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본문내용
조 역할을 합니다.
가마를 타고 모둠원 전체가 목적지를 빨리 돌아오면 이깁니다. (교실에서 할 경우 통과할 코스를 미리 정해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놀이를 한 모둠씩 하고 시간을 재어 승부를 정하면 넘어져는 등 사고를 막을 수 있다)
95. 왕대포 - (끼)
모둠별로 놀이를 합니다. 먼저 가위바위보로 차례를 정하세요. 꼴등은 술래가 되어 등을 구부리고 손으로 발목을 잡고 섭니다. 나머지는 1등부터 차례로 술래를 뛰어넘습니다. 이 때 1등이 어떤 주문을 하는데 나머지 사람도 차례로 같이 주문을 외우고 동작을 합니다.
각 종목에 따른 주문대로 못하는 사람은 술래가 됩니다. 중간에 술래가 되어 빠져나가면 순위가 앞으로 당겨집니다.
<주문의 예>
☞ 왕대포 : ‘왕’에 뛰어넘고 ‘대’에 술래의 엉덩이 쪽으로 간 후 ‘포’에 자기 엉덩이로 술래의 엉덩이를 힘껏 부딪힌다. 이 때 술래가 발을 움직이지 않으면 자기가 술래가 되고 반대로 술래가 움직이면 통과한다.
☞ 독수리 발톱 : 양손의 손가락에 힘을 주어 독수리 발톱 모양으로 세운 다음 수래의 등을 꽉 찍고 넘습니다. 넘다가 술래의 머리나 엉덩이에 발이 닿게 되면 술래가 됩니다.
☞ 찐드기○○ : (○○)에 해당하는 숫자를 부릅니다. 예를 들어 ‘찐드기 50’, 또는 ‘찐드기 100’을 외치며 술래 등을 넘은 후 주위의 기둥에 들러붙어 있습니다. 나머지도 같이 외친 다음 1등 뒤에 차례로 붙습니다. 마지막 사람이 붙은 다음 1등은 처음에 부른 숫자를 셉니다. 숫자를 세운 동안 술래는 사람들을 떼어냅니다. 이 때 부른 숫자를 다 세었는데도 한 명도 떼어내지 못하면 술래가 그냥 술래가 되고 술래에게 떼였다면 떼인 사람끼리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정합니다.
☞ 야구 : 주문을 외치고 넘어 두 손을 모아 깍지 끼고 손으로 방망이를 만든 다음 엉덩이 쪽으로 가서 힘껏 칩니다. 이 때 술래가 두 발을 움직이지 않으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됩니다.
☞ 축구 : 야구와 같은데 발로 엉덩이를 치는 것이 다릅니다.
☞ 기차 : 1등이 ‘기차’ 하고 넘은 다음 술래의 옆에 술래와 같이 등을 숙이고 있습니다. 다음은 2등이 술래와 1등을 한꺼번에 넘은 다음 1등 옆에 있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계속하게 되면 나중에는 서너명을 뛰어넘어야 합니다. 그래서 뒤에 있는 사람이 기권을 하면 그 사람들이 가위바위보를 해서 술래가 됩니다.
☞ 소풍 : ‘소풍’ 하고 술래를 뛰어넘은 다음 술래 몰래 주위의 어떤 것을 줍습니다. 그런 다음 한 곳에 모여 있으면 술래가 와서 그 사람이 가진 물건을 알아맞추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됩니다.
(기타 주문을 아이들과 함께 직접 만들어 놀아 보는 것이 좋다)
96. 낱말 맞추기 - (끼)
(교사는 먼저 칠판에 다음과 같이 그림을 그린다.)
가)
나)
* 가)의 칸은 크게 나)의 칸은 작게 그린다.
(세 글자로 된 낱말(이름으로 해도 된다)을 교사가 생각한 다음 아이들에게 시작한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세 글자(이름)로 된 낱말을 어느 모둠이 찾을 수 있을까?”
