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적용
1.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종류
가. 직접 교수 모형
나. 문제 해결 교수-학습 모형
다. 전문가 협력 교수-학습 모형
라. 역할 놀이 교수-학습 모형
마. 가치 탐구 교수-학습 모형
바. 반응 중심 문학 교수-학습 모형
사.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 모형
2.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가. 문제 해결 모형과 가치 탐구 모형의 적용
나. 문제 해결 모형과 역할 놀이 모형의 적용
다. 직접 교수법의 적용
1.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종류
가. 직접 교수 모형
나. 문제 해결 교수-학습 모형
다. 전문가 협력 교수-학습 모형
라. 역할 놀이 교수-학습 모형
마. 가치 탐구 교수-학습 모형
바. 반응 중심 문학 교수-학습 모형
사.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 모형
2.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가. 문제 해결 모형과 가치 탐구 모형의 적용
나. 문제 해결 모형과 역할 놀이 모형의 적용
다. 직접 교수법의 적용
본문내용
습
PPT 12
개별활동지②
단계
수업요항
시간
(분)
교수 학습 활동
수업
형태
수업매체
도달점,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전
개
3
수업목표③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반영된 시 창작하기)
11’
(40’)
▶ 활동1은 모방시를 쓰는 활동이며, 활동2는 시를 이어 쓰는 활동입니다. 그리고 활동3은 시를 창작해 보는 활동입니다. 이 세 개의 활동 중에서,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가장 잘 드러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활동을 하나만 골라서 해 보세요.
▶ 다 했지요? 그럼 발표 해 봅시다.
(발표에 대한 피드백)
▶ 모두 잘 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앞으로도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반영된 작품을 창작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합니다.
▷ (개별 활동을 한다.)
▷ (자신의 작품을 발표 한다.)
개별
학습
발표식
개별활동지②
자신의 삶의 태도와 정서에 맞는 문제를 선택 하도록 유도한다.
리
정리
형성 평가
5’
(45’)
▶ 이번 시간에 우리는 무엇을 배웠나요?
▶ 네. 시 ‘가정’의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알아 보았습니다. 또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파악 해보고, 여러분들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반영 된 작품을 창작해 보았습니다.
▶ 그럼 형성 평가를 풀어 봅시다. 형성 평가지를 꺼내세요. 1번과 2번 문제를 다 같이 읽어 봅시다.
▶ 그럼 형성 평가 두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세요.
▶ 다 했지요? 1번 문제두 개의 빈 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인가요?
▷ (거수자 대답한다.)
▷ (형성 평가지를 준비하여 문제를 읽는다.)
▷ (형성 평가를 푼다.)
▷ (거수자 대답한다.)
발표식
개별 학습
PPT 13,
형성 평가지
형성 평가를 통해 수업 목표 도달도를 확인한다.
단계
수업
요항
시간
(분)
교수 학습 활동
수업
형태
수업매체
도달점,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정
리
형성 평가
차시예고
인사
5’
(45’)
▶ 맞습니다. ‘비가 변한 눈 오는 공간’과 ‘무슨 짓으로 돈을 벌까’는 시적 화자의 고된 삶을 나타낸 표현입니다. 두 개의 답을 모두 맞힌 사람 손 들어볼까요?
(정답률을 확인한다.)
▶ 그럼 형성 평가 2번의 답은 몇 번이지요?
▶ 맞습니다. 4번 맞힌 사람 손들어 볼까요?
(정답률을 확인한다.)
▶ 네. 시인이 미소 짓는 이유는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 힘겨운 삶을 극복하고자 하기 때문이지요.
▶ 네. 모두 잘 해주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윤흥길의 소설 ‘기억 속의 들꽃’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책을 읽어오기 바랍니다.
▶ 인사
▷ (정답자는 손을 든다.)
▷ (거수자 대답한다.)
▷ (정답자는 손을 든다.)
▷ (과제 및 차시예고를 숙지한다.)
▷ 인사
발표식
강의식
PPT 14,
형성 평가지
PPT 15
PPT 16
형성 평가를 통해 수업 목표 도달도를 확인한다.
차시예고를 숙지 시킨다.
판서 계획
수업목표
1. 시 ‘가정’을 읽고, 시적 화자 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다.
2.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다.
3.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반영한 시를 창작할 수 있다.
4. 삶과 문학
(1) 가정
(시 전문 수록)
시에 나타난 표현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
시적 화자의 정서
⇒
주제:
⇒
평가 기준
1. 시 ‘가정’을 읽고,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는가?
2.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는가?
3.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반영한 시를 창작할 수 있는가?
예상되는 발전
1. 시를 읽고,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2.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반영한 시를 창작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직접 교수법의 적용
본시 수업안
주 제
<국어> 5. 의미 찾기와 세상 읽기 / (3) 차마고도
차시
일 시
장소
대상
지도
교사
수업
목표
1. 삽화를 보고 낱말과 글의 내용을 예측해 할 수 있다.
