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Piaget
2) 발달 단계
2.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1) Vygotsky
2) 사고와 언어
3) 근접발달영역
참고문헌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1) Piaget
2) 발달 단계
2.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1) Vygotsky
2) 사고와 언어
3) 근접발달영역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를 내적 언어(inner speech)라 한다. 아동의 내적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들(예: Palincsar & Brown, 1989)은 내적 언어가 아동의 문제 해결에 중요하게 기능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 준다. 즉, 내적 언어의 사용빈도는 과제 수행의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증가하며 과제의 난이도와 정적 상관을
보인다. 다시 말하면,문제 해결에서 곤란도가 높을수록 내적 언어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이다.
3) 근접발달영역
Vygotsky에 따르면 이동은 발달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하기도 하다. 물론, 아동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도 있다. 그러나 0]무리 명료하게 설명된다고 하더라도 동의 능력 밖에 있는 문제들이 있다.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이란 아동이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지만 성인이나 뛰어난 동료와 함께 학습하면 성공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Wertsch,1985). 근접발달영역에 위치하는 아동에게는 구조화를 형성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거나 세부 사항과 단계를 기억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꾸준히 시도하도록 격려하는 도움이 필요하다. Vygotsky는 인지발달이 아동과 어른 혹은 아동과 더 능력 있는 동료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고 믿었다. 그들은 아동이 지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지원하는 안내자 혹은 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력을 발판(scaffolding)이라고 한다. 이 용어는 아동이 궁극적으로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견고한 이해를 확립하는 동안에 제공되는 조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능력을 평가한 후에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능력이 없다면 그들을 근접발달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아동의 능력평가와 관련하여 Vygotsky는 아동의 지적 발달 수준을 알아내도록 고안된 대부분의 검사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지능검사는 표준화 검사 문항을 풀게 하여 아동의 지적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데, 이런 종류의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아동의 지적 발달 과정 중에서 특정한 단계의 수준일 뿐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이동의 지적 능력의 전체적인 모습을 알 수 없으며 아동발달에 대해서 완전하게 설명할 수도 없다. 따라서 학생이 혼자서도 풀 수 있는 문제와 도움을 받아 풀 수 있는 문제 수준을 모두 평가하여 양자를 비교해야만 지적 발달의 전체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은 인지발달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전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으며,o!동의 인지발달에 교사나 성인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신명희, 강소연 외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Robert E, Slavin 저, 교육심리학(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3
서미옥 저,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14
임정훈, 한기순 외 저, 교육심리학, 양서원 2014
보인다. 다시 말하면,문제 해결에서 곤란도가 높을수록 내적 언어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이다.
3) 근접발달영역
Vygotsky에 따르면 이동은 발달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하기도 하다. 물론, 아동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도 있다. 그러나 0]무리 명료하게 설명된다고 하더라도 동의 능력 밖에 있는 문제들이 있다.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이란 아동이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지만 성인이나 뛰어난 동료와 함께 학습하면 성공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Wertsch,1985). 근접발달영역에 위치하는 아동에게는 구조화를 형성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거나 세부 사항과 단계를 기억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꾸준히 시도하도록 격려하는 도움이 필요하다. Vygotsky는 인지발달이 아동과 어른 혹은 아동과 더 능력 있는 동료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한다고 믿었다. 그들은 아동이 지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지원하는 안내자 혹은 교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력을 발판(scaffolding)이라고 한다. 이 용어는 아동이 궁극적으로 그들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견고한 이해를 확립하는 동안에 제공되는 조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능력을 평가한 후에 학생들에게 문제 해결 능력이 없다면 그들을 근접발달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아동의 능력평가와 관련하여 Vygotsky는 아동의 지적 발달 수준을 알아내도록 고안된 대부분의 검사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지능검사는 표준화 검사 문항을 풀게 하여 아동의 지적 발달 수준을 측정하는데, 이런 종류의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아동의 지적 발달 과정 중에서 특정한 단계의 수준일 뿐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이동의 지적 능력의 전체적인 모습을 알 수 없으며 아동발달에 대해서 완전하게 설명할 수도 없다. 따라서 학생이 혼자서도 풀 수 있는 문제와 도움을 받아 풀 수 있는 문제 수준을 모두 평가하여 양자를 비교해야만 지적 발달의 전체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근접발달영역의 개념은 인지발달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전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으며,o!동의 인지발달에 교사나 성인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신명희, 강소연 외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Robert E, Slavin 저, 교육심리학(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2013
서미옥 저,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적용, 공동체 2014
임정훈, 한기순 외 저, 교육심리학, 양서원 2014
추천자료
유아기 발달에 관한 연구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간발달의 유전적 기초,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출산과 신생아기 시기...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에 대한 비교
인간발달변화에 대한 행동주의적 이론과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비교.hwp
피아제와 비고츠키가 주장한 인지발달의 내용과 서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기술하시오.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의 중다지능이론설명 및 교육적 시사점 2.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
[교육심리학]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과 교육적 시사점,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육심리학 -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계속적 및 간헐적 강화>
[지능이론] 지능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요인 이론, 다요인 이론, 지능구조모형, 유동성 지능...
인간행동과사회환경B형-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방송...
[교육과정 A형] 교육에서 구성주의 이론의 정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