예) 백 두 산
각 모둠에서는 선생님이 생각한 글자가 무엇일까를 추리하면서 한 모둠씩 돌아가며 자음이나 모음 중 하나씩 물어본다. 각 모둠에서 질문한 자음과 모음이 선생님이 생각한 낱말에 있으면 가)와 나)의 칸에 써 주고, 없으면 나)의 칸에만 적는다.
예: ①1조:“ㄴ이요” 교사:“있습니다.”
가)
ㄴ
나)ㄴ
②2조:“ㄹ이요” 교사:“없습니다.”
가)
ㄴ
나)ㄴ
ㄹ
③3조:“ㅜ요” 교사:“있습니다.”
가)
ㅜ
ㄴ
나)ㄴ
ㄹ
ㅜ
이렇게 낱자를 하나씩 만들어 가면 낱말의 형태가 갖추어지고 정답을 알 수 있을 때 낱말을 맞춘다. 나)의 칸을 보면 몇 번만에 맞추었나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많이 맞춘 모둠이 이깁니다.
97. 그림자 놀이 - (전), (대), (끼)
(스크린(막)과 백열 전구를 준비한다, OHP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선생님이 손으로 여러 가지 동물을 나타내보겠습니다. (손으로 표현하기 쉬운 독수리, 개 등을 나타내본다)
선생님이 주문하는 사물을 가장 잘 표현하는 모둠에게 점수를 드리겠습니다. 먼저 모둠별로 표현해 본 후에 모둠원 중에서 가장 잘 나타낸 사람을 대표로 뽑아주세요.
(예) 오리, 개구리, 꽃, 가방, 전화기 등
그림자 그림
98. 물 머금고 오래 참기 - (전), (대), (끼)
여기에 먹는 물이 있습니다. 각 모둠에서 가장 물을 좋아하는 친구 있나요?
(각 모둠 대표가 모이면) 물을 입 안 가득 머금고 삼키지는 마세요. 그 상태에서 크게 심호흡을 하고 숨을 멈추세요. 숨을 가장 오래 참은 사람이 이깁니다.
99. 옷 많이 입기 - (전), (대)
각 모둠별로 옷을 많이 입을 사람을 한 명 정하세요. 자, 그러면 선생님이 시간을 3분 드리겠습니다. 정해진 시간 동안 가장 옷을 많이 입힌 모둠이 1등이 됩니다. 모둠원 여러분의 옷을 정해진 사람에게 입혀 주세요(옷을 걸치고 있으면 안되고 재크나 단추를 채우도록 한다)
100. 좋아 놀이 - (끼)
예전에 배웠던 ‘아이엠 그라운드’ 놀이와 기본 박수가 같습니다. 놀이 시작은 “아이엠 그라운드 좋아놀이 하기” 하며 시작합니다. 동작은 무릎 한 번 치기(1박)→손뼉 한 번 치기(2박)→3박과 4박에 친구 이름을 부릅니다.
처음 시작할 때에는 3박과 4박에 친구 한 명을 지명합니다. “○○좋아!” 지명 받은 친구는 “나도 좋아” 또는 “나는 싫어” 둘 중의 하나를 말합니다. “나도 좋아” 했을 때에는 전체가 “잘해 봐라 밀어줄게”라고 하며, 또 다른 친구 이름을 불러야 합니다. “나는 싫어” 했을 때 전체가 “그럼 누구?” 라고 하면 다른 친구의 이름을 불러야 합니다.
동작
자기 무릎
한 번 치기
손뼉 한 번 치기
오른손 엄지 내밀기
오른손 엄지 내밀기
박자
1박
2박
3박
4박
전체 아동
① 아이
② 엠
③ 그라
④ 운드
⑤ 좋아
⑥ 놀이
⑦ 하
⑧ 기
영희
*
*
철수
좋아
철수
*
*
나는
싫어
전체 아동
*
*
그럼
누구?