수업자료
교사
학생
학습활동 안내판, PPT 자료,
동영상 자료
교과서, 학습지
단계
수업요항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도입
( 5\')
▶전시학습 확인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인
<전시학습 확인>
-제목 예측하기 활동 질문
<동기유발>
- 장면 1, 장면 2를 비교하여 학습목표 도출하기
<학습목표 확인 및 수업 안내>
- 삽화를 보고 낱말과 글의 내용을 예측해 할 수 있다.
- 직접 교수법 단계에 따른 수업 안내
ppt
수업 안내판
전
개
(35\')
설명
▶개념 정의
▶절차적 단계 설명하기
(교사주도)
<개념과 중요성 설명>【설명1】
-삽화 보고 예측하기 개념 설명
- 삽화 보고 예측하기 중요성 설명
<절차와 단계 설명>【설명2】
-삽화보고 예측하는 방법 설명
-나올 낱말 예측하기
-글의 내용 예측하기
ppt 화면 제시
시범
▶교사 시범보이기 (교사 주도)
<삽화보고 예측하기 시범 보이기>
- ‘먹어서 죽는다’ 사진을 보고 사고구술법으로 시연하기
학습판
사진
질문
▶교사 학생 간 질문하기
(상호 주도)
<교사 학생 질문하기를 통해 연습하기>
- 차마고도 읽기 전 사진을 활용해서 교사와 학생 간 대화를 통해 연습하기
-동영상을 통해 내용 확인하기
사진
동영상
활동
▶활동하기
(학생 주도)
(학생-학생활동)
↓
(학생 독립활동)
<조별 활동을 통해 글 전체 내용 예측하기>(학생-학생)>
- 차마고도 단원에 제시된 삽화를 보고 글 내용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 조별 삽화를 보고 떠오르는 낱말과 글 내용을 협동적으로 예측하여 발표하기
<글 전체 내용 예측하기>(학생 독립적 활동)
-‘우리꽃 산책’ 사진을 보고 학생 발표하기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학습판
모둠별 학습지
우리꽃 산책
사진 제시
정리
평가
( 5\')
▶본시학습정리
▶자기점검 및 형성평가
▶다음차시예고
<학습목표 재확인 및 내용정리>
<자기점검 및 형성평가>
<차시예고>
자기점검 및 형성평가지
ppt
PPT 12
개별활동지②
단계
수업요항
시간
(분)
교수 학습 활동
수업
형태
수업매체
도달점,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전
개
3
수업목표③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반영된 시 창작하기)
11’
(40’)
▶ 활동1은 모방시를 쓰는 활동이며, 활동2는 시를 이어 쓰는 활동입니다. 그리고 활동3은 시를 창작해 보는 활동입니다. 이 세 개의 활동 중에서,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가장 잘 드러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활동을 하나만 골라서 해 보세요.
▶ 다 했지요? 그럼 발표 해 봅시다.
(발표에 대한 피드백)
▶ 모두 잘 했습니다. 이 활동을 통해, 앞으로도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반영된 작품을 창작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합니다.
▷ (개별 활동을 한다.)
▷ (자신의 작품을 발표 한다.)
개별
학습
발표식
개별활동지②
자신의 삶의 태도와 정서에 맞는 문제를 선택 하도록 유도한다.
리
정리
형성 평가
5’
(45’)
▶ 이번 시간에 우리는 무엇을 배웠나요?
▶ 네. 시 ‘가정’의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알아 보았습니다. 또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파악 해보고, 여러분들의 삶의 현실과 정서가 반영 된 작품을 창작해 보았습니다.
▶ 그럼 형성 평가를 풀어 봅시다. 형성 평가지를 꺼내세요. 1번과 2번 문제를 다 같이 읽어 봅시다.
▶ 그럼 형성 평가 두 문제를 한 번 풀어 보세요.
▶ 다 했지요? 1번 문제두 개의 빈 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인가요?
▷ (거수자 대답한다.)
▷ (형성 평가지를 준비하여 문제를 읽는다.)
▷ (형성 평가를 푼다.)
▷ (거수자 대답한다.)
발표식
개별 학습
PPT 13,
형성 평가지
형성 평가를 통해 수업 목표 도달도를 확인한다.
단계
수업
요항
시간
(분)
교수 학습 활동
수업
형태
수업매체
도달점,지도상의 유의점
교사
학생
정
리
형성 평가
차시예고
인사
5’
(45’)
▶ 맞습니다. ‘비가 변한 눈 오는 공간’과 ‘무슨 짓으로 돈을 벌까’는 시적 화자의 고된 삶을 나타낸 표현입니다. 두 개의 답을 모두 맞힌 사람 손 들어볼까요?
(정답률을 확인한다.)
▶ 그럼 형성 평가 2번의 답은 몇 번이지요?
