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ple fracture 간호 사례 연구-case study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질병기술
▶ 골절(Fracture)
1. 정의 및 원인
2. 분류
3. 골절의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간호
7. 합병증예방
8. 수술 후 간호

II.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간호과정
1. 초기자료 : 환자사정 양식 (NANDA)
진단적 검사
▶ 검사 전 후 간호 공통
투여약물
간호과정
#1
조직손상과 관련된 통증
#2
피부 손상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본문내용

접촉에 의한 지지를 제공한다.
⑤ 대상자의 요구에 주의를 기울인다.
교육적 계획
① 가족에게 대상자를 지지하도록 교육한다.
② 불안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완요법을 하도록 교육한다.
진단적 수행
① 하루에 3번씩 8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불안의 징후인 혈압, 맥박, 호흡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by SN)
9/8
8:00
16:00
23 :00
BP(mmHg)
112/56
120/70
104/66
PR(회/min)
67
78
85
RR(회/min)
20
20
20
BT(℃)
36.6
36.7
36.5
9/9
8:00
16:00
23 :00
BP(mmHg)
120/76
120/70
128/70
PR(회/min)
70
76
70
RR(회/min)
20
20
20
BT(℃)
36.6
36.7
36.5
9/10
8:00
16:00
23 :00
BP(mmHg)
124/85
118/62
122/60
PR(회/min)
82
72
74
RR(회/min)
20
20
20
BT(℃)
36.6
36.7
36.4
이론적 근거 : 활력징후를 통해 대상자의 생리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불안시 혈압, 호흡, 맥박이 정상수치보다 높게 나타난다.
② 불안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긴장된 표정,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대상자에게 불안 정도를 물어보니“가만히 있다가도 문득문득 못 걷게 될까봐 불안해.”라고 말하였다. 불안 정도를 VAS 정도로 측정해 보았는데 9/8 - VAS 6, 9/9 - VAS 6, 9/10 - VAS 5로 감소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y SN)
이론적 근거 : 불안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불안 정도를 VAS로 객관화하면, 그 대상자에 맞는 간호중재를 할 수 있다.
치료적 수행
① 주변 환경이 시끄러우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소리와 발자국 소리를 낮추었다.(by SN)
이론적 근거 : 환경적인 요소에는 물리적 환경, 광선, 소음, 냄새 미적요소 등이 있다. (간호 행위를 할 때 발자국 소리 줄이기, 기구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될 수 있는 한 소음이 적은 기구를 사용함, 병실 내에서 큰 소리를 내지 않도록 함, 커텐을 침.)
② 불안한 느낌과 지각, 공포 등을 말로 표현하면 불안이 감소된다며 불안을 표현하도록 격려하였으며 표현 시 적극적으로 동감해 주었다. (by SN)
Pt :“예후가 좋아서 잘 걸을 수 있을지 걱 정이야.”
SN :“많이 불안하시죠? 처음보다 지금이 훨씬 더 좋아졌으니까 꾸준히 운동하시면 괜찮아지실 거예요. 힘내세요.”
이론적 근거 : 정서적 지지를 받고 불안을 말로 표현함으로 써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③ 친절하게 묻는 질문에 대답하고 휠체어로 옮길때마다 도와드리면서 환자와 신뢰감을 향상시키고 친절한 관계를 유지하였다.(by SN)
이론적 근거 : 환자와의 신뢰관계는 치료적 관계에서 기본이 된다.
④ 옆에 함께 있어드리고 부드러운 신체적 접촉에 의한 지지를 제공하였다. 보호자가 자리를 비웠을 때에는 대상자의 말동무가 되어 긴장을 풀도록 지지해 주었다.(by SN)
이론적 근거 : 긴장은 불안을 야기 시킬 수 있으며 부드러운 신체적 접촉은 긴장 완화에 효과적이고 함께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
⑤ 대상자의 요구에 주의를 기울였다.(by SN)
휠체어로 옮길 때마다 손의 위치, 다리의 위치 등 대상자가 원하는 대로 옮기며 도와드렸고 양치질을 할 때에도 대상자의 요구에 따라 해드렸다.
이론적 근거 : 요구에 반응함으로써 신뢰관계 구축에 도움을 준다.
교육적 수행
① 대상자가 가장 걱정하며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부인이기 때문에, 부인은 대상자의 든든한 지지체계가 될 수 있음을 대상자의 부인에게 알렸고, 보호자는 지속적으로 대상자 옆에서 지지하였다.(by SN)
② 불안도가 증가하였을 때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완요법으로 심호흡, 조용한 음악 듣기, 한 가지 생각에 몰두하기, 종교생활 등이 있다고 말하고 이완요법 중 호흡조절 법을 구두로 교육했다. 대상자는 호흡조절 법을 사용해 보니 조금은 편안해지는 것 같다고 말하였다. (by SN)
SN : “숨을 천천히 쉬면서 수초 동안 숨 을 멈추고 다시 서서 내쉬는 동작을 반 복하시면 마음이 좀 편안해질거예요.”
이론적 근거 : 이완요법은 불안한 상황에서 횡문근으로 부터 평활근으로 퍼져가는 근육의 긴장을 줄인다.
① 대상자는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 해결(9/10)
② 대상자의 불안정도가 VAS 6에서 VAS 3이하로 감소하지 못하였다.
→ 미해결
★ 재계획 : 불안에 대한 간호중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③ 대상자는 여전히 안절부절 하며 긴장된 얼굴을 나타냈다.
→ 미해결
★ 재계획 : 불안에 대한 간호중재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④ 대상자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완요법 중 호흡하는 법을 이용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었다
→ 해결(9/10)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 전시자외 공저 / 2005
임상간호의 핵심 / 강병철 외 공저 / 한우리 / 2005
성인간호학 / 서문자 외 공저 / 수문사 / 2004
간호사를 위한 임상 약리학 / Sally S. Roach / E. Public / 2006
정형외과학 / Katsuhiko Tachino / 영문 출판사 / 2003
기본간호학 실습 / 이명화 외 공저 / 정담미디어 / 2003
기본간호의 실제 / 송경애외 공저 / 현문사 / 2001
알기쉬운 정형외과학 / 강응식 / 의학 문화사 / 2002
정형외과학 / 대한정형외과학회 /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0
간호진단분류 / 성미혜 외 / 수문사 / 2005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 서울대학교 병원 /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0
간호진단과 중재 / 이은옥 외 공저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9
간호진단과 간호계획 / 김조자 외 공저 / 대한간호협회 / 1993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유해영 외 공저 / 현문사 / 2003
http://www.druginfo.co.kr/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45페이지
  • 등록일2008.10.30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