철수
*
*
민희
좋아
민희
*
*
나도
좋아
전체 아동
*
*
잘해
봐라
〃
*
*
밀어
줄게
철수
*
*
선영이
좋아
선영
*
*
나도
좋아
가마를 타고 모둠원 전체가 목적지를 빨리 돌아오면 이깁니다. (교실에서 할 경우 통과할 코스를 미리 정해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놀이를 한 모둠씩 하고 시간을 재어 승부를 정하면 넘어져는 등 사고를 막을 수 있다)
95. 왕대포 - (끼)
모둠별로 놀이를 합니다. 먼저 가위바위보로 차례를 정하세요. 꼴등은 술래가 되어 등을 구부리고 손으로 발목을 잡고 섭니다. 나머지는 1등부터 차례로 술래를 뛰어넘습니다. 이 때 1등이 어떤 주문을 하는데 나머지 사람도 차례로 같이 주문을 외우고 동작을 합니다.
각 종목에 따른 주문대로 못하는 사람은 술래가 됩니다. 중간에 술래가 되어 빠져나가면 순위가 앞으로 당겨집니다.
<주문의 예>
☞ 왕대포 : ‘왕’에 뛰어넘고 ‘대’에 술래의 엉덩이 쪽으로 간 후 ‘포’에 자기 엉덩이로 술래의 엉덩이를 힘껏 부딪힌다. 이 때 술래가 발을 움직이지 않으면 자기가 술래가 되고 반대로 술래가 움직이면 통과한다.
☞ 독수리 발톱 : 양손의 손가락에 힘을 주어 독수리 발톱 모양으로 세운 다음 수래의 등을 꽉 찍고 넘습니다. 넘다가 술래의 머리나 엉덩이에 발이 닿게 되면 술래가 됩니다.
☞ 찐드기○○ : (○○)에 해당하는 숫자를 부릅니다. 예를 들어 ‘찐드기 50’, 또는 ‘찐드기 100’을 외치며 술래 등을 넘은 후 주위의 기둥에 들러붙어 있습니다. 나머지도 같이 외친 다음 1등 뒤에 차례로 붙습니다. 마지막 사람이 붙은 다음 1등은 처음에 부른 숫자를 셉니다. 숫자를 세운 동안 술래는 사람들을 떼어냅니다. 이 때 부른 숫자를 다 세었는데도 한 명도 떼어내지 못하면 술래가 그냥 술래가 되고 술래에게 떼였다면 떼인 사람끼리 가위바위보로 술래를 정합니다.
☞ 야구 : 주문을 외치고 넘어 두 손을 모아 깍지 끼고 손으로 방망이를 만든 다음 엉덩이 쪽으로 가서 힘껏 칩니다. 이 때 술래가 두 발을 움직이지 않으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됩니다.
☞ 축구 : 야구와 같은데 발로 엉덩이를 치는 것이 다릅니다.
☞ 기차 : 1등이 ‘기차’ 하고 넘은 다음 술래의 옆에 술래와 같이 등을 숙이고 있습니다. 다음은 2등이 술래와 1등을 한꺼번에 넘은 다음 1등 옆에 있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계속하게 되면 나중에는 서너명을 뛰어넘어야 합니다. 그래서 뒤에 있는 사람이 기권을 하면 그 사람들이 가위바위보를 해서 술래가 됩니다.
☞ 소풍 : ‘소풍’ 하고 술래를 뛰어넘은 다음 술래 몰래 주위의 어떤 것을 줍습니다. 그런 다음 한 곳에 모여 있으면 술래가 와서 그 사람이 가진 물건을 알아맞추면 그 사람이 술래가 됩니다.
(기타 주문을 아이들과 함께 직접 만들어 놀아 보는 것이 좋다)
96. 낱말 맞추기 - (끼)
(교사는 먼저 칠판에 다음과 같이 그림을 그린다.)
가)
나)
* 가)의 칸은 크게 나)의 칸은 작게 그린다.
(세 글자로 된 낱말(이름으로 해도 된다)을 교사가 생각한 다음 아이들에게 시작한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세 글자(이름)로 된 낱말을 어느 모둠이 찾을 수 있을까?”
