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의 이해 - 성격과 사회성 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의 이해 - 성격과 사회성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성격발달
1) Erikson의 성격발달 이론
· Erikson의 발달단계
2) 교육에 대한 시사점
+추가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이론
a인간의 정신과정
b성격의 구성요소
c본능
d성장 단계별 리비도 에너지
e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차이점 공통점

2.사회성 발달
1) 부모의 역할
2) 또래집단의 역할

3.자아개념
1) 자아개념의 의미
2) 자아개념과 학교경험

4.도덕성 발달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3) Kohlberg이론에 대한 비판
4) 학교에서의 도덕교육

본문내용

해 발달되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목표를 정하도록 도와주고, 그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조장해 주어야 한다.
4. 도덕성 발달
1) 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Piaget는 도덕성 발달이 인지발달에 병행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도덕적 사실주의(5~6세) - 규칙을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협력의 도덕성(8세~) - 규칙은 사람들이 만들었으며 바꿀 수 있다고 인식하는 단계
2) 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아동의 도덕 판단의 자기규제성 여부에 근거하여 도덕성 발달을 6단계로 나눔
수준1. 인습이전 수준 - 판단은 개인적 욕구와 타인들의 규칙에 따른다.
단계1 복종-처벌 지향
단계2 개인적 쾌락주의→자신의 욕구만족 여부에 따라 도덕적 가치 판단.
수준2. 인습 수준 - 판단은 다른 사람들의 인정, 가족의 기대, 전통적 가치, 사회의 법 그리고 국가에 대한 충성에 근거한다.
단계3 착한 소년 착한 소녀 지향→타인과의 좋은 관계를 유기하기 위해서 사이 좋 게 지내는 단계, 엄마, 교사, 친구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단계, 합리적 정보 수집판단, 도덕적 행동이나 사고를 하는 단계.
단계4 사회질서와 권위지향→보편적 사람의 수준 단계, 여러 사람이 편안하게 살기 위해 사고하고 판단하는 단계.
수준3. 인습 이후 수준 - 공통의 기준이나 권리 및 의무에 따라 행동한다.
단계5 사회적 계약지향
단계6 보편적 윤리지향→최고의 도덕성 발달단계, 관념적 도덕성
3) Kohlberg이론에 대한 비판
도덕성 발달이 불변적인 순서인가에 대한 문제
그의 이론의 문화적 보편성과 관련된 문제
Kohlberg의 이론은 도덕적 사고에 관한 것이지 행동에 관한 것이 아니다.
Kohlberg의 도덕발달 이론은 남성에 대한 종단적 연구에 근거하였기 때문에 여성의 도덕적 추론과 여성의 도덕 발달단계에는 적절치 않다.
4) 학교에서의 도덕교육
아동은 성장 및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덕성과 가치체계를 발달시킨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은 도덕적 딜레마를 제시하여 토의를 통해, 도덕발달이 하위수준의 아이들의 생각에 영향을 미쳐 더 상위수준으로 옮겨가도록 도와주는 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중요한 모델링 3가지
1. 사회적으로 도덕적 행동에 중요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2. 가정에서도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면서 중요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3. 학교에서도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3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