년 기해박해 때에 체포되어 모두 순교했다.
<정약용과 정약종 누구를 더 잘 아는가?>
이 책은 주로 정약용에게 대한 이야기가 주류로 다루며, 그에 비해 정약용의 셋째 형 정약종에 관해서는 아주 작은 지면만 할애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 교계에서도 순교자 정약종보다 배교자 정약용을 더 위대한 천주교인으로 내세우고 있다. 우리 역사에서 정약용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정약종에 비해 훨씬 더 크기 때문이다. 순교자 정약종의 신앙심보다 배교자 정약용의 세속적 명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 주님도 우리를 그렇게 평가하실까?
이 땅에서의 평가처럼 하나님 나라에서도 정약용은 유명인으로 성공한 사람으로 정약종은 비참하게 죽은 어리석은 사람일까?
이 책의 저자인 이덕일씨는 이렇게 비판하고 있다. “가톨릭교회가 중시하는 것은 죽기까지 지키려 했던 하나님에 대한 신앙심인가, 아니면 세상을 위해 버린 사람의 세속적 명성인가?”
<정약용과 정약종 누구를 더 잘 아는가?>
이 책은 주로 정약용에게 대한 이야기가 주류로 다루며, 그에 비해 정약용의 셋째 형 정약종에 관해서는 아주 작은 지면만 할애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 교계에서도 순교자 정약종보다 배교자 정약용을 더 위대한 천주교인으로 내세우고 있다. 우리 역사에서 정약용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정약종에 비해 훨씬 더 크기 때문이다. 순교자 정약종의 신앙심보다 배교자 정약용의 세속적 명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 주님도 우리를 그렇게 평가하실까?
이 땅에서의 평가처럼 하나님 나라에서도 정약용은 유명인으로 성공한 사람으로 정약종은 비참하게 죽은 어리석은 사람일까?
이 책의 저자인 이덕일씨는 이렇게 비판하고 있다. “가톨릭교회가 중시하는 것은 죽기까지 지키려 했던 하나님에 대한 신앙심인가, 아니면 세상을 위해 버린 사람의 세속적 명성인가?”
추천자료
다산 정약용의 삶과 그의 사상(- 마현마을 정약용 생가를 다녀와서 -)
정약용의 시대배경에 관해 알아보는 그의 사상관계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을 읽고
[정약용] 실학자 정약용의 삶과 그의 업적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생애와 그의 시문학
강간 및 패륜에 대한 조선시대의 형률과 정약용의 저서와 각종 사례를 통해 그의 강간과 패륜...
★★평가우수자료★★[가족치료 적용] TV 드라마 속 이복형제들의 가족 문제와 그 해결 방안 탐색...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생애와...
시대의 개혁가 다산 정약용 - 그의 교육사상 분석 - 오학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