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Freud의 성격발달이론
1) Freud
2) 발달 단계
• 구강기(oral stage, 0~1세)
• 항문기(anal stage, 2~3세)
• 남근기(phallic stage, 3~5세)
• 잠복기(latency stage, 6~11세)
• 생식기(genital stage, 11세 이상)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Erikson
2) 발달 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s. mistrust, 0~1세)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autonomy vs. shame and doubt, 2~3세)
• 주도성 대 죄책감(initiative vs. guilt, 4~5세)
• 근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 6~11세)
• 정체감 대 역할 혼미(identity vs. role confusion, 12~18세)
• 진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19〜24세)
•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elf-absorption, 25~54세)
• 통정성 대 절망감(ego integrity vs. despair, 54세 이상)
참고문헌
1) Freud
2) 발달 단계
• 구강기(oral stage, 0~1세)
• 항문기(anal stage, 2~3세)
• 남근기(phallic stage, 3~5세)
• 잠복기(latency stage, 6~11세)
• 생식기(genital stage, 11세 이상)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Erikson
2) 발달 단계
• 신뢰감 대 불신감(trust vs. mistrust, 0~1세)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autonomy vs. shame and doubt, 2~3세)
• 주도성 대 죄책감(initiative vs. guilt, 4~5세)
• 근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 6~11세)
• 정체감 대 역할 혼미(identity vs. role confusion, 12~18세)
• 진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19〜24세)
•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elf-absorption, 25~54세)
• 통정성 대 절망감(ego integrity vs. despair, 54세 이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Marcia 등(Marcia, 1980; Schiedel & Marcia, 1985)에 의해 다음과 같은 네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우선, 정체감 혼란(identity diffusion)은 자기 자신이 누구고, 자신의 인생에서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갈 것인가 둥에 대한 확고한 결심에 이르지 못한 상태를 일컫는다. 자기 정체감에서 혼란을 느끼면서도 실제로 개입하여 해결하려고 들지 않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자신의 다른 정체성에 대한 호기심 없이 단지 외부에서 주어지는 목표, 가치 등을 그대로 수용하는 개인은 정체감 유실(identity foreclosure)에 해당한다. 그들은 대부분 그들의 부모가 부여하는 가치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인다. 또한 정체감 유예(identity moratorium)의 경우에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느끼면서도 적극적인 개입은 하지 않는다. Erikson은 복잡한 사회적 경험을 해야 하는 청소년들은 정체성 위기를 맞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정체감 유예를 '위기’ 로 받아들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사회적 경험을 하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탐색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체감의 성취로 다가설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는 개인이 자기 삶의 가치 혹은 목표를 능동적으로 선택하는 수준을 말한다.
진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1924세) :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는 사회에 참여하게 되고 자유와 책임을 가지고 스스로의 삶을 영위하기 시작하는 시기다. 이 단계에서는 자기 자신의 문제에만 몰두하는 것에서 벗어나 직업 선택, 배우자 선택, 친구 선택 등의 다양한 문제를 경험한다. 조건 없이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해줄 수 있는 마음이 이 단계에서의 위기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는 기초가 된다. 반대로 위기 해결에 실패하는 사람은 정서적으로 고립되고 자유롭게 사랑을 나누지 못한다.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은 타인을 이해하고 또 자기 자신도 이해할 때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이해란 정체감이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정체감이나 타인의 정체감을 발견할 수 없을 때 인간은 고립되고 방황하게 된다.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elf-absorption, 25~54세) : 성인후기의 중요한 특징은 창조성, 생산성, 다음 세대를 지도하는 것에 대한 관심과 헌신 등이다(Erikson, 1980). 생산적인 성인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려 하고, 깨끗한 환경 조성, 안정된 사회, 자유와 인간 존중의 원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학생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점과 학업 성취에 진정으로 관심을 쏟는 교사는 이 단계에서 위기를 긍정적으로 해결한 사람이다. 부정적인 해결은 무관심과 허위, 그리고 이기심을 갖게 한다.
통정성 대 절망감(ego integrity vs. despair, 54세 이상) : 통정성이란 자신의 삶에 후회가 없으며 열심히 살았고 가치 있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지니는 특성을 말한다. 이런 사람은 자신이 살아온 인생에 책임감이 있으며 죽음 또한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이에 비하여 자신이 살아온 길이 후회스럽고 무가치하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절망감에 빠지게 된다.
참고문헌
신명희, 강소연 외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Robert E, Slavin 저, 교육심리학(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3
서미옥 저,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14
임정훈, 한기순 외 저, 교육심리학, 양서원 2014
진밀감 대 고립감(intimacy vs. isolation, 1924세) :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는 사회에 참여하게 되고 자유와 책임을 가지고 스스로의 삶을 영위하기 시작하는 시기다. 이 단계에서는 자기 자신의 문제에만 몰두하는 것에서 벗어나 직업 선택, 배우자 선택, 친구 선택 등의 다양한 문제를 경험한다. 조건 없이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해줄 수 있는 마음이 이 단계에서의 위기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는 기초가 된다. 반대로 위기 해결에 실패하는 사람은 정서적으로 고립되고 자유롭게 사랑을 나누지 못한다.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은 타인을 이해하고 또 자기 자신도 이해할 때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이해란 정체감이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정체감이나 타인의 정체감을 발견할 수 없을 때 인간은 고립되고 방황하게 된다.
생산성 대 침체성(generativity vs. self-absorption, 25~54세) : 성인후기의 중요한 특징은 창조성, 생산성, 다음 세대를 지도하는 것에 대한 관심과 헌신 등이다(Erikson, 1980). 생산적인 성인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려 하고, 깨끗한 환경 조성, 안정된 사회, 자유와 인간 존중의 원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학생들이 겪는 다양한 문제점과 학업 성취에 진정으로 관심을 쏟는 교사는 이 단계에서 위기를 긍정적으로 해결한 사람이다. 부정적인 해결은 무관심과 허위, 그리고 이기심을 갖게 한다.
통정성 대 절망감(ego integrity vs. despair, 54세 이상) : 통정성이란 자신의 삶에 후회가 없으며 열심히 살았고 가치 있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지니는 특성을 말한다. 이런 사람은 자신이 살아온 인생에 책임감이 있으며 죽음 또한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이에 비하여 자신이 살아온 길이 후회스럽고 무가치하며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절망감에 빠지게 된다.
참고문헌
신명희, 강소연 외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Robert E, Slavin 저, 교육심리학(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3
서미옥 저,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14
임정훈, 한기순 외 저, 교육심리학, 양서원 2014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성격과 발달
교육의 심리적 기초 - 교육심리학, 발달이론, 학습이론 정리
교육심리학의 이해 - 성격과 사회성 발달
[교육심리학]도덕성 및 성역할 발달에 관한 고찰
[교육심리학] 『발달의 정의와 논쟁 및 신체적, 언어적 발달』에 대하여
교육심리학 -발달부터 지능까지의 중간고사 대비 요약본 (청/주/대)
교육심리학의 성격과 발달
[요약본] 교육심리학 - 발달 사회실험 현장연구
교육심리학 -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 다중지능이론의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
[교육심리학] 연습문제 풀이 {학습자의 발달, 학습자의 개인차, 특수한 학습자, 학습의 행동...
[교육심리학] 매슬로우(매슬로/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 & 에릭슨(Erikson)의 ...
교육심리학 -학습자의 발달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교육심리학] 도덕성 발달 이론 - Kohlberg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