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6.29 선언
3. 87체제의 시작
4. 시민단체(NGO)의 등장
4-1 역사적 배경
4-2 종류
2. 6.29 선언
3. 87체제의 시작
4. 시민단체(NGO)의 등장
4-1 역사적 배경
4-2 종류
본문내용
인간의 삶과 지구환경을 보호할 목적으로 결성된 민간 환경단체들의 연합체이다. 1982년에 한국공해문제연구소의 환경오염 피해자 중심의 반공해운동이 공해추방운동연합으로 발전하였고, 1993년 전국 각지에서 활동 중이던 8개 민간 환경단체가 통합되어 환경운동연합이 창립되었다. 현재는 지구의 벗(FOE) 회원단체로 가입해 국제사회에서도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국토생태, 물/하천, 습지/해양 분야 등 다양한 환경 분야에서 활동을 하고 있다.
3) 녹색 연합 녹색연합. (브리태니커)
1996년 4월 결성된 국토 오염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순수 민간 환경운동단체이다.
푸른 한반도 되찾기 시민의 모임, 배달환경 클럽이 녹색당 창당준비위원회와 통합하면서 배달녹색연합이 되었고, 명칭을 녹색연합으로 바꾸었다. 녹색연합은 무조건적인 시위나 비판을 지양하고 아름다운 환경운동, 대안 있는 환경운동, 생활 속의 환경운동, 재미있는 환경운동, 함께하는 환경운동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지금까지 백두대간 생태 보전, 바다와 갯벌 살리기 운동, 미군기지에 의한 환경오염 제기, 쓰레기 매립지 문제 제기, 원자력 발전소 지정 백지화운동, 남북 환경 협력 등의 주요 활동을 벌였다.
3) 녹색 연합 녹색연합. (브리태니커)
1996년 4월 결성된 국토 오염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국내 순수 민간 환경운동단체이다.
푸른 한반도 되찾기 시민의 모임, 배달환경 클럽이 녹색당 창당준비위원회와 통합하면서 배달녹색연합이 되었고, 명칭을 녹색연합으로 바꾸었다. 녹색연합은 무조건적인 시위나 비판을 지양하고 아름다운 환경운동, 대안 있는 환경운동, 생활 속의 환경운동, 재미있는 환경운동, 함께하는 환경운동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지금까지 백두대간 생태 보전, 바다와 갯벌 살리기 운동, 미군기지에 의한 환경오염 제기, 쓰레기 매립지 문제 제기, 원자력 발전소 지정 백지화운동, 남북 환경 협력 등의 주요 활동을 벌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