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아방가르드의 의미
Ⅲ. 페터 뷔르거의 역사적 아방가르드
Ⅳ. 할 포스터의 네오 아방가르드론
Ⅴ. 맺음말
Ⅱ. 아방가르드의 의미
Ⅲ. 페터 뷔르거의 역사적 아방가르드
Ⅳ. 할 포스터의 네오 아방가르드론
Ⅴ. 맺음말
본문내용
아방가르드는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반복일 뿐 아니라 심지어 그것을 제도화하는 것, 다시 말해 아방가르드를 배반하는 것이었다. 반면 포스터에게 네오 아방가르드는 역사적 아방가르드보다 더 진전된 것, 오히려 그 기획을 처음으로 실행한 아방가르드였다. 포스터는 20세기 후반 미국 네오 아방가르드 미술의 역사를 역사적 아방가르드에 의한 예술제도 비판의 정교화 과정으로 읽겠다고 예고했지만 실제 미술사 서술에서 이 과정은 진보만큼 많은 퇴보로 점철되어 있어 발전의 징후를 찾기가 쉽지 않다. 또한 다원주의라는 부인할 수 없는 추세에 직면해 현재를 ‘패러다임 없음의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상황으로 진단하는 포스터를 보면 정용환, 전위주의에서 신전위주의의이론으로-할 포스터의 페터 뷔르거 수용에 관한 연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7호(2012년) p292-294
네오 아방가르드의 현재성에 대한 의문이 읽힌다.
현재의 다원주의 미술에서 네오 아방가르드도 얼마든지 한 축을 이룰 수 있지만, 아방가르드라는 용어가 갖는 전위성은 일회적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즉 뷔르거가 말한 제도 비판적인 역사적 아방가르드는 이미 지나갔으며, 그 시기가 포스터의 말처럼 5~60년대 네오 아방가르드까지 넓게 아우를 수는 있겠으나, 아방가르드는 미래의 예술이기보다는 지나간 시대의 예술이라는 생각이다. 다만 아방가르드 예술의 실험성과 새로움에 대한 끝없는 추구는 그 용어와 상관없이 예술의 영원한 본질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페터 뷔르거(최성만 역),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3
핼 포스터(이영욱 외 역), <실재의 귀환>, 경성대학교출판부 2003
조주연,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 : 그 개념적 혼란에 관한 소고,
<한국미학회지>제29집(2000년 11월)
이영욱, 네오 아방가르드 : 해석과 재해석-핼 포스터의 페터 뷔르거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지>제51집(2007년 9월)
최성만,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이론’ 읽기, <현대사상>제3호 (2008년)
이현애, 다리파와 독일 표현주의 :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이론을 중심으로,
<미술사상보>제32집(2009년)
조주연, 실패한 혁명? :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위대한 모험,
<한국미학회지>제48집(2006년 12월)
정용환, 전위주의에서 신전위주의의이론으로-할 포스터의 페터 뷔르거 수용에 관한 연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7호(2012년)
네오 아방가르드의 현재성에 대한 의문이 읽힌다.
현재의 다원주의 미술에서 네오 아방가르드도 얼마든지 한 축을 이룰 수 있지만, 아방가르드라는 용어가 갖는 전위성은 일회적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즉 뷔르거가 말한 제도 비판적인 역사적 아방가르드는 이미 지나갔으며, 그 시기가 포스터의 말처럼 5~60년대 네오 아방가르드까지 넓게 아우를 수는 있겠으나, 아방가르드는 미래의 예술이기보다는 지나간 시대의 예술이라는 생각이다. 다만 아방가르드 예술의 실험성과 새로움에 대한 끝없는 추구는 그 용어와 상관없이 예술의 영원한 본질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페터 뷔르거(최성만 역), <아방가르드의 이론>,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3
핼 포스터(이영욱 외 역), <실재의 귀환>, 경성대학교출판부 2003
조주연,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 : 그 개념적 혼란에 관한 소고,
<한국미학회지>제29집(2000년 11월)
이영욱, 네오 아방가르드 : 해석과 재해석-핼 포스터의 페터 뷔르거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미학회지>제51집(2007년 9월)
최성만,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이론’ 읽기, <현대사상>제3호 (2008년)
이현애, 다리파와 독일 표현주의 : 페터 뷔르거의 아방가르드 이론을 중심으로,
<미술사상보>제32집(2009년)
조주연, 실패한 혁명? :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위대한 모험,
<한국미학회지>제48집(2006년 12월)
정용환, 전위주의에서 신전위주의의이론으로-할 포스터의 페터 뷔르거 수용에 관한 연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7호(2012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