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절 사례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퇴골절 사례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elf study


2. 간호정보수집양식


3. 약물


4. 진단검사


5. PBL 시나리오


6. 간호진단


7. 출처

본문내용

~11/22 눌렀다 떼었을 시 1~2초 이내로 돌아왔다.
학생간호사는 우측 다리의 상승여부를 확인하였다.
→ 11/20 대상자가 우측다리를 아직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11/21 대상자가 우측다리를 5도가량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11/22 대상자가 통증으로 인하여 극심한 거부를 하여서 확인하지 못함.
학생간호사는 활력징후 측정 시 슬와동맥, 족배동맥을 촉지하여 맥박의 유무를 사정하였다.
→ 11/20~11/22 촉지 시 맥박이 확인되었다.
학생간호사는 우측 다리 말초부위를 만졌을 때 대상자에게 감각이 있는지 확인하였고, 온도변화를 확인하였다.
→ 11/20~11/22 촉지 시 대상자는 감각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온도는 늘 동일하였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우측다리 ROM시 30도 이상 다리를 들 수 있다.
→ 11/20 대상자는 14:00, 21:00 총 2차례 진통제 투여를 하였고 11/21 03:00, 11:00에 여전히 2차례 투여를 하였으나 11/22 16:00 1차례 투여로 투여횟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기목표 1은 달성되었다. 하지만 통증의 빈도와 정도는 증가할 경향이 있기에 이후에도 주기적인 observation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치료적 지시 ]
[ 치료적 간호수행 ]
[ 단기 목표 2 ]
신체선열을 유지하기위해 대전자 두루마리를 적용한다.
→ 장시간 침상에서의 부동과 관련해 대퇴부의
외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로션을 이용한 손과 발 마사지를 한다.
→ 로션과 같은 보습제는 피부 윤활상태를 개 선하고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증진하여 욕 창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수술부위의 통증과 관련해 스스로의
움직임이 불편한 상태이므로 통증을 경감시켜 ROM의 진전과 수술경과를 진전하기 위함임.
대상자의 체위변경을 간병사와 함께 도와준다.
학생간호사는 대전자 두루마리 대신 베개 두 겹을 사이드레일과 대퇴부 사이에 놓고 적용하고 있는 대상자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 11/20~11/22 대상자는 대전자 두루마리를 대신하여 베개 두 겹을 양쪽 대퇴부근에 적용하고 있었다.
학생간호사는 간병사가 로션을 이용해 대상자의 손과 발 마사지를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간병사는 학생간호사에게 수술 일(=11/17) 이후부터 주치의의 지시 하에 로션으로 하루아침 저녁으로 2회 로션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손과 발부위를 압박하고 부드럽게 마사지 해주고 있다고 말하였다.
학생간호사는 11/20 14:00, 21:00, 11/21 03:00, 11:00, 11/22 16:00 EMR상 prn 처방된 진통제 투여를 확인하였다.
→ 11/20 학생간호사는 14:00 간호사가 3-way로 진통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21:00 EMR상 prn 처방된 진통제 투여를 확인하였다.
→ 11/21 학생간호사는 03:00, 11:00 EMR상 prn 처방된 진통제 투여를
확인하였다.
→ 11/22 학생간호사는 16:00 EMR상 prn 처방된 진통제 투여를 확인하였다.
학생간호사는 아직 힘들어하는 대상자에게 간병사와 함께 도와 최소환의 체위변경을 시켜주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스스로 체위변경을 하는 횟수가 증가할 것이다.
→ 11/22 Hb 10.5, Hct 30.2, RBC 3.20 확인 되었다. 따라서 단기목표2번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이후 수혈하면서 지속적인 CBC F/u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교육적 지시]
[교육적 간호수행]
[장기 목표]
등척성 운동을 교육한다.
→ 장기간 침상 안정으로 근육의 허약감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발의 감각이상(저림, 무감각, 마비 등)이 나타난다면 즉시 간호사실에 보고하는 것을 교육한다.
→ 대상자의 발을 무딘 핀으로 찌르거나 가볍게 만져보고 느낌을 말해보라고 한다.
적절한 식이섭취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 영양부족으로 전신 허약감과 수술 후 치유지연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하지거상운동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능한 크게 움직이도록 격려하고 교육한다.
학생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등척성 운동의 필요성과 운동을 교육하였다.
→ 11/22 근육의 허약감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라는 운동의 필요성과 등척성 운동의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학생간호사는 간병사와 대상자에게 마비증상이나 저림감 같은 감각이상은 신경혈관 기능의 손상을 나타내는 증상이라고 설명하며 이러한 증상이 발현 시 즉시 간호사실에 보고하도록 교육하였다.
학생간호사는 식사를 끝낸 대상자에게 너무 많은 식사량을 남기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11/21~11/22 13:00 입맛이 없어 식사 후 2/3가량 음식을 남기는 모습을 관찰하여 식이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였다.
학생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제한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만큼 하지 거상운동을 교육하고 격려하였다.
→ 관절의 구축을 예방하고 부동으로 인한 신경혈관 기능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말초 사지부위에 기능장애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 대상자는 여전히 행동반경은
침상에서 확대되지 않았고 상체는 스스로 움직이나 스스로 보행이
가능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대상자가 24일에 전원을 가는 이유로 장기목표의 달성여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pain control 및 RBC, Hb, Hct를 증가시켜 침상운동에서 점차 병실
밖으로의 운동 필요성을 재차 교육하고 관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출처
-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제7판』, 수문사, 2012
-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학 (상),(하)』, 수문사, 2016
- 송경애 외 공저,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2016
- 은재순, 『임상약리학』, 제3판, 현문사, 2014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서울 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amc.seoul.kr/asan/depts/amccp/K/deptMain.do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http://guro.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GRCP
  • 가격3,5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18.10.16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9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