▶ 맞습니다. 4번 맞힌 사람 손들어 볼까요?
(정답률을 확인한다.)
▶ 네. 시인이 미소 짓는 이유는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 힘겨운 삶을 극복하고자 하기 때문이지요.
▶ 네. 모두 잘 해주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윤흥길의 소설 ‘기억 속의 들꽃’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책을 읽어오기 바랍니다.
▶ 인사
▷ (정답자는 손을 든다.)
▷ (거수자 대답한다.)
▷ (정답자는 손을 든다.)
▷ (과제 및 차시예고를 숙지한다.)
▷ 인사
발표식
강의식
PPT 14,
형성 평가지
PPT 15
PPT 16
형성 평가를 통해 수업 목표 도달도를 확인한다.
차시예고를 숙지 시킨다.
판서 계획
수업목표
1. 시 ‘가정’을 읽고, 시적 화자 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다.
2.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다.
3.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반영한 시를 창작할 수 있다.
4. 삶과 문학
(1) 가정
(시 전문 수록)
시에 나타난 표현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
시적 화자의 정서
⇒
주제:
⇒
평가 기준
1. 시 ‘가정’을 읽고,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는가?
2.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는가?
3.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반영한 시를 창작할 수 있는가?
예상되는 발전
1. 시를 읽고, 시적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2. 여러 갈래의 작품에서 작중 화자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바탕으로 주제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 자신의 삶의 현실과 정서를 반영한 시를 창작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직접 교수법의 적용
본시 수업안
주 제
<국어> 5. 의미 찾기와 세상 읽기 / (3) 차마고도
차시
일 시
장소
대상
지도
교사
수업
목표
1. 삽화를 보고 낱말과 글의 내용을 예측해 할 수 있다.
수업자료
교사
학생
학습활동 안내판, PPT 자료,
동영상 자료
교과서, 학습지
단계
수업요항
교수학습 활동
자료 및 유의점
도입
( 5\')
▶전시학습 확인
▶동기유발
▶학습목표 확인
<전시학습 확인>
-제목 예측하기 활동 질문
<동기유발>
- 장면 1, 장면 2를 비교하여 학습목표 도출하기
<학습목표 확인 및 수업 안내>
- 삽화를 보고 낱말과 글의 내용을 예측해 할 수 있다.
- 직접 교수법 단계에 따른 수업 안내
ppt
수업 안내판
전
개
(35\')
설명
▶개념 정의
▶절차적 단계 설명하기
(교사주도)
<개념과 중요성 설명>【설명1】
-삽화 보고 예측하기 개념 설명
- 삽화 보고 예측하기 중요성 설명
<절차와 단계 설명>【설명2】
-삽화보고 예측하는 방법 설명
-나올 낱말 예측하기
-글의 내용 예측하기
ppt 화면 제시
시범
▶교사 시범보이기 (교사 주도)
<삽화보고 예측하기 시범 보이기>
- ‘먹어서 죽는다’ 사진을 보고 사고구술법으로 시연하기
학습판
사진
질문
▶교사 학생 간 질문하기
(상호 주도)
<교사 학생 질문하기를 통해 연습하기>
- 차마고도 읽기 전 사진을 활용해서 교사와 학생 간 대화를 통해 연습하기
-동영상을 통해 내용 확인하기
사진
동영상
활동
▶활동하기
(학생 주도)
(학생-학생활동)
↓
(학생 독립활동)
<조별 활동을 통해 글 전체 내용 예측하기>(학생-학생)>
- 차마고도 단원에 제시된 삽화를 보고 글 내용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 조별 삽화를 보고 떠오르는 낱말과 글 내용을 협동적으로 예측하여 발표하기
<글 전체 내용 예측하기>(학생 독립적 활동)
-‘우리꽃 산책’ 사진을 보고 학생 발표하기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학습판
모둠별 학습지
우리꽃 산책
사진 제시
정리
평가
( 5\')
▶본시학습정리
▶자기점검 및 형성평가
▶다음차시예고
<학습목표 재확인 및 내용정리>
<자기점검 및 형성평가>
<차시예고>
자기점검 및 형성평가지
ppt
추천자료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의 의미와 목적,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지도...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교육과정운영, 중학교(중등) 국어교육(국어과) 교수학습모형,...
중등(중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교과목표와 학년목표, 중등(중학교) 국어과(국어교육) 교수...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 초등학교 5학년 국어과(국어교육) 수준별학습과 글짓...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의 특징과 도입배경, 국어과 수준별교육과정(학습, 수업)...
국어과(국어교육) 특성과 교육중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운소지도, 초등학교 국어과(...
WBI(웹기반수업, 웹기반교육)의 정의와 유형, WBI(웹기반수업, 웹기반교육)의 특징과 장단점,...
국어과교수학습모형
국어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개념, 종류, 방법, 국어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국어과 교수-학습 모형과 적용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