예) 백 두 산
각 모둠에서는 선생님이 생각한 글자가 무엇일까를 추리하면서 한 모둠씩 돌아가며 자음이나 모음 중 하나씩 물어본다. 각 모둠에서 질문한 자음과 모음이 선생님이 생각한 낱말에 있으면 가)와 나)의 칸에 써 주고, 없으면 나)의 칸에만 적는다.
예: ①1조:“ㄴ이요” 교사:“있습니다.”
가)
ㄴ
나)ㄴ
②2조:“ㄹ이요” 교사:“없습니다.”
가)
ㄴ
나)ㄴ
ㄹ
③3조:“ㅜ요” 교사:“있습니다.”
가)
ㅜ
ㄴ
나)ㄴ
ㄹ
ㅜ
이렇게 낱자를 하나씩 만들어 가면 낱말의 형태가 갖추어지고 정답을 알 수 있을 때 낱말을 맞춘다. 나)의 칸을 보면 몇 번만에 맞추었나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계속해서 많이 맞춘 모둠이 이깁니다.
97. 그림자 놀이 - (전), (대), (끼)
(스크린(막)과 백열 전구를 준비한다, OHP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선생님이 손으로 여러 가지 동물을 나타내보겠습니다. (손으로 표현하기 쉬운 독수리, 개 등을 나타내본다)
선생님이 주문하는 사물을 가장 잘 표현하는 모둠에게 점수를 드리겠습니다. 먼저 모둠별로 표현해 본 후에 모둠원 중에서 가장 잘 나타낸 사람을 대표로 뽑아주세요.
(예) 오리, 개구리, 꽃, 가방, 전화기 등
그림자 그림
98. 물 머금고 오래 참기 - (전), (대), (끼)
여기에 먹는 물이 있습니다. 각 모둠에서 가장 물을 좋아하는 친구 있나요?
(각 모둠 대표가 모이면) 물을 입 안 가득 머금고 삼키지는 마세요. 그 상태에서 크게 심호흡을 하고 숨을 멈추세요. 숨을 가장 오래 참은 사람이 이깁니다.
99. 옷 많이 입기 - (전), (대)
각 모둠별로 옷을 많이 입을 사람을 한 명 정하세요. 자, 그러면 선생님이 시간을 3분 드리겠습니다. 정해진 시간 동안 가장 옷을 많이 입힌 모둠이 1등이 됩니다. 모둠원 여러분의 옷을 정해진 사람에게 입혀 주세요(옷을 걸치고 있으면 안되고 재크나 단추를 채우도록 한다)
100. 좋아 놀이 - (끼)
예전에 배웠던 ‘아이엠 그라운드’ 놀이와 기본 박수가 같습니다. 놀이 시작은 “아이엠 그라운드 좋아놀이 하기” 하며 시작합니다. 동작은 무릎 한 번 치기(1박)→손뼉 한 번 치기(2박)→3박과 4박에 친구 이름을 부릅니다.
처음 시작할 때에는 3박과 4박에 친구 한 명을 지명합니다. “○○좋아!” 지명 받은 친구는 “나도 좋아” 또는 “나는 싫어” 둘 중의 하나를 말합니다. “나도 좋아” 했을 때에는 전체가 “잘해 봐라 밀어줄게”라고 하며, 또 다른 친구 이름을 불러야 합니다. “나는 싫어” 했을 때 전체가 “그럼 누구?” 라고 하면 다른 친구의 이름을 불러야 합니다.
동작
자기 무릎
한 번 치기
손뼉 한 번 치기
오른손 엄지 내밀기
오른손 엄지 내밀기
박자
1박
2박
3박
4박
전체 아동
① 아이
② 엠
③ 그라
④ 운드
⑤ 좋아
⑥ 놀이
⑦ 하
⑧ 기
영희
*
*
철수
좋아
철수
*
*
나는
싫어
전체 아동
*
*
그럼
누구?
철수
*
*
민희
좋아
민희
*
*
나도
좋아
전체 아동
*
*
잘해
봐라
〃
*
*
밀어
줄게
철수
*
*
선영이
좋아
선영
*
*
나도
좋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