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정약전(丁若銓) 1758(영조34)∼1816(순조16) 23세
2. 정약전의 자산어보
3. 현대어로 복원된 정약전의 ‘생물도감’
4. 한국 최고(最古)의 어류학서(魚類學書).
5. 정약전의 ‘자산어보’ 진본 미스터리
참고문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생각도 드는 데 관련 유적이 좀 남아 있는지?
흑산도 사리마을 유적지에 정약전 선생이 살았다는 복성재 서당이 복원되어 있고, 예리마을 선착장 인근에는 정약전 선생을 기념하기 위한 자산문화도서관이 건립되어 있습니다. 흑산도는 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 가운데 우리에게 쉽게 우리바다에 대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손암(巽庵) 정약전(丁若銓, 1758~1816년) 선생이 1814년에 쓴 『자산어보(玆山魚譜)』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종합적인 최고의 해양과학서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약전의 아들 학초가 사망했다.
그 소식을 듣고 <형의 아들 학초 묘지명>을 썼다. 『상례사전』50권을 완성했다.
-1808년(순조 8), 47세
봄에 강진 도암면 만덕리 다산의 산 밑에 있는 윤단의 산정으로 옮겨『다산문답』1권을 지었다. 겨울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약전은 장기와 신지도로 유배. 10월 황사영 백서사건으로 다시 국문을 받고 정약용은 강진으로, 정약전은 흑산도로 유배.
1803년 《주역》을 연구함.
1816년 6월 둘째 형 정약전이 유배히 흑산도에서 사망.
1818년 《목민심서》저술. 8월 유배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