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적 정신분석] 호나이(Horney)의 신경증적 성격이론(호나이의 생애 기본적 불안과 자아보호 기제 신경증적 욕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화적 정신분석] 호나이(Horney)의 신경증적 성격이론(호나이의 생애 기본적 불안과 자아보호 기제 신경증적 욕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문화적 정신분석] 호나이의 신경증적 성격이론

I. 호나이의 생애

II. 기본적 불안과 자아보호 기제

III. 신경증적 욕구
1. 사람을 향한 것
1) 애정과 인정 욕구
2) 지배자적 배우자에 대한 욕구
2. 사람과 맞서는 움직임
3) 힘에 대한 욕구
4) 착취 욕구
5) 사회적 인정 욕구
6) 자화자찬 욕구
7) 자기성취 욕구
3.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려는 움직임
8) 자족과 독립 욕구
9) 완전추구 욕구
10) 생의 편협한 제한 욕구

IV. 그 밖의 연구
1. 여성심리학
2. 자아에 대한 연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역할을 하도록 자신을 몰고 간다.
(3)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려 움직임(Moving Away from people)
8) 자족(自足)과 독립 욕구
다른 사람들과의 따뜻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를 맺으려는 노력이 여의치 않게 되어 다른 사람들로부터 떨어져 어떤 사람이나 어떤 사물과도 유대를 갖기를 거부한다. 그는 결국 혼자 고립된다.
9) 완전추구 욕구
완전과 비공격성에 대한 신경증적 요구로 실수하거나 비판되기를 두려워하는 것인데 이런 욕구를 가진 사람은 자신을 확고하고 과오가 없는 사람으로 만들려고 애쓴다. 그는 계속 자신의 결점을 찾아 그것이 남에게 보이기 전에 은폐시키고자 노력한다.
10) 생의 편협한 제한 욕구
자신의 일생을 좁은 한계 속에 국한시키고자 하는 신경증적 욕구. 이런 사람은 타인에게 어떠한 요구도 하지 않고. 거의 만족이 없고 눈에 띠지 않는 곳에 머무르려고 하며 무엇보다도 겸손한 것에 가치를 둔다. 다른 사람이 인정해 주지 않거나 비웃을 것을 우려해 자신의 소망을 표현하기를 꺼린다.
이 열 가지 신경증적 욕구는 내적 갈등이 발전되는 근원이다. 사랑에 대한 신경증적 욕구는 탐욕적인 것이다. 얻을수록 더 많은 것을 원한다. 결국 그는 만족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그의 독립에 대한 욕구도 그의 성격의 다른 일부에서는 사랑받고 동경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충족될 수 없다. 완전에 대한 추구는 아예 처음부터 실패로 돌아가기 십상이다. 앞의 모든 욕구들은 결국 비현실적인 것들이다.
신경증적 욕구의 세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성격의 구분이 가능하다.
* 순응형 성격 : 사람을 향한 욕구를 반영하는 태도와 행동을 보이고, 애정과 인정에 대한 강하고 지속적인 욕구를 지닌다.
* 공격형 성격 : 사람과 맞서는 행동을 보인다. 이들에게 있어 타인은 모두적이며, 오로지 적자생존의 원칙만이 있다.
* 고립형 성격 :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려는 행동을 보이며, 정서적인 거리를 유지하려고 한다. 타인과의 사랑, 증오, 협동심도 없으며, 타인과 어떤 식으로든 연관되지 않으려 한다.
IV. 그 밖의 연구
1. 여성심리학
호나이는 프로이드의 남근선망의 개념과 달리, 자궁선망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자궁선망이란 여성의 생물학적인 창조 능력을 남성들이 시기하여 불평등하게 대우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녀는 남성에게만 치우쳐 적용되는 이론들에 반하여, 여성의 정체성을 여성의 입장에서 정립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녀는 여자는 유약하고 의존적, 순종적이며 자기회생적 피학적인 태도를 갖도록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바 없으며, 이러한 태도는 강력한 사회적 힘에 의한 편견이라고 주장했다(Pervin, Cervone, & John. 2005).
2. 자아에 대한 연구
그녀는 일찍이 자아(self)에 주목했다. 그녀는 자아를 세 가지로 분류했다.
* 주관적 현실자아 : 자기 자신에 대한 지각의 산물이며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해석.
* 객관적 현실자아 : 자신의 지각 내용과는 상관없이, '있는 그대로의' 신체적 정신적인 모든 객체화된 자아.
* 이상적 자아 : 자신이 되고 싶은, 혹은 반드시 되어야만 하는 자아상을 가리킨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12.04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