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싶다는 생각도 드는 데 관련 유적이 좀 남아 있는지?
흑산도 사리마을 유적지에 정약전 선생이 살았다는 복성재 서당이 복원되어 있고, 예리마을 선착장 인근에는 정약전 선생을 기념하기 위한 자산문화도서관이 건립되어 있습니다. 흑산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확인한 것은 2002년 서울대 근처의 고서점 주인이자 재야 고문서 연구가인 송부종씨가 정약전의 또 다른 간찰(사진2)을 발견하면서다. 진옹이 보기엔 자산어보를 쓴 인물과 절대 다른 사람의 필체일 수 없는 글씨였다. 송씨는 “진씨가 찾아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전 가운데 우리에게 쉽게 우리바다에 대한 이야기를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손암(巽庵) 정약전(丁若銓, 1758~1816년) 선생이 1814년에 쓴 『자산어보(玆山魚譜)』이다. 이 책은 현존하는 종합적인 최고의 해양과학서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산어보-정약전
60. 1
61. 3
62. 1
63. 안정복
64. 3
65. 3
66. 3
67. 이제마
68. 대동여지도
69. 3
70. 1
71. 김정희
72. 1
73. 4 * 삼국시대→고조선
74. 1
75. 5
76. 1
77. 4 * 김정호→김정희
78. 3
79. 4
80. 4
81. 5
82. 2
83. 2
84. 중상학파
85. 1
86. 1 * ㄱ: 거중기 ㄴ: 대동여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산어보-정약전
60. 1
61. 3
62. 1
63. 안정복
64. 3
65. 3
66. 3
67. 이제마
68. 대동여지도
69. 3
70. 1
71. 김정희
72. 1
73. 4 * 삼국시대→고조선
74. 1
75. 5
76. 1
77. 4 * 김정호→김정희
78. 3
79. 4
80. 4
81. 5
82. 2
83. 2
84. 중상학파
85. 1
86. 1 * ㄱ: 거중기 ㄴ: 대동여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