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기 심리사회적 발달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년기 심리사회적 발달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다하며 다른 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자신의 기준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생각에 대해 개방적이다.
위기를 겪지 않고 수행을 하고 있는 유실 단계의 청년들은 대안적인 선택을 고려해보지 않고 자신의 인생에 대해 다른 사람이 세운 계획을 받아들인다. 어떤 이들은 자기 어머니처럼 독실한 믿음을 지닌 주부가 되고, 어떤 이들은 자기 아버지처럼 농부가 되거나 특정 정당을 지지한다. 이들은 완고한 성향을 보이고 자기 확신에 차 있으며 때로는 거만하고 자기만족적이다. 가족유대감이 강하고 법과 질서를 증시하며 강력한 지도자를 따르는 경향이 있는데 자신의 생각이 위협을 받으면 독단적이 되기도 한다.
위기와 수행 모두 경험하지 많은 정체감 혼미 상태의 청소년들은 대안을 고려해보는 시기를 겪었을 수도 있고 겪지 않았을 수도 있으나 어떤 경우든 수행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다. 이들은 목적 없이 떠도는 사람일 수도 있고, 겉으로는 근심 걱정이 없는 사람처럼 보이지만 수행을 적극적으로 회피하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다. 이들은 일관성이 없고 중심 없이 흔들리기 쉬우며 스스로를 불행하게 생각하기 쉽다. 또한 이들은 진실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기 때문에 주변으로부터 고립되고 외로움을 느끼기 쉽다.
위기는 겪었으나 수행이 따르지 않은 유예 상태의 청년들은 양면적인 가치의 갈등에 놓여 있다. 의사결정 과정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은 수행으로 나아가고 있는 듯하며 아마도 정체감을 성취할 것으로 보인다. 이 유형에 속해 있는 청년들은 활달하고 수다스러우며 갈등에 빠져 있기 쉬운 특성을 나타내곤 한다. 또한 경쟁적이고 불안정한 성향을 보이고 이성의 부모와 가까운 편이다. 이들은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원하고 있지만 반드시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다.
* 참고문헌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9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