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동동(動動)>>이 걸어온 길
18세기 중엽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산업화로 발생한 CO2가 지구의 대기를 감싸고 있다. 그로 인해 시작된 지구 온난화. 지구의 기온은 상승하고 있다. 몇 천만년에 걸쳐 일어날 기온 상승이 불과 몇 백 년 만에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어쨌거나 일 년 사계절이 뚜렷했던 우리나라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조만간 아열대 기후로 접어든다는 보고가 있었다. 뭐, 우리나라에서도 바나나가 자랄 수 있다는 반가운 소식처럼 들릴지도 모르나, 이것이 몹시 불행한 일임에는 틀림없다. 왜냐하면 일 년 열두 달의 뚜렷한 경계가 사라지고, 자연 현상과 동식물도 많이 바뀔테니, 어쩌면 열 두 달의 모습을 다음의 고전에서만 확인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고전은 일 년 열두 달을 나누어 노래를 부르는 고려속요 <<동동>>이다.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는 고려속요 <<동동>>은 전 13연의 분연체로 구성된 달거리 노래이다. 임금에 대한 송축으로 된 서사 1연과 달마다 행하는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임에 대한 마음을 읊은 12연을 통해 전체 주제가 “임에 대한 송도(頌禱)와 연모(戀慕)의 정”으로 파악된다. 즉, 남녀의 이별을 주제로 한 송도(頌禱)의 가요로, 계절의 변화에 따라 새로워지는 임을 여읜 여인의 그리움을 절실히 표현해 놓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제기된다. 임금에 대한 송도와 임을 여읜 여인의 마음은 그다지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동>>의 역사를 추적해, 그 연관성을 확인해보려 한다. 먼저, 월령체가에 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각 연의 내용 및 어휘 해석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수용과정에 관해 고찰해보겠다.
1. 동동(動動)원문 및 현대어 해석
이어령, 노래여 천년의 노래여(후렴구-아으 動動다리-는 생략) 참고
德으란 곰ㅣ예 받고 福으란 림ㅣ예 받고
德이여 福이라호 나라 오소이다
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ㅣ
누릿 가온ㅣ 나곤 몸하 올로 녈셔
二月ㅅ 보로매아으 노피현 橙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ㅿㅣ샷다
三月나며 開 아으 滿春 욋고지어
ㅣ 브롤 즈ㅿ 디녀 나샷다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綠事니
18세기 중엽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산업화로 발생한 CO2가 지구의 대기를 감싸고 있다. 그로 인해 시작된 지구 온난화. 지구의 기온은 상승하고 있다. 몇 천만년에 걸쳐 일어날 기온 상승이 불과 몇 백 년 만에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어쨌거나 일 년 사계절이 뚜렷했던 우리나라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조만간 아열대 기후로 접어든다는 보고가 있었다. 뭐, 우리나라에서도 바나나가 자랄 수 있다는 반가운 소식처럼 들릴지도 모르나, 이것이 몹시 불행한 일임에는 틀림없다. 왜냐하면 일 년 열두 달의 뚜렷한 경계가 사라지고, 자연 현상과 동식물도 많이 바뀔테니, 어쩌면 열 두 달의 모습을 다음의 고전에서만 확인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고전은 일 년 열두 달을 나누어 노래를 부르는 고려속요 <<동동>>이다.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는 고려속요 <<동동>>은 전 13연의 분연체로 구성된 달거리 노래이다. 임금에 대한 송축으로 된 서사 1연과 달마다 행하는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임에 대한 마음을 읊은 12연을 통해 전체 주제가 “임에 대한 송도(頌禱)와 연모(戀慕)의 정”으로 파악된다. 즉, 남녀의 이별을 주제로 한 송도(頌禱)의 가요로, 계절의 변화에 따라 새로워지는 임을 여읜 여인의 그리움을 절실히 표현해 놓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의문이 제기된다. 임금에 대한 송도와 임을 여읜 여인의 마음은 그다지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동>>의 역사를 추적해, 그 연관성을 확인해보려 한다. 먼저, 월령체가에 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각 연의 내용 및 어휘 해석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수용과정에 관해 고찰해보겠다.
1. 동동(動動)원문 및 현대어 해석
이어령, 노래여 천년의 노래여(후렴구-아으 動動다리-는 생략) 참고
德으란 곰ㅣ예 받고 福으란 림ㅣ예 받고
德이여 福이라호 나라 오소이다
正月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ㅣ
누릿 가온ㅣ 나곤 몸하 올로 녈셔
二月ㅅ 보로매아으 노피현 橙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ㅿㅣ샷다
三月나며 開 아으 滿春 욋고지어
ㅣ 브롤 즈ㅿ 디녀 나샷다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綠事니
추천자료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1.국어가 걸어온 길)
자서전(내가 걸어온 길 주제를 통해 보는 나의 성격)
고등 국어 하-국어가 걸어온 길-학습활동 분석
고대국어, 국어가 걸어온 길, 서동요 수업지도안, 파워포인트 (연구수업) (수업실연)
사회복지사로서 내가 걸어온 길, 내가 걸어갈 길 (사회복지를 공부하기로 마음먹게 된데 가장...
코닥(Kodak), 재도약을 위해 - 코닥이 걸어온길, 현재상황 및 경영진단, 그리고 경영컨설팅.pptx
뚜레쥬르 (Tous Les Jours), 걸어온 길과 걸어가야 할 길 (시장분석, SWOT, STP, 4P, 컨셉도...
한국경제가 걸어온 길 & 재벌의 발전과 모순
국사의 이해]‘내가 걸어온 길, 앞으로의 길’(‘나의 삶’에 대한 회고와 앞으로의 전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