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역사회
I. 지역사회의 개념
II. 지역사회의 유형
III. 체계로서의 지역사회의 특징
IV. 지역사회와 인간행동
V.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참고문헌
I. 지역사회의 개념
II. 지역사회의 유형
III. 체계로서의 지역사회의 특징
IV. 지역사회와 인간행동
V.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접근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 지역사회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환경이 된다. 즉, 지역사회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고 옹호를 할 수 있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이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사회적 연계망을 연결하고 자원들을 발굴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개인의 어떤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가족을 비롯한 이웃, 친척 등 비공식적 관계망에 원조를 요청하고 이렇게 해서도 해결되지 않을 때 사회복지기관 등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사회복지사는 개입에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서 원조기관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의 관계망을 연계하고 조직하며 필요한 자원들을 발굴, 연결해야만 한다. 이렇듯이 지역사회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중요한 자원과 지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역량이 또한 개발되고 발달될 수 있다.
한편 지역사회가 그들의 구성원들을 위하여 제대로 기능하는 정도는 지역사회 역량(community competence)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이것은 지역사회의 문제, 욕구, 관심사를 확인하는 일, 권한과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일, 그리고 긍정적인 사회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일과 관련된다. 소수민족, 여성, 그리고 위기에 처한 다양한 집단을 위해 지역사회는 현존하는 자원들을 이용하고 개인 및 집단 실현을 위한 기회를 만들어 내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사회복지사들은 사회에 대한 전문직의 책임에 따라 지역사회 역량을 저해하는 장벽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역사적으로 탄압과 차별을 당해 왔던 특정 집단을 위하여 원조하고, 사회 환경을 개선시키고, 사회정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지역사회 역량은 전체 체계로서 뿐만 아니라 하위체계의 행동을 통해서도 검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역량의 또 다른 차원은 스스로의 개선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고 자원을 사용하는 개인 및 집단의 활동과 관련된다. 사회복지사들은 개인 및 집단이 지역사회 자원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하위체계로서의 지역사회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도와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전자의 경우 지역사회는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환경이 된다. 즉, 지역사회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고 옹호를 할 수 있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이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사회적 연계망을 연결하고 자원들을 발굴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개인의 어떤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가족을 비롯한 이웃, 친척 등 비공식적 관계망에 원조를 요청하고 이렇게 해서도 해결되지 않을 때 사회복지기관 등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사회복지사는 개입에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서 원조기관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클라이언트의 관계망을 연계하고 조직하며 필요한 자원들을 발굴, 연결해야만 한다. 이렇듯이 지역사회는 클라이언트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중요한 자원과 지지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역량이 또한 개발되고 발달될 수 있다.
한편 지역사회가 그들의 구성원들을 위하여 제대로 기능하는 정도는 지역사회 역량(community competence)을 통해 알아볼 수 있다.
이것은 지역사회의 문제, 욕구, 관심사를 확인하는 일, 권한과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일, 그리고 긍정적인 사회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일과 관련된다. 소수민족, 여성, 그리고 위기에 처한 다양한 집단을 위해 지역사회는 현존하는 자원들을 이용하고 개인 및 집단 실현을 위한 기회를 만들어 내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사회복지사들은 사회에 대한 전문직의 책임에 따라 지역사회 역량을 저해하는 장벽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역사적으로 탄압과 차별을 당해 왔던 특정 집단을 위하여 원조하고, 사회 환경을 개선시키고, 사회정의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지역사회 역량은 전체 체계로서 뿐만 아니라 하위체계의 행동을 통해서도 검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역량의 또 다른 차원은 스스로의 개선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고 자원을 사용하는 개인 및 집단의 활동과 관련된다. 사회복지사들은 개인 및 집단이 지역사회 자원에 접근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하위체계로서의 지역사회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도와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행동과 심리학 - 김청송/오세진 외3명 저, 학지사, 2015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목적, 역할, 유형, 특징
조직의 정의, 지역사회 정의, 특징, 관점, 주요개념, 형태, 유형, 조직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
조직, 지역사회 정의, 특징, 관점, 주요개념, 형태, 유형, 조직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과 지역사회 정의, 특징, 관점, 주요개념, 형태, 유형, 조직이 인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개론] 전통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에 대하여(지역사회 복지실천의 개념, 지역사...
지역사회와 문화 -지역사회와 문화의 개념과 특성, 지역사회와 문화의 유형(형태)와 기능, 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 지역사회의 개념, 지역사회의 유형, 지역사회...
[사회복지실천 접근방법] 집단사회사업과 지역사회조직(정의와 특징, 유형, 과정)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정의 기능 이념과 특징) 지역사회복지 실천 유형 지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